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약 320만여 명이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사망하여 전체 사망의 5%를 차지하고 있고, 전 세계 인구의 약 12%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고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인은 흡연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약 80%가 흡연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 및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9년에 다시 증가하여 10.8%이었다. 40대 3.1%, 50대 8.7%, 60대 19.1%, 70세 이상 27.3%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여자의 경우는 40대 2.2%, 50대 3.7%, 60대 9.0%, 70세 이상 17.4%이었고, 남자의 경우는 40대 3.9%, 50대 13.7%, 60대 31.2%, 70세 이상 39.9%이었다. 2019년 남자의 유병률(16.3%)이 여자(5.9%)에 비해 2.8배 높았으며, 지난 2007년에서 2019년까지의 유병률 감소는 남자(28%)보다 여자(37%)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또한 우리나라의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자 중 이전에 의사로부터 진단을 받은 경우는 2.5%로 고혈압(71.4%), 당뇨병(65.2%), 고콜레스테롤혈증(61.7%)에 비해서 월등히 낮았으나, 치료율은 만성폐쇄성폐질환(84.5%)이 고혈압(67.1%), 당뇨병(60.8%), 고콜레스테롤혈증(53.1%)보다 높았다. 우리나라에서는 만성폐쇄성폐질환 관리를 위해 2013년부터 매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를 실시해 오고 있으며, 일차의료기관용 진료지침과 일반국민용 교육자료 배포 등을 통해 조기발견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으나 종합적인 관리는 미흡한 실정이다.
Mor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