• 沒有找到結果。

본문은 판소리체 소설인 심청전 중에서도 비교적 한자어와 옛 표현 이 많이 남아있는 목판본을 선정하여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재로 활용하기 위해 문화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추출해 보았다. 본문의 목적이 강의안의 작성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구체 적인 교수시간에 따른 수업내용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본문에서 추출 한 요소에 대해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해 약간의 설명을 첨가하였다.

심청전은 보편적 주제인 효를 다루고 있는 한국 고전소설로 풍부한 문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자어가 많고 중국 역사인물과 문인들 의 전고가 곳곳에 배치되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대만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판소리계 소설의 서술방식을 잘 보존하고 있어 구어와 문언 두 종류의 문체를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인칭 전지적 시점과 서술자가 직접 개입하여 사건의 상황이나 인물의 성격에 대해 직접 평가하는 편집자적 논평의 특색으로 인해 어미의 사용

이 매우 집약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현재에도 상용되는 속담과 격언이 풍부함은 물론 고전소설의 특징인 관용적 표현 역시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야기의 전개와 맥락 속에서 학습자 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문은 한국어 고급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논의이기 때문에 가능 하면 교학 시 심청전의 주제인 효도의 실천에 대해서,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되고 있는 불교적 세계관에 대해 중국 전통문화와의 비교, 대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토론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원생일 경우 중국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전소설과의 영향관계, 혹은 비교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며 특정 상황이나 사물에 관련된 단어는 학습자 스스로가 확장하여 찾아보 게 격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종합하면, 본문에서 제시한 내용은 고전소설 심청전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한 한 시론이 다. 아직 실제 수업에 활용된 적이 없어 학습효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 기는 이르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고 문학 작품, 특히 고전소설의 활용방안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기능적 관점에서 언어능력의 교육에만 치우쳤거나 단편적 지식의 나열로 한국 문화를 교육했던 데서 벗어나 두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교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이 논문 은 필자가 현재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필요성, 즉 고급단계 학습자 에 알맞은 교재 부족을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임을 말해 둔다.

[참고문헌]

김기동․전규태 편(1984), 심청전, 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1-79쪽.

김종철(2002),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제재 활용의 전통」, 국어교육연구 제14집, 207-208쪽.

廖吳梅(2010), 唐傳奇戱劇化在閱讀敎學上的應用, 秀威(臺北), 9-17쪽.

류종렬(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연구

35, 46-53쪽.

양민정(2003),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2호, 283-288쪽.

양민정(2006),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4호, 107-109쪽.

윤여탁(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한국문화사, 76-85쪽.

증천부(2011),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고전소설 활용방안」, 한국학보 22, 중화민국 한국연구학회(臺北), 63-66쪽.

[Abstract]

相關文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