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沒有找到結果。

古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古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

Copied!
61
0
0

加載中.... (立即查看全文)

全文

(1)

科技部補助專題研究計畫成果報告

期末報告

古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

計 畫 類 別 : 個別型計畫

計 畫 編 號 : NSC 102-2410-H-004-218-

執 行 期 間 : 102 年 08 月 01 日至 103 年 07 月 31 日

執 行 單 位 : 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計 畫 主 持 人 : 曾天富

計畫參與人員: 碩士班研究生-兼任助理人員:賴芸軒

碩士班研究生-兼任助理人員:劉羿伶

報 告 附 件 : 移地研究心得報告

出席國際會議研究心得報告及發表論文

處 理 方 式 :

1.公開資訊:本計畫涉及專利或其他智慧財產權,1 年後可公開查詢

2.「本研究」是否已有嚴重損及公共利益之發現:否

3.「本報告」是否建議提供政府單位施政參考:否

中 華 民 國 103 年 11 月 01 日

(2)

為教學重點, 而且在聽說讀寫的基礎語言訓練過程中, 也幾

乎都是以現代生活中使用的韓語作爲基本的教學內容。不過

在進入高階的學習階段時, 文化教育甚或文學教育的重要性

相對提高, 此時透過選用韓國文化以及韓國文學素材的教學,

不僅可提供學習者豐富的語言詞彙以及應用語法的真實語境,

同時也可藉以讓學習者深入理解韓國深層的語言文化, 提高

學習者更進一步的溝通能力。但是, 基於學習現實的考量,

教學者此時選用的文學教材, 主要還是以現代文學內容居多,

而將古典文學排除在外, 畢竟要將韓國古典文學應用在韓語

教學或學習上, 向來即存在一定的難度。

但是, 不可否認的, 古典文學不僅蘊含著固有文化遺產, 保

有深層的文化要素, 還可提供多樣的詞句用語, 以及約定成

俗的典故與慣用表現, 同時也能提供學習者豐富的、多采多

姿的文化涵養, 絕對是可以作為學習韓語的很好學習教材。

我們從最近其他外語教學研究逐漸重視文化教育層面這點,

即可知道想要確實熟悉一國語言, 理解該國文化乃是不可或

缺的必要條件。更何況, 它不僅只作為學習外語的手段, 而

且從近來韓國本身的語文教育, 也會拿古典文學來作為文化

創意題材, 進行再解釋、再創造, 以使年輕世代得以更容易

接近自己文化的趨勢來看, 即可明瞭古典文學在韓語學習上

的實用性與重要性。

因此, 本文即在此認知的前提下, 繼前曾發表以活用“春香

傳“作爲韓國語教學題材的研究論文之後, 再以韓國具代表

性的古典小說“沈清傳“為例, 探討該作品的文學特徵, 以

及如何將該小說的內容應用在作為外語學習的韓語教學上,

而有效運用古典文學教學的方案又是如何等等問題。

中文關鍵詞: 韓國語教育, 古典小說教育, 沈清傳

英 文 摘 要 :

英文關鍵詞:

(3)

1

科技部補助專題研究計畫成果報告

期末報告

計畫名稱:古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

計畫類別:■個別型計畫 □整合型計畫

計畫編號:MOST 102-410-H-004-218-

執行期間:102 年 8 月 1 日至 103 年 7 月 31 日

執行機構及系所: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計畫主持人:曾天富

共同主持人:

計畫參與人員:劉羿伶(兼任研究助理)

賴芸軒(兼任研究助理)

本計畫除繳交成果報告外,另含下列出國報告,共 2 份:

■執行國際合作與移地研究心得報告

■出席國際學術會議心得報告

期末報告處理方式:

1. 公開方式:

■非列管計畫亦不具下列情形,立即公開查詢

□涉及專利或其他智慧財產權,□一年□二年後可公開查詢

2.「本研究」是否已有嚴重損及公共利益之發現:■否 □是

3.「本報告」是否建議提供政府單位施政參考 ■否 □是, (請列舉提供

之單位;本部不經審議,依勾選逕予轉送)

中 華 民 國 103 年 10 月 31 日

(4)

2

以外國人為對象的韓語教學,一向都會以溝通能力的培養作為教學重點,而

且在聽說讀寫的基礎語言訓練過程中,也幾乎都是以現代生活中使用的韓語作爲

基本的教學內容。不過在進入高階的學習階段時,文化教育甚或文學教育的重要

性相對提高,此時透過選用韓國文化以及韓國文學素材的教學,不僅可提供學習

者豐富的語言詞彙以及應用語法的真實語境,同時也可藉以讓學習者深入理解韓

國深層的語言文化,提高學習者更進一步的溝通能力。但是,基於學習現實的考

量,教學者此時選用的文學教材,主要還是以現代文學內容居多,而將古典文學

排除在外,畢竟要將韓國古典文學應用在韓語教學或學習上,向來即存在一定的

難度。

但是,不可否認的,古典文學不僅蘊含著固有文化遺產,保有深層的文化要

素,還可提供多樣的詞句用語,以及約定成俗的典故與慣用表現,同時也能提供

學習者豐富的、多采多姿的文化涵養,絕對是可以作為學習韓語的很好學習教

材。我們從最近其他外語教學研究逐漸重視文化教育層面這點,即可知道想要確

實熟悉一國語言,理解該國文化乃是不可或缺的必要條件。更何況,它不僅只作

為學習外語的手段,而且從近來韓國本身的語文教育,也會拿古典文學來作為文

化創意題材,進行再解釋、再創造,以使年輕世代得以更容易接近自己文化的趨

勢來看,即可明瞭古典文學在韓語學習上的實用性與重要性。

因此,本計畫即在此認知的前提下,繼前曾發表以活用“春香傳“作為韓國

語教學題材的研究論文之後,再以韓國具代表性的古典小說“沈清傳“為例,探

討該作品的文學特徵,以及如何將該小說的內容應用在作為外語學習的韓語教學

上,而有效運用古典文學教學的方案又是如何等等問題。

中文關鍵詞:

韓國語教育,古典小說教育,沈清傳

(5)

3

英文摘要:

Modern Korean language is commonly the main object of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mong basic training processes includ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or

writing, modern Korean language is widely chosen to be the primary teaching

material.

It is that modern literature is the leading object of learning materials, even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on foreign language teaching, abundant

vocabulary, syntax in real circumstances, and further understanding of culture of the

country provided by literary works, yet the classical literature is rejected. Accordingly,

it's quite difficult to apply Korean classical literature o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Undeniable, however, a choke point soon appears when learner comes to

a certain higher level if teaching material is mere modern literature, and tutor hardly

makes a move on it as well.

We should also recognize that no matter what country, their classical literature

contains its cultural heritage with plentiful cultural elements, is a fine learning

material. From the fact that recent foreign language research gradually emphasizing

the cultural education, understanding the culture is a necessary condition of getting

practiced with the language. Furthermore, not only a medium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but Korea herself also takes classical literature as a cultural creative

materials to re-interpret and re-creation, to make the young generation get close to

their own culture. By this trend we realize the practicability and significance of

classical literature on Korean language learning.

Based on these recognition, therefore the research object is Classical novel for the 1st

year, Oral literature for the 2nd and Shijo literature for the 3rd, to investigate how to

apply these objects on Korean teaching, and what an effective pedagogical program

through classical literature is.

英文關鍵詞:

(6)

4

一、前言

韓語作為外語的教學或學習,向以現代口語為主要標的,無論是在聽、說、

讀,或者寫作的基礎訓練過程中,一般都會以現代韓語作為基本教材的主要內

容。即令在認知到文學教育在外語教育上的重要性,體認到文學作品可提供豐富

的語言詞彙,提供應用語法的真實語境,甚而可藉以深入理解目的語文化,但大

都還是以現代文學為主要學習對象,而將古典文學排除在外。因此,可以說,要

將韓國古典文學應用在韓語教學或學習上,向來即存在一定的難度。不過,不可

否認的,在進入較為高階的學習階段時,單以現代韓語作為學習內容,學習者很

快即會碰到難以提升學習層次的瓶頸,而教學者也同樣會有窒礙難行之感。

我們也知道,無論是哪個國家,其古典文學可說是蘊含著該國固有文化遺

產,保有該國深層文化要素的很好學習教材。而且,文學作品不僅提供豐富的語

言,提供語法應用的真實語境,也提供了豐富的、多采多姿的文化。我們從最近

的外語教學研究逐漸重視文化教育層面這點,即可知道想要確實熟悉一國語言,

理解該國文化乃是不可或缺的必須條件。更何況,它不僅只作為學習外語的手

段,從近來韓國本身的語文教育,也會拿古典文學來作為文化創意題材,進行再

解釋、再創造,以使年輕世代得以更容易接近自己文化的趨勢來看,即可明瞭古

典文學作品在韓語學習上的實用性與重要性。

二、研究目的

因此,本計畫擬在此認知的前提下,乃以古典小說為研究對象,探討如何將

韓國古典小說應用在作為外語學習的韓語教學上,同時在不同階段有效運用古典

文學教學的方案又是如何。而本次計畫暫時先以古典小說〈沈清傳〉作為研究實

例。

在執行研究計畫中,本人以個人多年來的韓語教學經驗作為基礎,以韓國家

喻戶曉的古典小說為媒介,考察對高階韓文學習者韓語教學的實施方案。就古典

文學運用在韓語教學上來看,它具有相當的難度,這是無庸置疑。以政大韓語系

(7)

5

為例,韓語教育如同其他語種教育一樣,它同樣開設了文學相關課程,或在高年

級閱讀課程裡涵蓋文學鑒賞、文學閱讀,以及文學理解的訓練。按照一般教學者

的做法,其教材一般都會收錄具有代表性的韓國文學作品,且基本上都是原文或

者是原著的節選,文學形式則以小說為主,亦包括詩歌和隨筆;而在教學方法上

基本上採用詞彙分析、語句分析、語篇賞析與應用的方式講授。不過也不能否認,

文學教育的效果一向不如人意,文學課程選課人數少,教師感到迷惑,學生期待

值不高,上課成效低落。即令如此,一般認為,文學教育仍然是提高人文素質和

文化水準,加強人性教育的重要途徑。因為文學集思想、人文、社會、歷史、審

美於一體,是人文素質教育的根本。更且,如上所述,文學教育在外語學習上,

絕對有其不可輕忽的實用性與重要性。因此,透過本研究計畫的執行,希望能在

運用古典小說作品於教學時,找出最有效的教學方法,同時又能讓學習者獲致最

大成效,此為本研究的主要目的。

三、文獻探討

國內學界針對韓國古典文學在韓語教學方面的相關研究,截至目前僅有個人

於『韓國學報』第 22 期發表的「古典小說在韓語教學上的活用方案」論文(2011.05,

中華民國韓國研究學會,頁 63-80)一篇。但韓國學界近十年來,雖然相較於韓語

教學其他領域的研究,要屬鳳毛麟趾,但陸續也有數篇值得稱許的學術論文問

世。這些有關文學在韓語教學上的硏究論文,大多是透過學術會議發表,然後再

刊登於學報期刊,此外還有多篇的碩博士學位論文問世。

綜觀這些論文,可知近十幾年來有關韓國古典文學在韓語教學方面的研究確

實已逐漸增多,不過嚴格來說,這些論文的撰述者大多以純粹學術研究的立場出

發,或針對未來可能擔任韓語教學工作而撰述學位論文者,因此普遍都缺乏現場

實際教學經驗。因此,本研究計畫提出以個人實際教學經驗為研究基礎,再就「古

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的概念和框架,來討論韓國古典文學在教學

上的應用方案,即是希望能夠以更實際而有教學成效的目標作為前提。

四、研究方法、結果與討論(如下附論文)

(8)

심청전을 대상으로

-曾天富* 1) 1. 머리말 2. 심청전의 소설적 특징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 3. 심청전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내용 4. 맺음말 <한국어초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언어소통 능력의 배양을 그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일반 적으로 언어능력 위주의 실용주의적 관점에 의거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와 쓰기의 기 초훈련 과정에서 현대 한국어를 습득할 수 있게 노력하는 데 중점을 두게 마련이다. 따라서 비록 문학교육이 외국어 교학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지한다 하더라도, 예를 들어 문학작품이 가진 풍부한 어휘와 문법의 응용에서도 실제적인 생활의 맥락을 제공 하며, 나아가 대상언어가 가진 특수한 문화를 심도 있게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현대문학을 주요학습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전문학은 제외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따라서 한국고전문학을 한국어 교학과 학습에 응용하는 것은 그다지 쉬운 일은 아니라고 하겠다. 하지만 비교적 고급단계로 진입한 한국어 학습자 에게 있어서 현대 한국어만으로는 더 높은 단계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 키기 어렵게 되고 교학자 역시 동일한 병목현상을 느끼게 된다. 세계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고전문학은 그 나라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있어 심층적 인 문화요소를 학습할 수 있는 좋은 학습교재이다. 뿐만 아니라 문학작품은 풍부한 어 휘의 저장고이면서도 대화 장면이 많아 실제적인 언어 환경을 제공하며 동시에 풍부하 고 다양한 문화를 접촉하게 해 준다. 최근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을 중시하는 추세 * 臺灣 政治大學 敎授

(9)

는 바로 이러한 점에 기인한다고 하겠다. 문화는 한 나라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로 외국인 학습자뿐 아니라 자국의 언어교육에서도 매우 중시되고 있는데 고전 문학을 재해석하고 재창조한 문화 콘텐츠로 젊은 세대들에게 자국문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최근의 현상이 고전문학의 유효성과 중요성을 잘 말해 주고 있다. 본문은 이러한 인식하에 대표적인 고전소설인 <심청전>을 한국어교육 교재로 활용 하기 위해 그 문학적 특징과 내용, 언어적 습관 및 한국문화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외 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구상해 본 것이다. 주제어 : 한국어교육, 고전소설교육, 심청전

1. 머리말

본문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소설 심청전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데 목적 이 있다. 필자는 재직하고 있는 대만 정치대학의 한국어문학과에서 다년 간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는 한국어 단계별 과정과 한국문학개론, 문학작 품 등을 강독하여왔다. 대만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느낀 경험에 의하면, 2000년대 초반 한국 드라마를 필두로 한류가 형성되었고, 한국이 아시아 금융위기에서 보여준 빠른 회복과 이어 세계경제에서의 지위 상승, 최근 케이팝으로 불리는 한국대중음악이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한국어는 대만 사회에서 상당히 주목받는 외국어가 되었고 이런 현상은 일반 직장인의 한국어 학습 열풍뿐만 아니라 대학에서 한국어과 지원자의 높은 경쟁률 에서도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특히 이전에 비해 한국어과 입학자 중 고등학교의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선택했거나 개인적인 선행학습을 거쳐 이미 한국어의 기초언어능력을 구비한 학생도 늘어나고 있고, 텔레

(10)

비전 등 공공매체의 한국어 원음 프로그램의 증가, 인터넷의 비약적 발전 과 보편적 사용 등 한국어 학습기반과 기회가 다양화되어 입학 후 언어학 습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한국어 교육과정도 단축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교재의 개발이 필요하 게 되었으며 또한 필자가 재직하는 대학에 최근 대학원 과정이 신설되어 보다 심층적인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해 졌다. 이미 많은 논자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언어와 문화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따라서 외국어의 학습에서 해당 문화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 며 필수적인 조건이다.1) 특히 고급단계의 학습과정으로 올라갈수록 문 화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됨은 주지의 사실이고 이에 근거하여 문화적 요 소를 풍부하게 간직하고 있는 문학작품의 다양한 활용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필자 역시 한국 고전소설 춘향전을 대상으로 문학적 요소, 문화 적 요소, 언어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세 개의 학습방안을 제시해 본 바가 있다.2) 문학작품 중에서도 고전소설은 이야기 구조, 풍부한 대화상 황과 장면묘사 등 서사장르의 특징은 물론 한국문화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고 한자어도 풍부하게 내장하고 있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 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매우 적합한 교재라고 할 수 있다.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문장으로는 박영순(1989), “제2 언어서의 문화교육”(이중언어학 6호, 이중언어학회), 조항록(1998),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한국어교육9-2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윤여탁(2000),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의 위상과 역할”(국어교육연구7집, 서울대하교 국어교육연구소), 성기철(2001),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한국어교육12-2집, 국 제한국어교육학회), 양민정(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한국 고전 문학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9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등 다 수가 있다. 2) 曾天富(2011),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고전소설 활용방안”(한국학보22집, 타이페 이, 중화민국 한국연구학회)

(11)

이에 본문은 고급단계 한국어 학습자와 대학원생의 심화학습을 위한 교재로 심청전을 선정해 실제 학습안의 작성보다는 언어적 측면과 문 화적 측면의 요소를 추출하여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에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3)

2. 심청전의 소설적 특징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활용 가

능성

외국어 교육의 목표는 학습자에게 해당 언어를 읽고 쓰고 말하고 이해 하는 언어의 기능적 부분을 습득케 하는 데 있고 그 궁극적 목적은 원활 한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는 데 있다. 그런데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의 기능적 부분의 학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적 의미의 습득만으로 는 부족하다. 언어 속에 담겨있는 함축적 의미와 그 언어가 사용되는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능력이 있어야만 진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외국어 교육에서 문화 요소가 날로 중시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고, 고전과 현대를 막론하고 문학작품이 문화 교육의 효과적인 교재로 거론되고 있다.4) 한국어 교육에서도 예외가 아닌데, 문화 관련 지식의 3) 심청전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논문으로는 공위나(201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심청전〉교육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정원(2013), “심청 전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한국고전연구 27집, 한국고전연구학회), 탕지에 (2014),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심청전을 중심으로-”(청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오단(2014), “심청전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한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등이 있다. 본문은 이들 논문에서와는 다른 판본의 심청전을 택해 논의한 것이다. 4)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한 문장으로는 윤여탁(2003), “문 학교육과 한국어교육”(한국어교육14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윤여탁(2007)외국 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한국문화사), 신윤경(2008),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 트 연구”(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등이 있다.

(12)

단편적인 나열보다는 문학작품을 교재로 사용할 경우 효과가 배가됨을 주목해 왔다. 문학은 우선 언어를 매개체로 하여 한국인의 가치체계와 생활방식 등 유, 무형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드러내고 있어 언어기능과 문화 요소의 동시 교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재료이다. 또한 문학작품은 해당 집단의 삶의 방식과 질을 동시에 반영하는 고급스런 언어 표현의 산물이며 그 언어를 공유하는 집단의 사고방식과 생활형태의 특징을 가 장 잘 담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한다면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집단 적 의미를 공유하게 하여 원활한 문화 간 소통을 가능케 할 것이다. 문학작품 중에서도 특히 소설 장르는 인물의 관계에 치중하고 인간 삶의 모습을 치밀하게 보여주는 서사적 특질로 인해 풍부한 대화적 맥락 과 장면의 제시로 인간 심리가 행동으로 구체화되는 미세한 감정의 표현 을 잘 드러낸다. 따라서 한국어의 기본어휘와 기본문형을 추출할 수 있는 자료의 보고이고 다양한 계층의 인물이 보여주는 화법의 전형을 찾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인간 활동의 환경이 상세하게 묘사되고 제시됨에 따라 한국의 자연과 물질문화에 속하는 각종 사물의 명칭도 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또한 고전소설은 한국 전통문화의 집약체라고 해도 과언 이 아닌데 한국인의 고유한 정신세계와 가치관, 신앙, 풍속, 예속 등이 집중적으로 드러나고 의식주 등 생활양식과 정치, 사회, 교육 등 제도문 화도 폭넓게 접촉할 수 있다.5) 언어적 측면에서도 한국어 이해에 필요한 배경 문화요소, 원활한 의사소통에 필요한 속담, 의성어, 의태어와 관용 5) 한국어 교육에서의 고전소설 활용방안을 논의한 문장으로는 양민정(2003), “고전소 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국제지역연구 7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 구센터), 이숙진(2008),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학습자 등급에 따른 교재구성을 중심으로”(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혜진(2011),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홍길동전을 중심으로”(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등 다수가 있다.

(13)

적 표현이 많고 실제적 담화상황에서의 어휘, 표현, 문체 등 언어 사용 관습을 배울 수 있다. 특히 심청전과 같이 한국인의 전통적 정신이 잘 형상화되어 있는 고전소설은 대중매체의 보도문이나 광고문과는 달 리 정화된 감정과 세련된 감각으로 다듬어져 고급언어로서의 문학 언어 의 정수를 보여주는 동시에 현대 일상 언어에도 계승된 부분이 많아 기능 적 언어습득에도 실질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재료라고 하겠다. 본문의 토론 대상인 심청전은 조선시대에 형성되어 지금까지 시대와 계층, 연령과 성별의 구분 없이 많은 향유층을 확보하고 있는 한국 최고 의 고전소설 중 하나이다. 판소리계 소설에 속하는 심청전은 오랜 시간 에 걸쳐 전승되고 개작되는 동안 많은 이본이 만들어졌고, 그에 따른 다양한 해석이 있어 왔으며 현대에 이르기까지 소설, 시, 희곡, 영화, 공연물, 애니메이션 등의 다양한 모습으로 새롭게 변용되는 등 한국인의 전통문화와 정서를 보존, 계승해 오고 있는 작품으로 문화 교육에 적합한 교재라고 할 수 있다. 다른 판소리계 소설처럼 심청전 역시 근원설화에서 판소리 사설로 이것이 다시 문장체 소설로 정착된 것이며, 따라서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인 운문체와 산문체 결합, 양반층 언어와 서민층의 언어가 혼재하는 문체 의 이중성, 현장감을 구현하기 위한 의성어와 의태어의 잦은 사용과 상투 적인 비유어의 대량 등장, 그리고 장면의 극대화로 인한 세밀한 묘사를 보여주며, 그밖에도 사설체의 특징인 현재진행형의 우세와 인물에 대한 전지적 시점, 편집자적 논평이 곳곳에서 드러난다. 이를 정리하면 심청 전은 서민층과 양반층으로 구성된 한국 전통사회와 문화의 이중적 구조 를 잘 보존하고 있는 문학 텍스트이라고 하겠다. 이런 성격은 운문과 산문, 비속어와 한자어의 혼재 등 사용언어에서도 드러나고, 판소리의 현장성과 공연성에서 연유한 구어체와 대량의 삽입가요, 그리고 문장체

(14)

고소설의 특징인 한자어와 전고, 사자성어, 중국 고전시사 등의 삽입 등 문체와 표현방식에서도 다분히 이질적인 요소가 조화되어 나타난다. 또 한 두 계층 인물들을 통해 드러나는 가치관, 생활방식과 태도, 신앙, 풍속 습관 등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심청전은 언어적 측면이나 문화적 측면에서 모두 풍부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어 교재로서 손색 이 없다 하겠다. 본문에서는 1984년 서문당에서 나온 한국고전문학 100의 목판본  심청전을 교재로 검토하고자 한다.6) 이 판본은 기본적으로 원문에 충실 하되 고문을 현대 철자법으로 옮겨 표기했다. 하지만 어려운 한자어는 노출시키고 한문이나 인명, 지명, 특정 고사는 각주로 설명을 부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중국어 사용 학습자에게 상당히 편리하다. 아래 세 부분을 발췌하여 목판본 심청전의 문체 특징과 어휘, 문체, 표현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 교재로서의 적합성을 가늠해 보기로 한다. 大宋대송 元豊원풍 연간에 黃 황 州주 桃도花화洞동 사는 사람이 있으니, 성은 沈 심 이요, 일흠은 鶴학奎규라. 屢누代대 簪잠纓영世세族족으로 문벌이 혁혁하나 가운이 체하여 이십에 안맹 하니, 洛낙水수靑청雲운에 발자취 끊어지고 수에 공명이 비었으니, 향곡의 곤 한 신세 근한 친0척이 없고 겸하여 안맹하니 뉘라서 대접할까마는, 본디 양 반의 후예로서 행실이 첨0렴정직하고 지개 고상하여 일동일정을 조금도 경솔 히 아니 하니, 그 동리 눈뜬 사0람은 모두 칭찬하는 터이라. (11) 애고, 이게 웬 말이냐. 응 참말이냐. 말 같지 아니하다. 나보고 묻지도 않고 마음대로 한단 말가. 네가 살고 내 눈 뜨면 그는 응당 좋으려니와, 네가 죽고 내 눈 뜨면 그게 무슨 말이 되랴.(중략) 네 이 선인놈들아, 장사도 좋거니와 6) 김기동, 전규태 편찬, 한국고전문학100-13 심청전․옹고집전․옥란빙, 서문당, 1984.

(15)

사람 사다 제수 넣는 데 어디서 보았느냐. 하느님의 어지심과 귀신의 밝은 마 음 앙화가 없을 소냐. 눈 먼 놈의 무남독녀 철모르는 어린 것을 나 모르게 유 인하여 사단 말이 웬 말이냐. 쌀도 싫고 돈도 싫고 눈 뜨기 내 다 싫다. (44) 당0초 말0씀 못한 일을 후회한들 어찌하며, 또 한 몸이 위친하여 정성을 다차 하면, 남0의 무명색한 재물을 바라리까. 백미 삼백 석을 도로 내준다 한들 선 인들도 임0시낭패 그도 또한 어렵삽고, 사람이 남에게다 한 몸을 허락하여 값 을 받고 팔0렸다가 수삭이 지난 후에 차마 어찌 낯을 들고 무엇이라고 보오리 까. 노친 두고 죽는 것이 효 하는 줄은 모르는 바 아니로되, 天 천 命명이니 하릴없소. 부인의 높은 은혜와 어질고 착한 말씀 죽어 황천에 돌아가서 결0초 보은 하0리이다. (46) 상술한 심청전에 근거해 한국어 교육 교재로서 선정한 근거와 활용 가능한 언어와 문화적 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심청전은 고급 수준의 학습자가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한국어 의사소통에 활용할 수 있는 문화적 요소를 풍부하게 지닌 작품으로 한국 의 가족제도, 사회, 관습, 의식주, 가치관 등 한국 문화의 특성을 담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가사노동, 장례, 공동체 의식, 제의 방식, 가족제도, 세계관, 잔치 등 사회 문화적 면모가 풍부하다. 둘째, 심청전은 효(孝)라는 인류 보편적인 주제를 한국인의 고유한 생활방식과 정신세계를 통해 드러내고 있어 보편성과 동시에 한국인의 민족성을 고찰할 수 있는 작품으로, 구체적으로 유교, 불교, 민간신앙 등 사상 문화적 측면을 고찰할 수 있으며 중국과의 비교이해가 가능하다. 셋째, 심청전에는 사자성어, 전통한시 등 한자어가 많이 나오며, 중국 역사인물의 전고가 대량 등장하여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한국어로 표현하는 방식을 배울 수 있다.

(16)

넷째, 심청전에는 일상생활에 쓰이는 풍부한 어휘와 관용적 표현 및 의성어, 의태어가 풍부하고 일인칭 화자의 전지적 시점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기 때문에 순서, 이유, 목적을 표현하는 풍부한 연결어미와 사동표현이 많아 한국어의 어휘, 문법, 표현을 익힐 수 있다. 다음 절에서는 상술한 심청전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두 가지 요소인 문화적 내용과 언어적 내용을 추출하고 중국어 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 학습자를 위한 설명을 부가하기로 하겠다.

3. 심청전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내용

심청전이 판소리계 소설에 속하므로 강독을 시작하기 전에 이에 대 한 사전 지식, 즉 인신공희설화(人身供犧說話), 효행설화(孝行說話) 같은 근원설화에 대한 설명과 오랜 시간 적층과정을 거치며 탄생한 판본과 이본, 및 목판본, 필사본, 활자본 등 고전소설의 전승형태, 그리고 경판본 계열과 완판본 계열의 다른 점 등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한국고전소설과 중국고전소설과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고, 심청전의 서술방식, 예를 들 어 인물의 출생, 성장, 집 떠남, 시련, 신분변화, 후일담의 순차적 전개로 이루어지는 일대기적 서술 및 중국 천자의 연호사용, 중국지명의 등장 등 중국이 소설 시공간의 배경인 점을 설명하고 인물의 제시 방식에 있어 서도 가계, 신분, 외모, 사람됨의 순서로 소개하는 방식 등 양국 고전소설 의 공통점을 먼저 제시한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의 문체적 특징, 즉 문언/구어, 한자어/비속어, 산문 체/운문체의 혼용과 전라도 방언 같은 특징 지역의 언어가 우세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하고 판소리 사설체와 문장체의 차이에 대해서도 사전 인지 하도록 한다. 이 부분에서 중국 고전소설과의 대조 비교가 가능하므로

(17)

특정 소설을 선정하여 중국소설의 서두 부분을 심청전과 같은 형식으 로 번역, 개작해 보는 과제를 제시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심청전의 주제가 유교사상의 핵심인 효도의 중시이며 그밖에도 불교 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은 공인된 사실이다. 부모에 대한 효는 인류 보편적 가치지만 특히 한국의 효사상은 중국의 유교적 가치관에서 전래하여 집적되고 진화한 것이므로 이를 설명할 때 유가문화의 한국 전래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한문화권, 혹은 유교문화권의 형성 등에 대한 사전 지식을 숙지하게 한다. 심청전에서 드러나는 구체적인 효행은 몇 가지 단계로 나타나는데 다섯 살 어린 심청이 눈먼 아버지를 인도해 동냥을 다니고, 좀 더 철이 들면서 구걸과 집안일, 아버지 공양을 극진히 하며, 나아가 심봉사가 화주승에게 눈을 뜨겠다고 공양미 삼백 석 시주를 덜컥 약속하고 후회하자 심청은 부친의 근심을 덜고 소원을 이루기 위해 자신을 팔기로 한다. 심청의 효행은 자신의 고단함을 개의치 않고 부친을 지극히 보살피고 봉양하는 것은 물론이고 부처님께 한 약속을 어길까봐 전전긍긍하는 부친의 마음을 헤아려 살신성효(殺身成孝)의 경지로까지 나아간다. 이 부분의 설명과 함께 가족애의 근본이자 인간의 도리인 효의 현대적 실천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효도와 효행에 대한 생각을 드러내 는 또 다른 부분은 심봉사와 곽씨 부인의 대화에서 보이는 후사를 잇지 못하는 것을 불효라고 여기는 것이다. 이 역시 중국의 효 관념과 공통된 것으로 孟子원전을 찾아보게 하고 '대를 잇다'. '대가 끊기다' 등 관련 어귀나 표현을 학습시킨다. 후사가 없다는 것은 조상에 대한 제사를 모실 수 없기 때문이므로 이와 관련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한국의 제사풍 속과 그에 따른 가족 구성원의 역할 등에 대해 학습케 한다. 소설에서 심청은 목숨을 팔아 효도를 실천하는 극단적인 방식을 채택 하고 있는데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는 공양미 삼백석이 필요했기 때문이

(18)

다. 부친이 약속한 삼백석은 부처님께 눈을 뜨게 해 달라고 공양을 드리 기 위한 것이고 우여곡절을 거치기는 하지만 결국 눈을 뜨게 됨으로써 소원은 이루어지는 셈인데 여기서 한국인의 불교신앙을 엿볼 수 있다. 동시에 삼백석의 공양미를 덜컥 약속한 후 근심에 쌓인 부친의 마음을 덜어주기 위해 심청이 지성을 드리는 장면에서는 목욕재계 후 뒤뜰에 정화수를 준비하고 합장하며 천지신명에게 비는 한국인의 민간신앙도 볼 수 있고, 그전에 후대를 잇게 해달라고 곽씨 부인이 정성을 들이는 장면에서도 동일하게 민간신앙에서 모시는 신의 종류와 그 배후의 문화 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민간신앙의 배후에는 '지성이면 감천이 다'는 한국인의 세계관이 깃들어 있고 뺑덕어미와 안씨 맹인의 처지를 통해 권선징악의 가치관도 보여주고 있는데, 이를 중국의 민간신앙, 세계 관과 비교하며 토론을 유도한다. 물론 현대에 와서 이러한 풍속은 많이 사라졌지만 그 가치관은 어떤 식으로든 한국인의 생활방식과 의식에 남 아 있으므로 학습자가 알고 있는 사례를 들어 볼 수 있게 유도한다. 그 외에도 곽씨 부인의 품팔이 장면에서 전통 여성들의 가사노동 내용 과 곽씨 부인의 장례장면에서 장례 문화와 공동체 생활을, 심청을 용왕의 제물로 바치려는 내용에서 행선 무역과 관련된 제의 문화, 바다와 관련된 사람들의 이야기 등을 알 수 있고, 도화동, 인당수 가는 길, 용궁, 황성 등 심청의 이동에 따른 자연환경의 변화 및 이와 관련된 지리와 인물고사 도 찾을 수 있다. 보다 세세한 부분은 아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1) 문화적 요소 ․긍정적인 여성에 대한 묘사 임사(妊姒)의 덕, 장강(莊姜)의 색, 목란(木蘭)의 절개, 예기(禮記)․가례(家 禮)․內則篇(내칙편), 주남(周南)․소남(召南)․관저시(關雎詩), 봉제사, 접빈 객, 인리 화목, 가장 공경, 치산

(19)

→ 외모가 출중하고 현명하며 행실 바르고 예절과 시사에도 능통하며 재주 있는 팔방미인 혹은 현모양처의 여성상을 말할 때 위의 고전중국 여성과 경전을 들었으며, 이를 통해 전통 한국 여성이 담당해야 할 가사의 범위 를 설명하고 같은 경우의 중국 전통 여성상을 찾아오도록 과제를 낸다. ․가난과 청빈함에 대한 묘사 이제(夷齊)의 청렴, 안자(顔子)의 가난, 일간두옥, 단표자(單瓢子)에 반소음 수(飯蔬飮水) → 夷齊顔子에 대한 고사를 찾아오도록 하고, 일간두옥과 단표자의 현대 식 표현법(예를 들어 단칸방이나 물로 허기를 채운다 등)을 설명한다. ․옛날 돈의 단위 푼(分), 돈(錢), 냥(兩), 관(貫) → 이외 문(文), 환(圜), 원(圓)등의 사용과 옛 단위에서 파생한 '푼돈'의 용 법도 설명한다. ․태교와 관련된 금기 좌불변(坐不邊)하고 입불비(立不蹕)하며, 석부정부좌(席不正不坐)하며 할 부정불식(割不正不食)하고, 이불청음성(耳不聽淫聲)하고, 목불시사색(目不視 邪色)하여… → 현대의 태교방법과 금기를 찾아보게 하고 위의 내용과 비교하며 설명한 다. ․한국인의 신앙 대상 명산대천 신령당, 고묘(古廟) 총사(叢祠), 석왕사(釋王寺) 석불 보살, 미륵 님, 당(堂) 짓기와 칠성불공, 나한불공, 백일 산제(山祭), 제석(帝釋) 불공, 가 사(袈裟) 시주, 연등 시주, 창호(窗糊) 시주, 신중(信衆) 마지, 교량(橋梁) 적 선, 길 닦기, 집에서 하는 각종 제사 → 대자연에서부터 불당과 절에 드리는 불공, 공적인 일에 시주와 적선, 집 에서 행하는 제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종교와 민간신앙, 및 소원을 비는 방식과 절차, 마음가짐 등에 대해 설명한다. ․장례와 관련된 표현

(20)

관곽(棺槨), 상여(喪輿), 결관(結棺), 명정(銘旌), 공포(功布), 발인제(發靷 祭), 상두, 북망산, 안장, 평토제(平土祭), 축문 → 중국의 상례(喪禮)와 비교하면서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찾고 현대에 어떻 게 변모했는지, 여전히 상용되는 용어는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다. ․효행과 관련된 이야기 까마귀의 반포(反哺), 자신의 아이를 희생시켜 부모를 공양한 곽거(郭巨), 엄동설한에 죽순을 캐서 부모 공양한 맹종(孟宗), 자로(子路)의 백리부미(百 里負米), 자신을 팔아 아비를 구한 제영(緹縈) → 이중 현대에도 여전히 쓰이는 예로 반포지은(反哺之恩)을 들고, 다른 이 야기의 예가 현대에 더 거론되지 않는 이유와 효의 현대적 의미를 토론 한다. ․어여쁜 여성의 형용 팔자청산(八字靑山) 가는 눈썹, 초생편월(初生片月) 정신이요, 양협(兩頰) 의 고운 빛은 새로 핀 부용화, 단순호치(丹脣皓齒) 말하는 양 용산(隴)의 앵 무로다. → 고전미녀와 현대미녀를 형용하는 단어를 찾아 비교하면서 익히게 하고,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표현을 찾아보게 한다. ․소원 빌기 후원을 정히 하고 향토로 단(壇)을 모아 두고 좌우에 금줄을 매고 정화수 한 동이를 소반 위에 받쳐 놓고 북두칠성 행야반(行夜半)에 분향재배한 연후 에 두 무릎 공손히 꿇고 두 손 합장 비는 말이 → 한국 민간신앙에 대해 소개하고 금줄, 정화수, 합장 등이 어떤 때 쓰이는 지 설명한다. ․신앙의 대상 옥황상제, 사해용왕, 수정궁, 별주부, 太乙眞君, 安期生, 赤松子, 葛仙翁, 월 궁항아, 서왕모, 麻姑仙女, 洛浦仙女, 南嶽夫人, 팔선녀 → 중국과 동일신인 이유를 설명하고 소원의 내용에 따라 봉양하는 신이 다 른 점과 현대 한국인의 신앙형태도 소개한다.

(21)

․고전건축과 집치레/ 그릇과 음식 호박 기둥, 백옥 주초, 대모 난간, 산호 주렴/ 玻璃床, 樺榴盤, 산호잔, 호박 대, 자하주, 蓮業酒, 麒麟脯, 호로병 醍醐湯, 감로주, 금강석 삭인 쟁반, 安期 蒸棗 → 한옥의 형태와 장식, 전통음식을 소개하고 학습자가 알고 있는 한국음식 에 대해 발표, 토론하게 한다. ․기화요초 홍련화, 한매화, 모란화, 배꽃, 두견화, 백일홍, 연산홍, 난초, 파초, 석류, 유 자, 머루, 다래, 철쭉, 진달래, 맨드라미, 봉선화 → 한자어로 된 꽃 이름일 경우 대조하면서 설명하고 각 계절을 대표하는 한국의 꽃을 소개한다. ․결혼식 의복 녹의홍상, 족도리, 봉차(鳳釵), 죽절(竹節), 밀화불수(蜜花佛手) 산호가지, 명월패(明月佩) 울금향(鬱金香) 당의(唐衣), 원삼 호품(好品) → 전통 혼례식의 절차와 현대의 결혼식 풍속도에 대해 소개하고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는 전통에 대해 알아본다. ․뺑덕어미의 행위를 통해 본 못된 짓 쌈을 주고 엿 사먹기, 벼를 주고 고기 사기, 잡곡을랑 돈을 사서 술집에 술 먹기와 이웃집에 밥부치기, 빈 담뱃대 손에 들고 보는 대로 담배 청키, 이웃집 을 욕 잘하고 동무들과 싸움 잘 하고, 정자 밑에 낮잠 자기, 술 취하면 한밤중 에 긴목 놓고 울음 울고, 동리남자 유인하기, 일년 삼백 육십일을 입 잠시 안 놀리고는 못 견디여 집안의 살림살이를 홍시감 빨듯 홀작 없이 하되 → 전통 공동체사회에서 비난받는 행위를 알아보고 이를 현대적으로 해석 하게 한다. ․속담과 격언 공든 탑이 무너지며 힘든 나무 부러지랴. 외 붓듯, 가지 붓듯 개밥에 도토리요, 꿩 잃은 매.

(22)

지리산 갈가마귀 게발 물어 던진 듯이 짝 잃은 외기러기 엉클어진 그물이 되고 쏘아놓은 살이로다. 유월 까마귀 곤 수박 파먹듯 세상에 덧없는 것은 세월이요. 무정한 것은 가난이라. 불효 삼천에 무후위대(無後爲大)라. → 속담과 격언의 뜻을 설명하고 이를 들어 한국인의 가치관과 비유적 표 현, 현대 일상생활에도 자주 쓰이는 관용적 표현을 제시한다. (2) 언어적 요소 ․한자어 잠영세족(簪纓世族), 금장자수(錦帳刺繡), 기구지업(箕裘之業), 일취월장 (日就月將), 십시일반(十匙一飯), 천생여질(天生麗質), 안빈낙도(安貧樂道), 오색채운(五色彩雲), 서기반공(瑞氣蟠空), 선인옥녀(仙人玉女), 남전북답(南 田北沓), 풍한서습(風寒暑濕), 삽삽비풍(颯颯悲風), 소소세우(蕭蕭細雨), 영 결종천(永訣終天), 여광여취(如狂如醉), 향양지지(向陽之地), 고분지통(叩墳 之痛), 만경인종(萬逕人蹤), 단순호치(丹脣晧齒), 춘풍세우(春風細雨), 일모도 궁(日暮途窮), 불피풍우(不避風雨), 내인거객(來人去客), 수수과슬(垂手過膝), 백로규어격(白鷺窺魚格), 활인지불(活人之佛), 용지불갈(用之不竭), 취지무궁 (取之無窮), 출천대효(出天大孝), 사친지절(事親之節), 사궁지수(四窮之首), 혼불수신(魂不守身), 허장어복(虛葬魚腹), 일루잔면(一縷殘命), 십생구사(十 生九死), 막지소향(莫知所向), 해불양파(海不揚波), 거수장읍(擧手長揖), 실 가지락(室家之樂), 인도환생(人道還生), 적년회포(積年懷抱), 금세신역(今歲 身役), 안맹(眼盲), 시비(柴扉), 침선(針線), 방직(紡織), 애락(哀樂), 별증(別 症), 문의(問醫), 어한(禦寒), 계적(繼跡), 기부(肌膚), 기세(棄世), 여환(旅宦), 여공(女攻), 의형(儀形), 무비(無比), 일력(日力), 명도(命途), 노혼(老昏), 완인 (完人), 지공(至公), 후박(厚薄), 흠향(歆饗), 상고(商賈), 지빈(至貧), 행선(行 船), 사세(事勢), 난정(難定), 초종(初終), 현수(懸殊), 몽조(夢兆), 작배(作配),

(23)

구일(俱一), 장리(長利), 무상(無狀), 차착(差錯), 포쇄(曝曬), 액회(厄會), 격장 (隔墻), 추천(鞦), 택반(澤畔), 초수(楚囚), 거연(居然), 수직(守直), 모춘(暮 春), 천인(賤人), 경점(更點), 익조(翌朝), 향안(香案), 전곡(錢穀), 수변(水邊), 좌기(坐起), 조요(照耀), 억만고(億萬古) → 사자성어를 포함한 한자어는 중국어가 모어인 학습자에게는 매우 익숙 하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다. 중국어와 용법이 다른 것과 현대 한국어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한자어를 특별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전고(典故) 임사(妊姒)의 덕, 장강(莊姜)의 색, 목란(木蘭)의 절개(출중한 여성의 예) 河梁落日 수천 리는 蘇通國의 모자 이별, 遍揷茱萸少一人은 龍山의 형제 이별, 征客關山路幾重은 吳姬越女 부부 이별, 西出陽關無故人은 渭城의 붕 우 이별(각종 이별) 長沙 賈太傅, 汨羅水 屈原, 崔顥 黃鶴樓, 白樂天 琵琶聲, 蘇東坡 赤壁江, 曹孟德 赤壁大戰, 姑蘇城台, 寒山寺, 秦淮水, 隔江 商女등(인당수로 가는 길) → 심청전에는 중국 문인들과 역사 인물들을 소재로 한 전고가 많은데 이 를 찾아오게 하고 어떠한 상황에 사용되며, 현대까지 자주 쓰이는 전고 를 소개한다. ․중국 인명과 지명 孔明, 曹操, 周瑜, 陶淵明, 夷齊, 顔子, 東方朔, 石崇, 曾子, 班姬, 子路, 緹 縈, 屈原, 懷王, 李太白, 蘇東坡, 孟嘗君, 伍子胥, 宋玉, 東方朔, 阮籍, 王子 晉, 趙子龍/ 岳陽樓 吳山楚水, 巫山, 洞庭湖, 蒼梧山, 會稽山 등 → 중국 역사인물과 그들의 이야기는 대만 학생들에게 매우 익숙한 것이므 로 어떤 상황에서 인용되는지, 그리고 현대까지 상용되는 인물고사에 대 해 숙지하게 한다. ․중국한시의 직접 인용과 창작 한시 日暮鄕關何處是, 烟波江上使人愁(崔顥, 黃鶴樓) 三神半落靑天外, 二水中分白鷺州(李白, 登金陵鳳凰臺) 落日浴沒峴山西(李白, 襄陽歌)

(24)

巴山夜雨漲秋池(李商隱, 夜雨寄北) 遍揷茱萸少一人(王維, 九月九日憶山東兄弟) 征客關山路幾重(王勃, 采蓮曲) 西出陽關無故人(王維, 送元二使安西) 蒼梧山崩湘水絕,竹上之淚乃可滅(李白, 遠别離) 帝高陽之苗裔兮, 朕皇考曰伯庸/ 惟草木之零落兮, 恐美人之遲暮。(楚辭, 離騷) 日落長沙秋色遠, 不知何處吊湘君(李白, 陪族叔刑部侍郎曄及中書賈舍人 至遊洞庭五首) 縱一葦之所如(蘇軾, 赤壁賦) 桂棹蘭橈下長浦(王勃, 採蓮歸) 遙瞻何處是中原/ 袖中奏罷一封書/ 淸曉頻聞讚拜聲(瞿佑, 剪燈新話) 天無烈風淫雨(黎崱, 安南誌略) 輕步凌波蹋明鏡(張耒, 對蓮花戲寄晁應之) 暗香浮動月黃昏(林逋, 山園小梅) 梨花滿地不開門(劉方平, 春怨) 生去死歸一夢間, 眷情何必淚潸潸, 世間最有斷腸處, 草綠江南人未還。/ 盡 情啼送斷腸聲/若道春風不解意, 何因吹送洛花來/ 金風颯以夕起, 玉宇廓其崢 嶸, 落霞與孤鶩齊飛, 秋水共長天一色。/ 細雨淸江兩兩飛/空船滿載明月歸/ 嗟君發船下陽城/ 心爲其親雙眼瞎, 殺身成孝死龍宮, 烟波萬里深深碧, 江草 年年恨不窮。/ 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後夜瑤池王母降/ 聲聲啼血杜鵑 花/昨日瑤花伴上期, 今日仙娥下天來(창작) → 어떤 작품이든 대만 학생들에게는 이해에 장애가 없으므로 인용된 한시 를 통해 한국 전통문인들의 문학적 소양을 토론해 본다. ․관용적 표현과 비유 기뻐 여기더니/ 몸져누워 앓으니/ 겁을 내어/ 정신 차려/ 비할 데 없어/ 슬피 우다/ 기가 막혀/ 불 쪼이다/ 자나 깨나/ 의지 없다/ 하릴없다/ 여중의 군자요, 禽中의 봉황이요, 花中의 모란이라./ 금을 준들 너를 사며, 옥을 준들 너를 사

(25)

랴. 어둥둥 내 딸이야./ 세월이 여류하여/ 은혜 백골난망이오/ 머리 풀고 애통 하며/ 동방이 밝아오니/ 근근히 호구하다/ 지성이면 감천이라/ 이팔청춘/ 불원 천리/ 사세부득/ 짝 잃은 외기러기 → 실생활에 습관이 되어 널리 사용되는 관용어를 숙지시켜 상황에 알맞은 풍부한 한국어 표현이 가능하게 한다. ․의성어와 의태어 꽝꽝/ 탕탕/ 동동/ 어뚜름 이어차/ 어화 너하/ 덜컥덜컥/ 치둥굴/ 댕그랑 댕 그랑/ 애걸복걸/ 풍덩/ 뚝뚝/ 허푸 허푸/ 풍덩/ 어둥둥/ 우둥퉁/ 애고 애고/ 뚜 루룩 낄국/ 훌쩍훌쩍/ 둥둥 두리둥둥/ 담숙/ 펄떡 우둥퉁/ 흔들흔들/ 아장아장/ 번쩍/ 꼭꼭/ 더듬더듬 → 뜻을 설명하고 현재까지 쓰이거나 이미 변화된 의성어와 의태어를 소개 한다. ․옛 낱말과 잘 쓰이지 않는 단어, 사투리 일흠/ 저미 없다/ 아해/ 안해/ 수양녀/ 물색 모르다/ 고의적삼/ 가군/ 안맹/ 수이/ 가마/ 동냥/ 객귀/ 교자/ 치하하다/ 행장/ 노자/ 품을 팔다/ 아바지 → 한국어 고어와 현대 한국어로의 변천, 표준어 제정, 맞춤법 규정 등에 대 해 간단히 소개하고 고전소설에서 자주 보이는 옛 단어를 정리하게 한다. ․특정 단어 阿明, 巨勝, 祝融, 禹彊(동서남북을 관장하는 신)/ 봉피리, 죽장고, 퉁소, 거 문고(악기)/ 삼신님, 산모, 해산, 구원, 순산(임신과 출산)/ 삯바느질, 삯빨래, 삯길쌈, 삯마전(품팔이)/ 닻, 돛, 노, 키(선박)/ 권선문, 공양미, 화주승(불교)/ 용궁, 용왕, 수정궁, 별주부(수궁)/ 북망산, 상두, 상두꾼, 황천길, 무명닷줄, 초 상, 축문, 봉분(죽음) → 심청전 이야기와 관련된 특정 단어를 찾아보게 한다. ․문법 -(으)ㄴ가/-(으)ㄹ 소냐/ -(으)더라/ -(으)ㄹ가/ -(이)ㄹ다/ -(이)라/ -(으)ㅆ세라/ -노라/ -로다/ -(으)리/ -(ㅂ)소서/ -(ㅂ)소/ -(이)런가/ -나이다/ -(으)ㄴ지라/ -(아/ 어)더라/ -(으)니까/ -(으)ㅂ데다/ -(으)ㅂ는다/ -(으)리/ -(으)오리까/ -(으)리오/

(26)

-(으)려무나/ -(으)리까/ -(으)겠나이다/ -(으)란다/ -(으)로다/ -(으)나이다/ -소/ -(으)ㄹ손가/ -(으)세/ -(으)오리까/ -(으)ㄴ지고/ -(으)ㄴ고/ -(으)로소이다/ -(아/ 어)ㅆ더라(종결어미) (으)는 터라/ (으)ㄴ 게니/ (으)라서/ (으)ㄹ까마는/ (으)ㄹ사/ (으)되/ -(으)ㄴ만/ -(아/어)거늘/ -(아/어)거든/ -(으)ㄹ 제/ -(으)련마는/ -(아/어)려니와 (연결어미) → 고전소설에 잘 쓰이는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를 소개하고 극존칭부터 하 대까지 말투를 학습시킨다.

4. 맺음말

본문은 판소리체 소설인 심청전 중에서도 비교적 한자어와 옛 표현 이 많이 남아있는 목판본을 선정하여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재로 활용하기 위해 문화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추출해 보았다. 본문의 목적이 강의안의 작성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구체 적인 교수시간에 따른 수업내용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본문에서 추출 한 요소에 대해 실제 한국어 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대해 약간의 설명을 첨가하였다. 심청전은 보편적 주제인 효를 다루고 있는 한국 고전소설로 풍부한 문화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특히 한자어가 많고 중국 역사인물과 문인들 의 전고가 곳곳에 배치되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대만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동시에 판소리계 소설의 서술방식을 잘 보존하고 있어 구어와 문언 두 종류의 문체를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인칭 전지적 시점과 서술자가 직접 개입하여 사건의 상황이나 인물의 성격에 대해 직접 평가하는 편집자적 논평의 특색으로 인해 어미의 사용

(27)

이 매우 집약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현재에도 상용되는 속담과 격언이 풍부함은 물론 고전소설의 특징인 관용적 표현 역시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야기의 전개와 맥락 속에서 학습자 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본문은 한국어 고급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논의이기 때문에 가능 하면 교학 시 심청전의 주제인 효도의 실천에 대해서,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되고 있는 불교적 세계관에 대해 중국 전통문화와의 비교, 대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토론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원생일 경우 중국 내용과 형식면에서 고전소설과의 영향관계, 혹은 비교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며 특정 상황이나 사물에 관련된 단어는 학습자 스스로가 확장하여 찾아보 게 격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종합하면, 본문에서 제시한 내용은 고전소설 심청전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한 한 시론이 다. 아직 실제 수업에 활용된 적이 없어 학습효과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 기는 이르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고 문학 작품, 특히 고전소설의 활용방안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기능적 관점에서 언어능력의 교육에만 치우쳤거나 단편적 지식의 나열로 한국 문화를 교육했던 데서 벗어나 두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교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이 논문 은 필자가 현재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느끼는 필요성, 즉 고급단계 학습자 에 알맞은 교재 부족을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된 것임을 말해 둔다.

(28)

[참고문헌] 김기동․전규태 편(1984), 심청전, 한국고전문학100, 서문당, 11-79쪽. 김종철(2002),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제재 활용의 전통」, 국어교육연구 제14집, 207-208쪽. 廖吳梅(2010), 唐傳奇戱劇化在閱讀敎學上的應用, 秀威(臺北), 9-17쪽. 류종렬(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중인문학연구 35, 46-53쪽. 양민정(2003), 「고전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법, 국제지역연구 제7권 제2호, 283-288쪽. 양민정(2006),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4호, 107-109쪽. 윤여탁(2007),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교육, 한국문화사, 76-85쪽. 증천부(2011),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고전소설 활용방안」, 한국학보 22, 중화민국 한국연구학회(臺北), 63-66쪽.

(29)

[Abstract]

活用古典小說的韓語敎學硏究–以沈淸傳爲例

曾天富

* 7) 以外國人為對象的韓語敎學, 一向都會以溝通能力的培養作為敎學重點, 而且在聽 說讀寫的基礎語言訓練過程中, 也幾乎都是以現代生活中使用的韓語作爲基本的敎學 內容。不過在進入高階的學習階段時, 文化敎育甚或文學敎育的重要性相對提高, 此 時透過選用韓國文化以及韓國文學素材的教學, 不僅可提供學習者豐富的語言詞彙以 及應用語法的眞實語境, 同時也可藉以讓學習者深入理解韓國深層的語言文化, 提高 學習者更進一步的溝通能力。但是, 基於學習現實的考量, 敎學者此時選用的文學教 材, 主要還是以現代文學內容居多, 而將古典文學排除在外, 畢竟要將韓國古典文學 應用在韓語敎學或學習上, 向來卽存在一定的難度。 但是, 不可否認的, 古典文學不僅蘊含著固有文化遺產, 保有深層的文化要素, 還 可提供多樣的詞句用語, 以及約定成俗的典故與慣用表現, 同時也能提供學習者豐富 的、多采多姿的文化涵養, 絕對是可以作為學習韓語的很好學習敎材。我們從最近其 他外語敎學硏究逐漸重視文化敎育層面這點, 卽可知道想要確實熟悉一國語言, 理解 該國文化乃是不可或缺的必要條件。更何況, 它不僅只作為學習外語的手段, 而且從 近來韓國本身的語文敎育, 也會拿古典文學來作為文化創意題材, 進行再解釋、再創 造, 以使年輕世代得以更容易接近自己文化的趨勢來看, 卽可明瞭古典文學在韓語學 習上的實用性與重要性。 因此, 本文卽在此認知的前提下, 繼前曾發表以活用春香傳作爲韓國語敎學題材 的硏究論文之後, 再以韓國具代表性的古典小說沈淸傳爲例, 探討該作品的文學 特徵, 以及如何將該小說的內容應用在作為外語學習的韓語敎學上, 而有效運用古典 文學教學的方案又是如何等等問題。 關鍵詞:韓國語敎育, 古典小說敎育, 沈淸傳 * 臺灣 政治大學 敎授/ email: tftseng@nccu.edu.tw

(30)

논문접수일: 2014. 08. 17. 심사완료일: 2014. 09. 15. 게재확정일: 2014. 09. 17.

(31)
(32)

科技部補助專題研究計畫執行國際合作與移地研究心得報告

日期:103 年 10 月 31 日

一、執行國際合作與移地研究過程

本人於

102 年 8 月 31 搭乘大韓航空 694 班機前往韓國,抵達仁川時間是當地晚間 10:30 分。

次日

9 月 1 日為星期日,早上前往位於市區的教保文庫購買研究與教學用韓國書籍,下午前往延

世大學與該校韓國語文學系林龍基名譽教授會面,洽談十二月該系師生團隊前來政大共同舉辦韓

國語教育研討會事宜。

9 月 2 日(星期一)前往國立首爾大學國語教育系與國語教育研究所,拜訪該系所的尹汝卓教授、金

鍾哲教授,洽談由尹教授執行的『韓國語教育學大辭典』編纂計畫的合作事宜,經商討後,責成

本人負責包括“台灣的韓國語教育現況”及“閩南語母語者的韓國語學習”兩個條目的執筆工

作。下午時間前往該校奎章閣圖書館蒐集並影印個人研究上所需館藏資料。

9 月 3 日(星期二)南下釜山,下午前往國立釜山大學拜訪國語教育系柳東碩教授,討論韓國語教育

學術研究的現況與釜山地區學界在該領域的學術研究成果。同時商討未來與本系共開學術研討會

的可行方案。

9 月 4 日(星期三)前往釜山大學圖書館,蒐集並影印個人研究上所需館藏資料。同時與母校恩師及

其他學者會面,共進午餐。下午返回首爾。

9 月 5 日(星期四)前往國立圖書館蒐集並影印目前仍未數位化,且是個人研究上所需的館藏資料。

下午時間拜訪國立國語研究院閔賢植館長,洽談未來該館是否能就台灣地區的韓國語教育工作給

予更大支持的可行方案。晚上與高麗大學國語教育系李寬奎教授會面,討論學術會議召開事宜,

李教授現為『國語教育學會』會長,他並正式邀請本人擔任該學會學術期刊『國語教育學研究』

的編輯職位。

二、研究成果

綜觀此次韓國移地研究,時間雖然緊湊,但基本上收穫豐碩,不僅見到了韓國國語教育學界的重

量級學者,同時針對雙方的學術合作項目,有很大的進展,包括加入『韓國語教育學大辭典』的

編纂工作,學術會議的共同召開,國際學術會議的相互邀請,以及個人研究所需文獻資料的蒐集,

計畫編號

MOST 102-410-H-004-218-

計畫名稱

古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

出國人員

姓名

曾天富

服務機構

及職稱

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教授

出國時間

102 年 8 月 31 至

102 年 9 月 6 日

出國地點

韓國首爾市、釜山市

出國研究

目的

□實驗 □田野調查 □採集樣本 ■國際合作研究 ■使用國外研究設施

(33)

都有令人非常滿意的收穫。截至

2014 年 7 月,『韓國語教育學大辭典』已順利出版,相互學術會

議的召開或獲邀也有三次,其他人員來往的交流也有多次。此對個人未來在韓國語教育的學術研

究工作上,相信會有很大的助益。

三、建議

四、本次出國若屬國際合作研究,雙方合作性質係屬:(可複選)

□分工收集研究資料

■交換分析實驗或調查結果

□共同執行理論建立模式並驗証

■共同執行歸納與比較分析

□元件或產品分工研發

□其他 (請填寫) _______

五、其他

(34)

科技部補助專題研究計畫出席國際學術會議心得報告

日期:103 年 10 月 31 日

一、參加會議經過

4 月 18 日(五) 搭機前往北京

4 月 19 日(六) 參加北京外大舉辦的“韓國文學中的中國元素”國際學術研討會

4 月 20 日(日) 參加北京外大舉辦的“韓國文學中的中國元素”國際學術研討會

4 月 21 日(一) 前往北京外國語大學舉專題演講(10:00-12:00)

與北京外國語大學韓語系教師座談

4 月 22 日(二) 前往北京大學韓語系參訪、交流

4 月 23 日(三) 前往民族大學韓語系參訪、交流

4 月 24 日(四) 前往對外經貿大學韓語系參訪、交流

返台

二、與會心得

此次主題為“韓國文學中的中國元素”的國際學術研討會,是由北京外國語大學亞非學院韓語系、北

京外國語大學朝鮮-韓國學研究所共同主辦,由世界亞洲研究資訊中心贊助,會議主旨在就中韓文

化、中韓文學、韓國語教育等方面展開多方位的學術對話與交流。會議日程為一天半,會議使用語

言是韓語,19 日的議題為“中韓文化研究及中韓文學研究”,20 日上午的議題為“韓國語教育研究”,

計畫編號

MOST

102-410-H-004-218-

計畫名稱

古典文學在韓語教學上的應用與方法

出國人員

姓名

曾天富

服務機構

及職稱

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教授

會議時間

103 年 4 月 18 日至

103 年 4 月 24 日

會議地點

中國大陸,北京外國語大學

會議名稱

(中文) “韓國文學中的中國元素”國際學術研討會

(英文)

發表題目

(中文) 活用古典小說的韓語教學研究–以沈清傳為例

(英文)

A teaching method of Korean education by using classical novels --

focused on 'Shimchungjeon'

(35)

本人參加項目為“韓國語教育研究”。本次會議不僅北京地區的各大學學者都積極與會,包括上海、

廣州、黑龍江、遼寧也都有學者參加會議,此外還邀請十數位韓國學者與會。會議共發表

22 篇論文,

每篇發表論文均安排兩位評論者,本人也被安排擔任中央民族大學崔有學教授發表的“朴泰遠的文學

翻譯予其歷史小說的影響考察”評論人,此外大會還安排本人擔任第二天綜合討論中“韓國語教育研

究”的總結報告。

整體來說,本人收穫相當多,認識大陸韓國語學術領域的學者也非常多,同時也因此多認識了不少

韓國學者,同時由大會安排本人擔任總結報告一事來看,可以想見北京外大對各任的肯定與尊重。

三、發表論文全文或摘要

如附件

四、建議

五、攜回資料名稱及內容

“韓國文學中的中國元素”的國際學術研討會論文集

六、其他

(36)

1 -대만 정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曾天富 머리말 1. 본문은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소설 《심청전 을》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필자는 재직하고 있는 대만 정치대. 학의 한국어문학과에서 다년간 초급에서 고급에 이르는 한국어 단계별 과정과 한국문학개론, 문학작품 등을 강독하여왔다 대만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느낀 경험에 의하면. , 2000년대 초반 한국 드라마를 필두로 한류가 형성되었고 한국이 아시아 금융위기에서 보여준 빠른 회복과, 이어 세계경제에서의 지위 상승 최근 케이팝으로 불리는 한국대중음악이 영향력을 발휘하면, 서 한국어는 대만사회에서 상당히 주목받는 외국어가 되었고 이런 현상은 일반 직장인의 한국 어 학습 열풍뿐만 아니라 대학에서 한국어과 지원자의 높은 경쟁률에서도 직접적으로 반영되 고 있다 특히 이전에 비해 한국어과 입학자 중 고등학교 제이외국어로 한국어를 선택했거나. 개인적인 선행학습을 거쳐 이미 한국어의 기초언어능력을 구비한 학생도 늘어나고 있고 텔레, 비전 등 공공매체의 한국어 원음 프로그램의 증가 인터넷의 비약적 발전과 보편적 사용 등, 한국어 학습기반과 기회가 다양화되어 입학 후 언어학습의 속도가 빨라지고 따라서 한국어 교 육과정도 단축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인해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교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또한 최근 대학원 과정의 신설로 보다 심층적인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해졌다. 이미 많은 논자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언어와 문화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따라서 외 국어의 학습에서 해당 문화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조건이다.1) 특히 고급단계의 학 습과정으로 올라갈수록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증가됨은 주지의 사실이고 이에 근거하여 문화적 요소를 풍부하게 간직하고 있는 문학작품의 다양한 활용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필자 역시 한. 국 고전소설 《춘향전 을 대상으로 문학적 요소 문화적 요소 언어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세》 , , 개의 학습방안을 제시해 본 바가 있다.2) 문학작품 중에서도 고전소설은 이야기 구조 풍부한, 대화상황과 장면묘사 등 서사장르의 특징은 물론 한국문화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고 한자어도 풍부하게 내장하고 있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고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매우 적합한 교 1)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한 문장으로는 박영순(1989), “제 언어서의 문화교2 육”(『이중언어학』 6호 이중언어학회, ), 조항록(1998), “한국어 고급 과정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화 교 육 방안”(『한국어교육』9-2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윤여탁(2000), “한국어교육에서 문화의 위상과 역 할”(『국어교육연구』7집 서울대하교 국어교육연구소, ), 성기철(2001),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한국 어교육』12-2집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양민정(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한국 고 -전문학을 중심으로”(『국제지역연구』9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등 다수가 있다, ) . 2) 曾天富(2011),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고전소설 활용방안”(『한국학보』22집 타이페이 중화민국 한국, , 연구학회)

參考文獻

相關文件

中學中國語文科 小學中國語文科 中學英國語文科 小學英國語文科 中學數學科 小學數學科.

二、 學 與教: 第二語言學習理論、學習難點及學與教策略 三、 教材:.  運用第二語言學習架構的教學單元系列

大學教育資助委員會資助大學及絕大部分專上院 校接納應用學習中文(非華語學生適用)的「達 標」

 TPR教學法是一種利用肢體動作和聲音 連結的直覺教學法,研究發現TPR教學

注意本文引用的語句典實及其內容。所有典實,不但須說明其意義 來歷,而且須說明其用法之巧拙…

  此外, 圖書館亦陸續引進英美文學、外語學習與研究等 相關資料庫,如 19 世紀以前出版的經典文學名著 Literature Online, Early English Books Online 與 Naxos

學習語文必須積累。語文能力是在對語文材料大量反復感受、領悟、積累、運用的過程中

注意本文引用的語句典實及其內容。所有典實,不但須說明其意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