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沒有找到結果。

五、攜回資料名稱及內容

1. 머리말

-대만 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曾天富

1. 머리말

본문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소설 《심청전 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필자는 재직하고 있는 대만 정치대. 학의 한국어문학과에서 다년간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는 한국어 단계별 과정과 한국문학개론, 문학작품 등을 강독하여왔다 대만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느낀 경험에 의하면. , 2000년대 초반 한국 드라마를 필두로 한류가 형성되었고 한국이 아시아 금융위기에서 보여준 빠른 회복과, 이어 세계경제에서의 지위 상승 최근 케이팝으로 불리는 한국대중음악이 영향력을 발휘하면, 서 한국어는 대만사회에서 상당히 주목받는 외국어가 되었고 이런 현상은 일반 직장인의 한국 어 학습 열풍뿐만 아니라 대학에서 한국어과 지원자의 높은 경쟁률에서도 직접적으로 반영되 고 있다 특히 이전에 비해 한국어과 입학자 중 고등학교 제이외국어로 한국어를 선택했거나. 개인적인 선행학습을 거쳐 이미 한국어의 기초언어능력을 구비한 학생도 늘어나고 있고 텔레, 비전 등 공공매체의 한국어 원음 프로그램의 증가 인터넷의 비약적 발전과 보편적 사용 등, 한국어 학습기반과 기회가 다양화되어 입학 후 언어학습의 속도가 빨라지고 따라서 한국어 교 육과정도 단축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교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또한 최근 대학원 과정의 신설로 보다 심층적인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해졌다.

이미 많은 논자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언어와 문화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따라서 외 국어의 학습에서 해당 문화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조건이다.1) 특히 고급단계의 학 습과정으로 올라갈수록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됨은 주지의 사실이고 이에 근거하여 문화적 요소를 풍부하게 간직하고 있는 문학작품의 다양한 활용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필자 역시 한. 국 고전소설 《춘향전 을 대상으로 문학적 요소 문화적 요소 언어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세》 , , 개의 학습방안을 제시해 본 바가 있다.2) 문학작품 중에서도 고전소설은 이야기 구조 풍부한, 대화상황과 장면묘사 등 서사장르의 특징은 물론 한국문화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고 한자어도 풍부하게 내장하고 있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매우 적합한 교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문장으로는 박영순(1989), “제 언어서의 문화교2 육”(『이중언어학』 6호 이중언어학회, ), 조항록(1998),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 육 방안”(『한국어교육』9-2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윤여탁(2000),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의 위상과 역 할”(『국어교육연구』7집 서울대하교 국어교육연구소, ), 성기철(2001),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한국 어교육』12-2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양민정(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 고 -전문학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9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등 다수가 있다, ) . 2) 曾天富(2011),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고전소설 활용방안”(『한국학보』22집 타이페이 중화민국 한국, ,

연구학회)

2

3

4

5

6

7

8

9

10

11

12

-의 주제인 효도-의 실천에 대해서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되고 있는 불교적 세계관에 대해 중, 국 전통문화와의 비교 대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토론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원생일 경우 중국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전소설과의 영향관계 혹은 비교연구를 진. , 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며 특정 상황이나 사물에 관련된 단어는 학습자 스스로가 확장하여 찾아보게 격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종합하면 본문에서 제시한 내용은 고전소설, 《심청전 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한 한 시론이다 아직 실제 수업에 활용된 적이 없어. 학습효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는 이르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고 문학작품 특히 고전소설의 활용방안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기능적 관점에서 언어, , 능력의 교육에만 치우쳤거나 단편적 지식의 나열로 한국문화를 교육했던 데서 벗어나 두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교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이 논문은 필자가 현재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필요성 즉 고급단계 학습자에 알맞, 은 교재 부족을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쓰여진 것임을 말해 둔다.

科技部補助專題研究計畫出席國際學術會議心得報告

日期:103 年 10 月 31 日

一、參加會議經過

6 月 24-6 日 前往大連民族學院參加由該校與韓國國語教育學會共同主辦、主題為「口譯•筆譯和語言

相關文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