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沒有找到結果。

音節結構差異所導致之臺灣韓語學習者發音問題研究 - 政大學術集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音節結構差異所導致之臺灣韓語學習者發音問題研究 - 政大學術集成"

Copied!
100
0
0

加載中.... (立即查看全文)

全文

(1)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碩士論文. 政 治 大. 立. ‧ 國. 學. 音節結構差異所導致之. ‧. 臺灣韓語學習者發音問題研究.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n U. v. 研究生:傅子杰 撰 指導教授:朴炳善. 中華民國. 108年. 10月. DOI:10.6814/NCCU202000037.

(2) 立. 政 治 大.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n U. v. DOI:10.6814/NCCU202000037.

(3) 中文摘要 因為韓流的崛起近年來臺灣的韓語學習者不斷增加,且如果仔細觀察一些指標可 以發現臺灣的韓語學習者對自己的韓語能力有相當的要求。臺灣的韓國語文能力測驗 (TOPIK)的報名人數呈現每年逐漸上升的趨勢;並且以考試人口占總人口的比例來推 算的話,台灣有全世界最高的韓國語文能力測驗報考率。可以從以上的指標得知臺灣 的學習者除了對韓語學習的熱情逐年上升之外,也可以知道臺灣的韓語學習者們對自 己的韓語實力有一定的要求。為了滿足學習者們這樣的需求,臺灣需要更有系統且更 在地化的韓語教學體系。. 政 治 大. 不論在任何語言的學習過程中,發音都是學習者第一個接觸到的部分,同時也是 學習者會碰到的第一個關卡。由於各語言所使用的音位不同,所以學習者在發音的學. 立. 習過程中一定會碰到不熟悉的發音,這類發音往往也會成為學習者的學習障礙。. ‧ 國. 學. 即便已經有許多學者進行了韓文音位及中文音位的發音比較研究,但中文母語者 於學習韓語發音時依然面臨著許多困難及發音錯誤。那是因為韓語的發音並不是以單. ‧. 一音位為單位,而是以音節為單位進行發音。音節是由多個音位組成,並且音位與音. sit. y. Nat. 位的組合受到制約的限制。因為這些制約,學習者若碰到在自己母語中沒有的音節時. io. 能會因為音節組成的制約導致學習者無法正確發音。. al. er. 會有發音困難;甚至在目標語言與學習者母語有著完全相同音位結構的情況下,也可. n. v i n Ch 本篇論文便是針對音位與音位的組合制約,即音節結構的差異對臺灣韓語學習者 engchi U 發音學習的影響進行研究,希望透過研究結果可以找出臺灣韓語學習者較不熟練的發 音。本論文將透過比較韓文及中文的音節結構和音位與音位的組合制約找出其中差 異,並以此差異為基礎預測臺灣韓語學習的發音問題。最後再針對該音節們進行臺灣 韓語學習者之發音實驗,以確認臺灣韓語學習者實際的發音困難。. 關鍵字: 韓語教育、中文、韓文、發音教育、音節. i. DOI:10.6814/NCCU202000037.

(4) Abstract The rise of the Korean wave has led to a continual increase i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Taiwan; some indicators have revealed that these learners exhibit a certain level of demand for fluency in Korean. Therefore, a systematic and localize d Korean teaching system must be established in Taiwan.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Mandarin as their mother language are faced with numerous challenges and mispronunciation no matter how many studies have be en conducted on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phonemes and Mandarin phonemes.. 政 治 大. This is because in Korean, a pronunciation unit is constituted by a syllable rather tha n a single phoneme. A syllable comprises multiple phonemes, the combination of whi. 立. ch is limited by specific constraints. Consequently, Korean language learners are boun. ‧ 國. 學. d to be challenged by syllables that do not exist in their mother languages; even if t he target language has a phonemic structure completely identical to that of the mothe. ‧. r language, the difference in their phoneme combinations can prevent learners’ correct pronunciation in the target language.. sit. y. Nat. This paper focuses on the constraints in phoneme combinations; that is, this. io. n. al. er. paper discusses the effect of the phonemic structu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i n U. v. Mandarin on Taiwanese people’s Korean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 Ch. engchi. ntify the types of Korean pronunciation that are relatively unfamiliar to Taiwanese le arners.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Mandarin regarding their syllable structur es and constraints in phoneme combinations will be examined to predict the pronunci ation problems Taiwanese learners encounter in Korean learning. Finally, a pronunciati on experiment will be conducted with these learners on these problematic Korean syll ables to confirm the actual difficulties the learners encounter in Korean pronunciation.. Key words: Korean Education, Chines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yllable. ii. DOI:10.6814/NCCU202000037.

(5) 목차 Ⅰ. 서론…………………………………………………………………………1 1. 연구 동기 및 목적…………………………………………….………1 2. 선행 연구 검토…………………………………………………….…..3 2.1 한·중 음소 대조의 연구 현황……………………………………..3 2.2 한·중 음절 구조 대조의 연구 현황……………………………....4 2.3 한·중 음소 결합 제약 대조의 연구 현황…………………….….7 3. 연구 내용…………………………………………………………….....9. 政 治 大. 3.1 연구 대상……………………………………………………….……9. 立. 3.2 연구 구성……………………………………………………….…..10. ‧ 國. 學. Ⅱ.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체계………………………………….……..12 1. 한국어의 음절 체계………………………………….…………...…..12. ‧. 1.1 한국어의 음소 체계…………………………...…………….……..12. sit. y. Nat. 1.2 한국어의 음절 구조……………………………………...….……..16. er. io. 1.3 한국어의 음소 결합 제약………………………………….……...18. n. 2. 중국어의 음절 체계………………………………...………….……..19 a v 2.1 중국어의 음소. i l C n 체계………………………………………………..19 hengchi U. 2.2 중국어의 음절 구조………………………………….…………….24 2.3 중국어의 음소 결합 제약…………………………………...…….26 3.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체계 대조…………………….………….28 3.1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 체계 차이……………………………..28 3.2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차이……………………………..29 3.3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 결합 제약 차이………………………29 Ⅲ.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실태 조사…………………....33 1. 연구 음절 범위……………………………………………….………..33 iii. DOI:10.6814/NCCU202000037.

(6) 1.1 연구 음소 범위………………………………………………..……..33 1.2 발음 오류 음절 예측………………………………………………..34 2. 실험 방법………………………………………………………………..43 2.1 조사 어휘 목록………………………………………………..……..43 2.2 실험 대상 및 방법…………………………………………………..47 3. 조사 결과………………………………………………………………..49 3.1 발음 오류 분포 경향………………………………………………..49 3.2 유형별 발음 오류 분포 경향…………..…………………………..50. 政 治 大. Ⅳ.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결과 분석…..………………..53. 立. 1. 음절 구조 제약 오류…………………………………...……………..53. ‧ 國. 學. 1.1 모음의 음절 구조 제약……………………………………...……..53 1.2 자음의 음절 구조 제약……………………………………...……..54. ‧. 2. 음소 결합 제약 분석…………………………………………...……..56. y. Nat. 2.1 자음 및 활음과 모음의 결합…………………………..…...……..62. er. io. sit. 2.2 모음과 비음 자음의 결합…………………………..…….....……..76 Ⅴ. 결론…………………………..………………………………….....……..79. n. al. Ch. engchi. i n U. v. 참고문헌…………………………..…………………………………...……..84. iv. DOI:10.6814/NCCU202000037.

(7) 표 목차 <표 1> 박나영(2010)과 이선(2014)의 조사 결과…………...………….….8 <표 2> Zhang Jian(2018)의 조사 결과……………...…………………....….8 <표 3> 한국어의 자음 체계……..……………………………….………...13 <표 4>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14 <표 5> 한국어의 이중모음 체계……………………..…………….……...14 <표 6> 실제 발음의 한국어 단모음 체계 ………………………….…...15 <표 7> 한국어의 음절 유형…………………..…………………….……...17. 政 治 大. <표 8> 한국어의 음절 구조 결합 제약……………………………….….19. 立. <표 9> 중국어의 자음 체계…………………..………………….………...21. ‧ 國. 學. <표 10> 중국어의 단모음 체계……………..………………..……….…...22 <표 11> 중국어의 복모음 체계……………………………...……..……...24. ‧. <표 12> 중국어의 음절 유형………………..……………………...……...25. y. Nat. <표 13> 중국어의 음절 구조 제약………………………………...……...26. io. sit. <표 14> 중국어의 성모와 운모 결합 양상……………….............……...27. er. <표 15> 중국어 음소의 음운자질……………………………….………...28. n. a. v. l C결합 양상 대조………………......……...31 <표 16> 한·중 자음과 모음의 ni. hengchi U. <표 17> 활음과 모음의 결합 양상 대조……………..…………...……...31 <표 18> 모음과 비음 자음의 결합 양상 대조……………….…..……...32 <표 19> 한국어와 중국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음소 목록………......33 <표 20> 발음 조사 음절 목록(음절 구조 제약)……….………...……...34 <표 21> 양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조………………..………...……...35 <표 22> 치경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조………………………….……...37 <표 23> 경구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조………..……………...……...38 <표 24> 연구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조……………..………...……...39 <표 25> 성문(연구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조………………..……...40 v. DOI:10.6814/NCCU202000037.

(8) <표 26> 조사 음절 목록(자음과 모음의 결합 제약)…..…………..…...41 <표 27> 활음과 모음 결합의 대조…………………………..…………....41 <표 28> 조사 음절 목록(활음과 단모음의 결합 제약)…………….......41 <표 29> 모음과 비음 자음 결합의 대조…………………....…………....42 <표 30> 조사 음절 목록(모음과 비음 자음의 결합 제약)………….....43 <표 31> 조사 어휘 목록……………………...………………………..…...47 <표 32> 조사 대상자 정보………………….…………..……..…………...49 <표 33> 발음 오류율………………………….……………………..……...49 <표 34> 음운 환경별 발음 오류율 ………………...……………..……...50. 政 治 大. <표 35> 음절 구조 제약 유형별 발음 오류율………….………..……...51. 立. <표 36> 음소 결합 제약 유형별 발음 오류율…………………...……...51. ‧ 國. 學. <표 37> 음절 구조 차이(모음)로 인한 발음 오류 양상…………….....53 <표 38> 음절 구조 차이(자음)로 인한 발음 오류 양상 ………….......55. ‧. <표 39> 중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음절과 민남어 음절 대 조………………………………………..……………………..…....58. y. Nat. sit. <표 40> 민남어 능력별 발음 오류율…………....………………..….…...59. a. er. io. <표 41> 양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n. iv 양상………..…………………...…………………………...….…...63 l. <표 42> 치경 파열음과. n U i n g c h대만인 모음 e결합의 한국어. Ch. 학습 발음 오. 류 양상……………………………………………………...….......64 <표 43> 치경 마찰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 류 양상………………………………….……………..……....…...65 <표 44> 치경 비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양상…………………..…………………………………...........…...67 <표 45> 치경 유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양상…………………………………………………………....…....68 vi. DOI:10.6814/NCCU202000037.

(9) <표 46> 치경경구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양상………………………………………….……......……...69 <표 47> 경구개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 류 양상…………………………………….…………..…………...70 <표 48> 성문 자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양상…………………………………...………………..…………...71 <표 49> /n, ʨ, ʨh, k, kh, g/ + /wi, wɛ/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 류 양상 ……………………..……………………………………..73 <표 50> /wi/와 /wɛ/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양상 ………...74. 政 治 大. <표 51> 활음과 모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류 양. 立. 상…………………………………………...………………..……...75. ‧ 國. 學. <표 52> 중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한국어 음절과 민남어 음절 대 조(활음+단모음)……..………………………………………..…...76. ‧. <표 53> 모음과 비음 자음 결합의 대만인 한국어 학습 발음 오. n. al. er. io. sit. y. Nat. 류 양상 ………..……………………………………………...…...77. Ch. engchi. i n U. v. vii. DOI:10.6814/NCCU202000037.

(10) 立. 政 治 大.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n U. v. DOI:10.6814/NCCU202000037.

(11) Ⅰ. 서론 1. 연구 동기 및 목적 본 연구는 대만인 한국어 학습의 발음 교육을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차이에 의한 발음 오류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대만은 지속적인 한류 열풍과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한국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진경지(2017)에 따 르면 2016년 10월 대만에서 실시한 제48회 한국어능력시험의 응시자 수는 7,210명 이였으며 대만 한국어능력시험 공식 사이트의 공시자료에 의하면 2018년 총 응시 자 수가 10,460명으로 2016년보다 약 3,000명 가량 늘었다 1 . 또한, 해당 사이트의 공시 자료에 의하면 2019년 상반기 시험 응시자 수가 이미 6000여 명을 넘어섰기. 政 治 大. 에 2018년 총 응시자 수보다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매년 응시자. 立.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매년 응시자 수가 늘어나. ‧ 國. 學. 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박병선(2016)의 자료를 살펴보면 대만 인구 대비 한국 어능력시험 응시자 수가 세계에서 가장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 한국어 교육에 대한 대만인들의 열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에 걸맞은 완벽한 한국어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인 것을 알 수 있다.. y. Nat. sit. 한국어 교육에서 발음 교육은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부정확. n. al. er. io. 한 발음이 그대로 굳어지기 쉽기 때문에 초기 교육이 굉장히 중요하다. 정명숙. i n U. v. (2011)에 따르면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후반에 시작하고 2000. Ch. engchi. 년대에 들어 연구자에게 관심을 끌어 연구의 양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연구의 영역이 시기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분절음, 초분절음, 음운규칙, 음운 현상 위주로 연구해 왔다2. 또한 구체적인 통계 자료로 권경근(2016)이 있다. 권경근(2016)에 의 2017년 이전에 대만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은 1년에 한 번(10월)만 실시하였고 2017년부터 1년에 두 번(4월, 10월)씩 실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1. 2. 필자가 정명숙(2011)에서 제시한 표를 정리하여 요약한 내용이다. 시기. 교육 항목 분절음, 초분절음, 음운규칙, 파열음 음성, 한자 발음, 억양 규칙, 강세구 억양, 모 음, 비음, 파찰음, 유음, 종성, 음절 초성, 유기 음화, 경음화, 음절말 자음 관련 음운규칙, 음 운규칙 교육 순서. 2000년 이전 2000년대 전반 1. DOI:10.6814/NCCU202000037.

(12) 하면 2015년 8월까지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 논저는 총 666편였다. 그 가 운데 분절음 연구는 204편, 초분절음 연구는 54편, 복합적 연구는 216편으로 분절 음, 초분절음, 음절구조, 음운 현상에 대한 연구는 총 474편이다. 집계의 결과를 통하여 분절음과 초분절음 연구는 교육법을 제외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 구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분절음을 일일이 정확하게 소리 내는 것이 발음의 기본이지만 이를 통해 정확한 한국어 발음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발음은 분절음의 조합인 음절을 단위로 나타내기 때문에 음절의 관 점을 통해야만 설명할 수 있는 언어 현상이 많다. 따라서 발음 교육의 연구 범위 는 분절음을 넘어 그 이상의 음운 단위로 분야를 넓혀야 한다.. 治 政 大 일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김용렬(2008), 김지연(2010), 김연이(2011) 등 있는데 立 와 마찬가지로 분절음, 초분절음, 음운규칙의 교육에 관한 연구에 집중적으로 연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은 정명숙(2005), 범류(2006),. ‧ 國. 學. 구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기존 연구 중에 한국어와 중국어 3 의 음절 구조를 대조하는 연구가 없는. ‧. 것이 아니다. 그러나 기존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면 중국어의 음절 구조에 관한 지. sit. y. Nat. 식이 충분하지 못하고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대조를 전면적으로 하지 않. io. 어권 학습자의 발음 문제가 아직 남아 있다.. al. v i n C h 발음 오류 양상U 분석 학습자의 engchi. n. 한편, 기존 중국어권. er. 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의 원인으로 기존 연구의 결과로 해결하지 못하는 중국.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마다. 결과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구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온 이유 는 중국어권에서의 활발한 방언 사용으로 보고 있다. 중국어권의 지리적 범위가. 한자 음운 현상, 연음 규칙, 자음 동화, 비음 화, /ㄴ/, 경구개 자음, 된소리, 장애음, /ㅓ/와 / ㅗ/, 치조마찰음, 이중모음, 음절, 음절말 공명 2000년대 후반 자음, 음소의 길이, 자음군, 접속구 경계 억양, 초점 실현 양상, 의문문의 억양, 종결어미의 억양, 유창성, 교육 항목 선정 기준, 교육용 음 운규칙 선정 기준, 경음화 규칙의 교육 순서 한국어 발음 교육 항목별 발음 교육 연구 내용의 변천 (정명숙, 2011) 3. 본고에서 중국어는 Mandarin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2. DOI:10.6814/NCCU202000037.

(13) 워낙 넓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 방언도 상당히 다양하다. 중국어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언 중에 표준 중국어의 음절 체계와 상이한 방언도 드물지 않다. 따라서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조사하려면 지역을 단위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응하기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 어의 음절 체계를 대조하여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음하기가 어려운 음절을 찾고 그러한 음절에 대한 대만인 학습자의 실제 발음 오류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선행 연구 검토. 政 治 大 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한 연구 立중에도 한·중 발음의 대조 연구가 상당한 비율을 한국과 중국어권 나라의 교류가 밀접해지면서 한·중 언어의 대조에 관한 연구. ‧ 國. 學. 차지하고 있다. 현재 한·중 발음의 대조 연구는 대체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대조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대조 두 가지 관점으로 연구하고 있다. 본. 준으로 나누어 기존 연구의 결과를 검토하겠다.. Nat. sit. y. ‧. 절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대조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대조를 기. io. er. 2.1 한·중 음소 대조의 연구 현황. al. v i n 주제이다. 이 중에서 ZHANG C LIN(2008), 진월(2010) 등을 예로 h e n g 손경애(2009), hi U c 수 있다. 이 연구들을 비롯한 한·중 발음 대조 연구의 주제는 대부분 한·중 분 n. 한·중 발음의 대조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의 증가로 학위논문으로 많이 다뤄지 는 들. 4. 절음의 음성적 대조이다. 한·중 발음 대조 연구의 연구 구조가 비슷하기 때문에 진월(2010)을 예시로 검 토하겠다. 진월(2010)에서 국제음성기호(IPA)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분절음 체계를 대조하고 학습자의 발음 실태를 조사하였다. 측, 한국어와 중국어가 서로 다른 음 소의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중국인 연구자의 이름 표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본고에서 해당 논문 적자의 의사를 존중하여 원 논문의 표기를 따른다. 4. 3. DOI:10.6814/NCCU202000037.

(14) ZHANG LIN(2008)과 손경애(2009)의 연구는 진월(2010)의 연구보다 한 걸음 더 나 아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현상까지 대조하였다. 그러나 음운 현상의 차이가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영향을 제시하지 않았다. 앞서 언급한 연구 이외에도 장향실(2002)와 허용·김선정(2006) 등 학자들의 연구 가 있다. 먼저 장향실(2002)에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 정에 나타나는 한국어 발음 오류에 집중하여 두 언어의 분절음을 대조하였다. 장 향실(2002)의 연구에서 분절음의 발성 유형, 조음 방법, 성대의 긴장성 등 세부 차 이까지 대조하여 앞서 제시한 연구들보다 더 자세한 연구 결과를 내었다. 한편, 허용·김선정(2006)은 장향실(2002)과 달리 오류를 위주로 대조하는 연구가. 政 治 大 용·김선정(2006)에서 한국어와 立 중국어 음소의 국제음성부호를 이용하여 두 언어가 아니지만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음소의 발음을 대조하였다. 허. ‧ 國. 學. 서로 비슷한 발음을 찾아내어 발음의 발성 유형,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등 차이를 자세히 연구하였다. 따라서 장향실(2002)와 허용·김선정(2006)의 연구 결과를 통하 여 한국어와 중국어 음소의 발음 차이를 더욱 자세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앞서. ‧. 제시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연구의 범위가 음소 이상의 음운 단위에 이르지 않는. sit. y. Nat. 다.. er. io. 상기의 연구들이 모두 중국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al. v i n C h이외에도 다른 요소가 발음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음소 e n g c h i U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n. 당장 발음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어의. 2.2 한·중 음절 구조 대조의 연구 현황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대조를 다룬 연구는 장향실(2009), 정해연(2011), 리우동위(2013), 마려평(2013) 등이 있다. 이 연구들이 더욱 거시적인 시각으로 두 언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기 때문에 이전 연구가 다루지 못했던 학습자의 발음 문제를 많이 발견하고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들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한계 가 있다. 그것은 오래된 중국어 음절 구조 분석 자료를 의거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점이다. 중국어의 음절 구조에 대한 분석은 대체로 전통적 관점과 현대적 관점으 로 나눌 수 있다. 중국어의 전통적 음절 구조 분석에 의하면 중국어의 음절을 성 4. DOI:10.6814/NCCU202000037.

(15) 모(聲母)5와 운모(韻母)6로 양분한다. 운모를 다시 개음(介音)7, 주요 모음(主要母音), 모음 운미(母音韻尾) 8 , 비음 운미(鼻音韻尾) 9 로 세분할 수 있고 개음, 주요 모음, 모음 운미를 모두 완전한 모음이라고 정의한다. 중국어의 전통적 음절 구조 분석 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음절 성모. 운모. 운 개음 C. V/C. V. 學. ‧ 國. 立V. 모음/비음 모음 政 주요治 大 운미. <그림 1> 전통적 중국어 음절 구조 분석. ‧. <그림 1>에서 보듯이 전통적 중국어 음절 구조 분석에 따르면 중국어 하나의. y. Nat. 음절에 모음 최대 세 개까지 허용된다. 즉, (C)VVV10와 같은 음절이 존재할 수 있. sit. 다는 말이다. 그러나 하나의 음절에 모음 세 개까지 나타나는 것은 언어의 보편적. n. al. er. io. 특성에 크게 벗어나며 최근의 중국어 음절 분석 결과 11 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따. i n U. v. 라서 전통적 중국어 음절 구조 분석을 이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를. 5. Ch. engchi. 성모는 전통적 중국어 음절 분석에서 음절의 맨 앞에서 나오는 자음을 지칭하는 말이다.. 운모는 전통적 중국어 음절 분석에서 성모 이외의 모든 음절 구조를 전체적으로 지칭하는 말이 다. 6. 7. 중국어의 음절에서 주요 모음 앞에 나오는 활음을 지칭하는 말이다.. 중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모음 뒤에도 활음이 나올 수 있다. 모음운미는 중국어의 음절에서 주요 모음 뒤에 나오는 활음을 지칭하는 말이다. 8. 9. 비음 운미는 전통적 중국어 음절 분석에서 주요 모음 뒤에 나오는 비음 자음을 지칭하는 말이다.. 본고에서 C를 자음의 표시로, V를 모음의 표시로 사용하고 여기에서 괄호를 수의적 성부의 표 시로 사용한다. 10.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요 모음의 위치에만 모음이 나올 수 있으며 개음과 모음운미를 활음으로 간주한다. 자세한 내용은 제2장에서 자세히 다루겠다. 11. 5. DOI:10.6814/NCCU202000037.

(16) 대조하면 학습자의 현실 발음과 일치하지 않는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이상의 한계점 이외에도 연구마다 개별적으로 아쉬운 접이 존재한다. 먼저 정해 연(2011)과 리우동위(2013)의 한계점이 비슷하여 함께 토론한다. 두 연구에서 한국 어와 중국어의 음절 유형만 대조하였는데 음절 유형의 대조만 연구하면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학습에 기여할 수 있는 도움이 매우 제한적이다. 왜냐하면 한국어 의 모든 음절 유형이 중국어에도 빠짐없이 존재하기 때문이다12. 즉, 오직 음절 유 형의 차이를 의거하면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발음하기가 어려운 음절을 예측할 수 가 없으며 학습자 발음 오류가 발생한 원인도 설명할 수 없다. 다음으로 장향실(2009)에서 한국어 음절 유형별로 중국어 화자가 범하기 쉬운. 政 治 大 다. 그러나 앞에서 제시한 立바같이 중국어의 음절 구조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 발음 오류를 예측하고 중국어의 음절 구조와 대조하여 오류의 교정법을 제시하였. ‧ 國. 學. 하기 때문에 오류 예측 결과에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중국어에 활 음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관점으로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어 대부분의 활음을 발 음하기 어렵다고 예측하지만 중국어권 학습자의 실제 발음과 상당히 큰 차이가. ‧. 났다.. y. Nat. sit. 마지막으로 마려평(2013)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유형과 음절 구조 제약을. er. io. 모두 대조를 하였다. 음절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중국어권 학습자가 발음하기 어. al. v i n C h있다. 먼저 한국어의 한계점이 e n g c h i U ‘ㅢ’를 n. 려운 음절을 제시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연구들이 이루지 못한 내용을 많이 보완 하였지만 이 연구도. 하양 이중모음으로 분. 석한 내용이 현재 학계에서 한국어에 상향 이중모음만 존재한다는 관점과 다르다. 만약 ‘ㅢ’를 하양 이중모음으로 간주하면 한국어의 음절 유형에 한 가지 더 추가 해야 하기 때문에 중국어의 음절 구조와 더욱더 비슷해지는 것이다. 그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예측하면 실제 발음 오류보다 적게 나올 수 있다. 한편에 연구에서 음절 구조 제약을 언급하였지만 음소의 결합 제약을 제기 하지는 않았다. 음소 결합 제약으로 음소 간의 결합이 자유자재가 아니다. 음소가. 한국어의 음절 유형은 ‘V’, ‘VC’, ‘CV’, ‘GV’, ‘GVC’, ‘CVC’, ‘CGV’, ‘CGVC’ 총 8가지가 있고, 중국 어의 음정 유형은 ‘V’, ‘VC’, ‘GVG’, ‘CV’, ‘GV’, ‘GVC’, ‘CVC’, ‘GVG’, ‘CGV’, ‘CGVC’, ‘CGVG’ 총 열 한 가지가 있다. 12. 6. DOI:10.6814/NCCU202000037.

(17) 서로 결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음소 결합 제약을 고려하지 않으면 음 절에 대한 연구가 완벽하다고 하기가 어렵다.. 2.3 한·중 음소 결합 제약 대조의 연구 현황 박나영(2010), 상성남(2012), 이선(2014), Zhang Jian(2018) 등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소 결합 제약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상성남(2012)에서 한 국어와 중국어의 음소 결합 제약을 대조하여 이론적으로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발 음하기 어려운 음절을 나열하였다. 상성남(2012)의 연구 결과는 중국어권 학습자 의 한국어 발음 학습 단계에서 음소 결합 제약으로 인하여 부딪힐 수 있는 많은. 政 治 大. 발음 난관을 찾아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발음 오류의 예측만 하였고 학습자의 발음 실태 조사를 하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에서 짚인 발음 오류들이 실. 立. 제로 발생하고 있는지를 검증할 수 없었다.. ‧ 國. 學. 한편 박나영(2010), 이선(2014), Zhang Jian(2018)의 연구는 상성남(2012)에서 보이 는 한계점을 발견하지 않았다. 이 연구들에서 모두 음소 결합 제약 외에도 학습자. ‧. 의 발음 실태 조사까지 하였다. 따라서 이 세 개의 연구 결과로 현재 중국어권 학. io. er. 도 불구하고 연구마다 밝혀진 발음 오류의 결과가 다르다.. sit. y. Nat. 습자가 한·중 음소 결합 차이로 인하여 발생한 발음 오류가 많이 밝혔다. 그럼에. al. 먼저 박나영(2010)과 이선(2014)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모든 유형을 음절을 대조. n. v i n 난 부분을 C 선정하여 발음 조사를 h e n g c h i U 하였다.. 하여 그중에서 차이가. 조사 대상의 한국. 어 능력 분포부터 살펴보면 박나영(2010)의 연구 대상은 모두 초급 학습자이고 이 선(2014)에서 연구 대상에 관한 정보는 중국 천진사범대학교 한국어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이라고만 밝혔고 한국어 능력을 명시하지 않았다. 한편, 두 연구의 연구 대상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박나영(2010)의 연구 대상 총 30명 중에 중국 북쪽 사 람이 19명이고 중국 남쪽 사람이 6명이고 출신 지역 명시하지 않는 사람이 5명이 다. 그리고 이선(2014)의 연구 대상은 모두 중국 북쪽 사람이다. 두 연구의 조사 결과에 의하여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발음하기가 어려운 음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7. DOI:10.6814/NCCU202000037.

(18) 박나영(2010)의 조사 결과. 이선(2014)의 조사 결과. 초성+/ㅛ/형, 초성+/ㅗ/+/ㄴ/, 초성+/ㅑ/+/ㅇ/,. 초성+/ㅔ/+/ㅇ/, /ㄱ, ㅋ, ㅎ/+/ㅣ/, 초성+/ㅑ. 초성+/ㅐ/+/ㅇ/. /+/ㅇ/, 초성+/ㅟ/+/ㅇ/, 초성+/ㅗ/+/ㅇ/, 초성 +/ㅗ/+/ㄴ/, 초성+/ㅑ/+/ㄴ/. <표 1> 박나영(2010)과 이선(2014)의 조사 결과. <표 1>에서 보듯이 두 연구의 조사 대상은 모두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로 한 정하는데 발음 오류가 발생하는 음절 유형이 다르다. 박나영(2010)에서는 4가지의 음절형만 찾았지만 이선(2014)에서는 7가지의 음절형을 찾았다. 게다가 연구 결과 를 대조하면 중복된 음절형도 있으나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도 있다. 한편, Zhang. 政 治 大. Jian(2018)에서 종성에 비음 자음이 나타나는 음절형을 주요 조사 대상으로 연구함. 立. 에 박나영(2010)과 이선(2014)의 연구 범위와 조금 다르다. 하지만 조사한 음절형. ‧ 國. 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발음 오류를 몇 개 더 밝혔다.. 學. 의 범위가 앞에서 언급한 연구보다 좁은데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위 연. ‧. (C)jʌn, (C)wɛn, (C)win, (C)ɛn, (C)jun,. y. Nat. sit. (C)wʌn, (C)on, (C)un, (C)jan, (C)ʌn, (C)wɛŋ,. Zhang Jian(2018)의 조사 결과. n. er. io. al. (C)wiŋ, (C)ɛŋ, (C)wʌŋ, (C)juŋ, (C)jʌŋ, (C)wiŋ,. Ch. <표 2> Zhang Jian(2018)의 조사 결과. engchi U. v (C)wɨŋ, (C)joŋ i n. 연구마다 나타난 결과가 조금씩 다르다는 이류를 추측하자면 중국어권이 워낙 넓고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원인으로 보인다. 중국어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언이 종류만 많을 뿐만 아니라 방언 간의 음운 체계도 상당히 다르다. 이 상의 연구들은 발음 오류를 조사할 때 중국어권 학습자를 한정하여 조사하였지만 조사 대상자의 고향을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즉, 조사 대상자가 출신 지역의 방 언이 조사 대상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국 상기 3건의 연구 결과가 각각 다르게 된 이유는 조사 대상자의 고향에서 사용하 는 방언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8. DOI:10.6814/NCCU202000037.

(19) 앞에서 언급한 연구들이 모두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교육을 위한 연구인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국어권의 방언 차이로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양상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을 연구할 때 연구 대상자의 범위 를 명확히 정해야 한다.. 3.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음절 구조의 관점으로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음하기가 어려운 음절을 예측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러한 음절의 발음 오류 양상을 기록하고 오류 의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3.1 연구 대상. 立. 政 治 大. 대만은 중국과같이 중국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하지만 있지만 민남어(閩南語),. ‧ 國. 學. 객가어(客家語) 등 방언도 사용한다. 이 중에서 민남어는 중국어 방언 중에 하나 이지만 음절 체계가 중국어와 상당히 다르다. 민남어는 대만에서 TV 프로그램,. ‧. 라디오, 안내 방송 등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노년층에 중국어를 아예 하. sit. y. Nat. 지 못하고 민남어만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민남어와의 밀접한 접촉으로 대만의. io. er. 한국어 학습자가 민남어의 영향으로 일반 중국어권 학습자와 발음 오류 양상이 다르게 나올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 n. al. Ch. i n U. v. 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빠른 발전에 비하여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engchi. 교육 연구의 진행은 다소 미흡한 수준이라고 느껴진다. 따라서 대만인 한국어 학 습자가 한국어 학습에 가지는 강한 학습 욕구를 고려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비록 한국어와 중국어가 서로 유사한 음절 구조를 갖고 겹친 음소도 많지만 음 절 구조의 미묘한 차이로 인하여 두 언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음소로 형성된 음 절이더라도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어렵다고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소 대조의 범주에서 벗어나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대조를 연구 범위로 삼는 다. 음절 구조의 차이로 인한 발음 오류에 집중할 수 있게 본고에서 한국어와 중 국어가 겹친 음소를 중심으로 검토한다. 또한, 음절 형성 제약 층위를 기준으로 9. DOI:10.6814/NCCU202000037.

(20) 학습자의 발음 오류를 음절 구조 제약으로 인한 오류와 음소 결합 제약으로 인한 오류 2가지 집단으로 나누어 토론하겠다.. 3.2 연구 구성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음하기 어려운 음절을 예측하는 데에 한국어와 중 국어의 음절 체계 대조는 우선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작업이다. 두 언어의 음절 체 계를 대조하기 위하여 두 언어 각각의 음절 체계부터 정리해야 한다. 따라서 제2장에서 기존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두 언어의 음절 체계를 음소 체계, 음절 구조, 음소 결합 제약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음소 체계의 경우에는 크. 政 治 大 부 특징을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정리한다. 그리고 음절 구조는 음절의 立 게 자음, 모음으로 분류하고 다시 조음 위치, 조음 방법, 개구도, 입술 모양 등 세. 구성 성분을 제시하고 각 성분의 기능을 검토한 뒤 모두 존재할 수 있는 음절 유. ‧ 國. 學. 형을 밝힌다. 또한 전에 언급한 바처럼 기존 연구가 대부분 전통 관점의 중국어 음절 구조 분석에 의하여 연구하였는데 본고에서 현대 관점의 중국어 음절 구절. ‧. 연구를 이용하여 기존 연구 내용의 부족을 보완하겠다. 마지막으로 음소 결합 제. sit. y. Nat. 약은 음운 자질을 이용하여 음소 결합 제약 규칙을 정리한다. 그리고 정리한 내용. io. 과 공통점을 밝힌다.. n. al. er. 을 이용하여 음소 체계, 음절 구조, 음소 결합 제약으로 나누어 두 언어의 차이점. Ch. 제3장에서는 이전 장절에서 제시한 내용을. engchi. iv n 바탕으로 U.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을. 자세히 대조하고 대만인 학습자에게 발음하기 어려운 음절을 예측하고 조사한다. 먼저 본 연구는 음절 구조 차이가 학습자의 발음에 미친 영향을 중심을 두어 진 행한 연구이기 때문에 음소의 발음 조사를 따로 실시하지 않는다. 음소의 발음 조 사를 하지 않는 대신에 음소가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려고 음소 체계의 대조 결과를 통하여 두 언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음소를 찾는다. 다 음으로 정해진 음소 명단에 의하여 음조 구조와 음소 결합 제약의 대조 결과를 이용해서 한국어에만 존재하는 음절을 뽑고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과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사용하여 조사 어휘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피험자에게 조사 어휘를 읽게 하고 수집한 녹음 자료를 한국어 모국어 화자에게 10. DOI:10.6814/NCCU202000037.

(21) 들여 전사 자료로 만든다. 제4장에서 조사 결과를 음절 형성 제약의 층위에 따라 음절 구조 제약 차이로 인한 발음 오류와 음소 결합 제약 차이로 인한 오류 2집단으로 나누어 대만인 한 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 양상을 정리한다. 정리한 결과로 대만인 학습자가 범하 는 발음 오류 특징을 찾아 유형별로 분류하고 음절 구조 차이의 관점으로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 앞서 언급한 내용을 통하여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문제를 유 형별로 정리하고 음절의 관점으로 대만인 학습자를 대상으로한 한국어 발음 교육 을 실시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을 제시한다.. 立. 政 治 大.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n U. v. 11. DOI:10.6814/NCCU202000037.

(22) Ⅱ.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체계 1. 한국어의 음절 체계 언어의 발음을 대조하는 데에 음운 체계는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음운 체계 로는 음소 체계, 음절 체계, 운율 체계 등이 있는데 본 연구의 주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구조 차이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음절 이상의 음운 체계를 다루지는 않겠다. 한편, 음절이란 음소들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서로 연결하여 형성된 음운 단위로 언어 간의 음절 구조 차이를 대조하려면 음절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알 아야 한다. 이 장에서는 음절 체계를 음소의 체계, 음절의 구조, 음절 형성의 제 약 이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절 체계를 토론하고자 한다.. 立. 1.1 한국어의 음소 체계. 政 治 大. ‧ 國. 學. 현재 대부분의 학자가 한국어를 CGVC 13 구조로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한국 어의 음소는 자음, 모음, 활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 한국어의 자음 체계부터 살펴보면 국립국어원의 표준발음법에서는 총 19개의 한 국어 자음을 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어의 자음을 조음 위치, 조음 방. y. Nat. n. al. 양순음. 파열음. 13. Ch. 치경음. ㅂ /p/. 격음. ㅍ /ph/. ㅌ /th/. 경음. ㅃ /p*/15. ㄸ /p*/. i n U. v. 경구개음. eㄷn/t/g c h i. 평음. 14. er. io. sit. 법, 발성 유형에 의하여 분류하여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연구개음. 성문음. ㄱ /k/ ㅋ /kh/. -. ㄲ /k*/. 본고에서 G를 활음의 표시로 사용한다.. 신지영(2011)에 따르면 말소리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음성’과 심리적으로 존재하는 ‘음운’ 혹 은 ‘음소’로 나눠진다. 음성과 음운을 구분하기 위하여 표기하는 데 음성은 각괄호([])에 넣고 음운 은 두 사선 사이(//)에 넣어 표시한다. 14. 국제음표부호에 한국어의 격음을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부호가 없기 때문에 본고에서 신지 영·차재은(2003)에 따라 ‘*’를 격음의 표시로 사용한다. 15. 12. DOI:10.6814/NCCU202000037.

(23) ㅅ /s/. 평음 -. 마찰음. -. 격음. ㅎ /h/. -. -. ㅈ /ʨ/. 평음 파찰음. -. ㅆ /s*/. 경음. -. ㅊ /ʨh/. -. ㅉ /ʨ*/. 경음 비음. ㅁ /m/. ㄴ /n/. -. ㅇ /ŋ/. -. 설측음. -. ㄹ /l/. -. -. -. <표 3> 한국어의 자음 체계. 立. 政 治 大.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어의 자음 체계는 조음 위치에 의하여 양순. ‧ 國. 學. 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으로 나누며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음, 마 찰음, 파찰음, 비음, 설측음으로 구분할 수 있고 발성 유형을 이용하여 평음, 격음,. ‧. 경음으로 분류할 수 있다.. Nat. sit. y. 한국어 자음 체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파열음과 파찰음을 조음할 때 입밖으. er. io. 로 뿜는 기식의 양과 성대의 긴장도에 따라 구분된 평음, 경음, 격음의 삼분 체계. al. 이다. 이것은 한국어 이외의 언어에 찾기가 쉽지 않은 특성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 n. v i n C h부딪치는 난관이다. 습자가 한국어 발음을 배울 때 흔히 또한 치경 마찰음의 경우 engchi U 에는 삼분 체계가 아니지만 조음 시, 성대에 긴장도에 따라 평음과 경음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한국어의 모음은 총 21개인데 이 중에서 단모음이 10개이고 이중모음이 11개이다. 한국어의 모음 체계를 조음 시 혀의 전후 위치, 개구도(開口度) 16 , 입술 모양에 따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6. 조음할 때 입을 벌리는 정도이다. 13. DOI:10.6814/NCCU202000037.

(24) 단모음 체계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 /i/. ㅟ /y/. ㅡ /ɯ/. ㅜ /u/. 중모음. ㅔ /e/. ㅚ /ø/. ㅓ /ʌ/. ㅗ /o/. 저모음. ㅐ /æ/. -. ㅏ /ɑ/. -. <표 4> 한국어의 단모음 체계. 政 治 大. <표 4>에서 보듯이 한국어의 단모음은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과 후. 立. 설 모음으로 나눌 수 있고 개구도를 통하여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분류할. ‧ 國. 學. 수 있고 입술 모양에 의하여 평순 모음과 원순 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 서 ㅟ/y/와 ㅚ/ø/가 위치적으로 단모음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실제 조음 시, 이중모. ‧. 음 [wi]와 [wε]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y. Nat. 단모음 이외에도 한국어의 모음 체계에 활음 17 과 단모음이 결합한 이중모음도. io. sit. 존재한다. 한국어의 활음은 /j/와 /w/가 있는데 활음을 기준으로 한국어의 이중모. n. al. er. 음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h. i e이중모음 n g c h체계. i n U. v. j계. ㅑ/jɑ/, ㅒ/jæ/, ㅕ/jʌ/, ㅖ/je/, ㅛ/jo/, ㅠ/ju/, ㅢ/ɯj/. w계. ㅘ/wɑ/, ㅙ/wæ/, ㅝ/wʌ/, ㅞ/we/. <표 5> 한국어의 이중모음 체계. 하지만 한국어의 모음 체계를 국립국어원의 표준발음법과 다르게 분석하는 학. 활음은 또한 반모음, 과도음으로 부르기도 한다. 활음의 성질이 모음과 비슷하지만 발음할 때 조음 기관이 다음 위치로 옮겨 가면서 자체의 소리가 분명히 나타나지 않는 소리이다. 17. 14. DOI:10.6814/NCCU202000037.

(25) 자가 있다. 신지영·차재은(2003)과 이진호(2012)에서 한국어의 현실 발음에서의 한 국어 단모음이 국립국어원에서 정립된 체계처럼 많지 않다고 주장한다. 신지영·차 재은(2003)에 의하면 현재 한국어 발화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단모음은 7개밖 에 되지 않는다. 먼저 국립국어원에서 이중모음으로 발음해도 허용하는 ‘ㅟ’와 ‘ㅚ’ 는 실제 발음에서 아예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그리고 전설 평순 모음의 ‘ㅔ’와 ‘ㅐ’는 젊은 층 화자에서 구분하지 않고 중간 발음인 [ɛ]로 발음한다. 또한 신지영(2011)에서 /ɯ/는 한국어 단모음 중 유일하게 활음과 결합하지 않는 음소라는 점과 이중모음들이 선행하는 자음과 특정적인 결합 제약을 갖는다는 점 을 의거하여 ‘ㅢ’는 /ɰi/와 같은 상향 이중모음이라고 주장한다. 신지영·차재은. 政 治 大. (2003)에 의한 현실 발음의 한국어 모음 체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단모음 체계. 學. ‧ 國. 立. ɯ. y. u. ɛ. ʌ. o. -. 원순. er. al. ‧. i. n. 저모음. 평순. io. 중모음. 평순. Nat. 고모음. 후설 모음. sit. 전설 모음. Ch. ɑ. engchi. 이중모음 체계. i n U. j계. jɑ, jɛ, jʌ, jo, ju. w계. wɑ, wɛ, wʌ, wi. ɰ계. ɰi. v. -. <표 6> 실제 발음의 한국어 단모음 체계(신지영·차재은, 2003). 본고는 대만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교육을 위한 연구로서 현실 발음에 중심을 두어 신지영·차재은(2003)에서 제시한 현실 발음의 모음 체계를 따르기로 하였다. 15. DOI:10.6814/NCCU202000037.

(26) 1.2 한국어의 음절 구조 한국어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 3가지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그 가운데에 중 간에 위치한 중성은 음절의 필수적 성분으로 음절핵이라고 불린다. 음절핵 이외의 성분들은 음절의 수의적 성분이고 주변음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주변음에 초성과 종성 둘이 포함되는데 음절핵과의 상대 위치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음절학 앞에 위치하는 초성이 두음으로 되고 음절핵 뒤에 위치하는 종성이 말음으로 분류된다. 한편, 음절 구조 간의 사이가 다 같지는 않다. 초성, 중성, 종성 서로의 사이에 따라서 음절을 다시 좌분지 구조와 우분지 구조 두 가지 내부 구조로 나눌 수 있 다18. 전상범(1980)19, 김차균(1987)20, 강옥미(2003)21 등 연구에서 한국어 음절의 내. 政 治 大 본 연구의 목적은 발음 立 교육에 두고 있기 때문에 일반 발음 교재에 제시한 평면. 부 구조가 좌분지 구조에 더 가깝다고 증명할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 國. 學. 적 구조를 위주로 대조하기로 하였다. 한국어의 평면적 음절 구조를 그림으로 만 들면 다음과 같다.. ‧ y. Nat. n. al. er. io. sit. 신지영·차재은(2003)에 의하면 초성, 중성, 종성 사이의 거리가 같지 않다. 중성과 종성이 하나 의 단위로 결합한 뒤에 다시 초성과 조합하는 구조는 우분지 구조라고 하고 초성과 중성이 하나 의 단위로 이뤄진 후에 다시 종성과 연결되는 구조는 좌분지 구조라고 한다. 18. 우분지 구조 음절. Ch. 라임. engchi. i n U. v. 좌분지 구조 음절 몸체. 초성. 종성 중성. 종성. 초성. 중성. 한국어 음절의 내부 구조 (신지영·차재은, 2003) 田相範(1980)에서 한국어의 빠른 발화에서 CV구조를 생략하는 현상을 통하여 한국어에서 초성 과 중성의 사이가 더 가깝다고 주장하였다. 예) ㄱ. 자습서 → 잡서 ㄴ. 태극기 → 택기 ㄷ. 대행 진 → 댕진 라. 얄밉상스럽다 → 얍상스럽다 19. 김차균(1987)에서 ‘노사-말놀이 게임’을 이용하여 한국어의 VC구조보다 CV구조의 안정성이 더 좋다고 설명하였다. 예) 철수는 오늘 학교에 안 간다. → 처.노.살.수.는 오.노.사.늘 하.노.삭.교.에 아.노.산.간다. 20. 강옥미(2003)에서 한국어의 내부중첩과 어중중첩의 예시를 사용하여 한국어 음절의 내부 구조는 좌준지 구조인 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예) ㄱ. 둥 → 두둥 ㄴ. 아사 → 아사삭 ㄷ. 주룩 → 주루룩 21. 16. DOI:10.6814/NCCU202000037.

(27) 음절. 초성. 중성. 활음. 종성. 음절핵. C. C G. V. <그림 2> 한국어의 음절 구조 모형. 政 治 大. 음절 구조에 맞추어 한국어에 나타날 수 있는 음절 유형은 다음과 같다.. 立 음절 구성 성분. io. 유형6. CGV. 유형8. y. 겨, 휴. VC. al. GVC. n. 유형7. 가, 코. Ch. CVC. engchi. CGVC. sit. 유형5. 야, 요. CV. Nat. 유형4. GV. 아, 오. ‧. 유형3. V. er. 유형2. 예시. 學. 유형1. ‧ 國. 음절 유형. i n U. v. 안, 옥 역, 연 녹, 방 벽, 격. <표 7> 한국어의 음절 유형. 한국어에 나타날 수 있는 모두 음절이 이 8가지의 유형에 속한다. 또한, 이 8가 지의 음절 유형을 다시 중성으로만 형성하는 유형1, 2와 초성과 중성이 고통으로 구성하는 유형3, 4와 중성과 종성이 같이 형성하는 유형5, 6, 마지막으로 초성, 중 성, 종성이 모두 포함된 유형7, 8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17. DOI:10.6814/NCCU202000037.

(28) 1.3 한국어의 음소 결합 제약 앞서 언급한 8가지의 유형에 부합하기만 하면 모두 실제 언어생활에 실현할 수 있는 음절이 아니다. 음소와 음소의 연결에 제약이 존재한다. 신지영·차재은(2003) 에서 음소의 결합 제약을 총 5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말소리의 구체적인 실현 과 관련되는 표면 음성 제약이다. 둘째, 한 음절의 음절 구조의 특징과 관련되는 음절 구조 제약이다. 셋째, 음소와 음소의 연결을 제약하는 음소 결합 제약이다. 넷째, 형태소의 내부구조에 대한 형태소구조 제약이다. 마지막으로 형태와 형태의 결합을 제약하는 형태 결합 제약이다. 본고에서 음절 이상의 단위를 논의하지 않 기 때문에 음절 이상의 단위에서 일어나는 제약을 연구에서 배제하고자 한다. 또. 治 政 大 참고하는 제약을 정리하면 외래어의 경우에는 별도의 제약이 존재한다. 본고에서 立 <표 8>과 같다. 한 여기에서 제시하는 음소 결합 제약은 한국어 고유어에만 적용하고 한자어와. ‧ 國. ‧. 한국어의 표면 음성에서는 음절 말에 나오는 모든 자음은 불파음으 로 실현되어야 한다.. y. sit. n. al. 제약 1 제약 2. 음소 결합 제약. er. 한국어의 표면 음성에서는 초성과 종성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 io. 제약 3. 한국어의 표면 음성에서는 음절 초성에 [ŋ]이 나타나지 못한다.. Nat. 제약 2. 學. 제약 1. 음절 구조 제약. i n C 활음은 단모음에 못한다. h e후행하지 ngchi U. v. 활음은 단모음 /ɯ/와 결합하지 못한다.. 제약 3. /j/는 [+전설성, +고설성]을 가진 모음과 결합할 수 없다22.. 제약 4. /w/는 [+원순성]을 가진 단모음과 결합할 수 없다23.. 제약 5. /ɰ/는 /i/ 이외의 단모음과 결합하지 못한다.. 제약 6. 이중모음 /jε/는 자음과 결합하지 못한다.. 제약 7. [+설정성, -지속성] 자질을 가진 설정성 장애음은 /j/계 이중모음과 결. 22. 한국어에 [+전설성, +고설성]을 가진 모음은 /i/만 존재한다.. 23. 한국어에 [+원순성]을 가진 모음은 /u/와 /o/가 있다. 18. DOI:10.6814/NCCU202000037.

(29) 합하지 못한다24. 제약 8. [-설정성, +전방성] 자질을 가진 양순 자음은 /w/계 이중모음과 결합 하지 못한다25.. 제약 9. 활음 /ɰ/는 자음과 결합하지 못한다.. <표 8> 한국어의 음절 구조 결합 제약26(신지영·차재은, 2003). 이러한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제로 나타날 수 있는 음절이 한글로 표시할 수 있는 음절보다 한정된다.. 2. 중국어의 음절 체계. 政 治 大. 중국어의 음절 체계에 대한 내용은 현재까지 기존 연구에 의한 정리된 내용이. 立. 아직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본고에서 최근 중국어 음절 체계에 대한 연구의 결과. ‧ 國. 學. 를 바탕으로 현대 언어학 관점의 중국어 음절 체계를 정리하고 밝히도록 한다. 앞 서 한국어 음절 체계를 다루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음소의 체계, 음절의 구조, 음. ‧. 절 형성의 제약 세 부분으로 나누어 토론하겠다.. sit. y. Nat. 2.1 중국어의 음소 체계. n. al. er. io. 林燾·王理嘉(1992)에 의하면 중국어의 자음은 총 22개가 있다. 중국어의 자음을. v. 조음 위치, 조음 방법, 발성 유형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Ch. engchi. 양순음. 순치음. (兩唇音). (唇齒音). i n U. 설첨음. (舌尖音)27. 권설음. 설면음. 설근음. 24. 한국어에 [+설정성, -지속성] 자질을 가진 설정성 장애음은 /t/, /th/, /t*/, /ʨ/, /ʨh/, /ʨ*/가 있다.. 25. 한국어에 [-설정성, +전방성] 자질을 가진 설정성 장애음은 /p/, /ph/, /p*/, /m/가 있다.. 한국어의 결합 제약은 한국어의 발음을 연구 대상으로 정리한 제약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철자 법으로 ‘아’와 같은 ‘ㅇ’이 초성에서 나타나는 경우, 또한 ‘죠’와 같은 [+설정성, -지속성] 자질을 가 진 설정성 장애음이 /j/계 이중모음과 연결하는 사례가 있지만 발음에서 음운변화로 다른 음으로 변하거나 발음을 아예 하지 않는 식으로 표현한다. 26. 27. 한국어의 치경음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한국어의 파열음은 /ㄷ/, /ㅅ/, /ㄴ/, /ㄹ/ 등이 있다. 19. DOI:10.6814/NCCU202000037.

(30) (捲舌音)28. 불송기 색음. (不送氣)32. (塞音)31. 송기. -. t /th/. -. f /f/. 불송기 (不送氣). (塞擦音)35. 송기. -. 立. x /ɕ/. h /x/. z /ts/. zh /tʂh/ -. -. -. -. -. ng /ŋ/. ch /ʂ/. -. io. n /n/. -. -. l /l/. -. n. al. -. er. ‧ 國. -. k /kh/. ‧. (邊音)36. sh /tʂ/. c /tsh/. m /m/. Nat. 변음. -. q /ʨh/. 學. (鼻音). s /s/. 政- 治 大. (送氣). 비음. g /k/. y. 색찰음. j /ʨ/ -. p /ph/. 33. (舌根音)30. sit. (擦音)34. d /t/ -. (送氣). 찰음. b /p/. (舌面音)29. Ch. engchi. i n U. v. 혀끝을 윗잇몸 또한 경구개 쪽으로 말아 올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한국어에 권설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28. 29. 한국어의 경구개음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한국어의 경구개음은 /ㅈ/, /ㅊ/, /ㅉ/가 있다.. 30. 한국어의 연구개음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한국어의 연구개음은 /ㄱ/, /ㅋ/, /ㄲ/, /ㅇ/이 있다.. 31. 한국어의 파열음에 해당하는 표현. 한국어의 파열음은 /ㄱ/, /ㄷ/, /ㅂ/ 등이 있다.. 32. 한국어의 무기음에 해당하는 표현. 한국어의 무기음은 /ㄱ/, /ㄷ/, /ㅂ/ 등이 있다.. 33. 한국어의 유기음에 해당하는 표현. 한국어의 유기음은 /ㅋ/, /ㅌ/, /ㅍ/ 등이 있다.. 34. 한국어의 마찰음에 해당하는 표현. 한국어의 마찰음은 /ㅅ/, /ㅆ/, /ㅎ/가 있다.. 35. 한국어의 파찰음에 해당하는 표현. 한국어의 파찰음은 /ㅈ/, /ㅊ/, /ㅉ/가 있다.. 36. 한국어의 설측음에 해당하는 표현. 한국어의 설측음은 /ㄹ/가 있다. 20. DOI:10.6814/NCCU202000037.

(31) 통음 (通音)37. -. -. -. -. r /r/. -. -. <표 9> 중국어의 자음 체계(林燾·王理嘉, 1992). <표 9>에서 보듯이 중국어의 자음 체계는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 순치음, 설 첨음, 권설음, 설면음, 설근음으로 나눌 수 있고 조음 방법에 따라 색음, 찰음, 색 찰음, 비음, 변음, 통음으로 구분할 수 있고 발성 유형에 따라 송기음, 불송기음으 로 분류할 수 있다. 중국어의 자음 체계는 한국어의 자음 체계와 일치하여 조음 방법에 따라 파열. 政 治 大 경음의 대립이 없고 기식성의 차이로 유기음과 무기음을 기분한다. 이러한 차이로 立. 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갈려 있다. 한편, 한국어처럼 긴장성 유무에 의한 평음과.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평음과 경음을 구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 國. 學. 것이다.. ‧. 한편, 중국어의 모음은 총 21개인데 이 중에서 단모음은 8개가 있고 이중모음은 9개가 있고 삼중모음은 4개가 있다. 중국어의 모음 체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n. al. 전설 모음. 고모음. 단모음 체계. Ch. 평순. 원순. i /i/. ü /y/. engchi. er. io. sit. y. Nat. 같다.. i n U. v. 후설 모음. 중설 모음. i38 /ɪ̈ /. 평순. 원순. -. u /u/. 조음 시 장애가 구강에서 발생하는데 구강 통로의 넓이가 넓어 매우 약한 마찰만 수반하여 나 는 소리를 지칭하는 표현. 37. /ɪ̈ /는 중국어에서 /s/, /ts/, /tsh/, /ʂ /, /tʂ /, /tʂ h/의 뒤에서만 나오는 모음이며 앞에서 나오는 자음에 따 라 발음이 달라진다. 중국어에서 /ɪ̈ / 앞에 설첨음 자음이 [ts], [tsh], [s]가 나올 때 [ɿ]로 발음하고 권 설음 [tʂ], [tʂh], [ʂ]와 결합할 때 [ʅ]로 발음한다. 일반인들이 자음 /s/, /ts/, /tsh/, /ʂ /, /tʂ /, /tʂ h/ 뒤에 운 모가 없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한어변음(漢語拼音)에 /ɪ̈ /를 표시하는 대표부호를 따로 만들지 않는 데 영운모(零韻母)라고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ɪ̈ /를 표시할 때 모음/i/와 같이 ‘i’라는 부호를 공용 38. 21. DOI:10.6814/NCCU202000037.

(32) 중모음. e39 /ɛ/. -. e /ɤ/. -. o /o/. 저모음. a /a/. -. -. -. -. <표 10> 중국어의 단모음 체계(林燾·王理嘉, 1992). <표 10>에서 보듯이 중국어의 단모음은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 중 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나눌 수 있고 개구도에 의하여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 로 구분할 수 있고 입술 모양을 기준으로 평순 모음과 원순 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국어의 전통적 음절 분석법인 반절법(反切法) 40 에 따라면 중국어의 음절은 성. 政 治 大. 모와 운모로 나눌 수 있으며 운모가 다시 개음, 주요 모음, 운미로 세분할 수 있. 立. 다. 반절법을 이용하여 중국어의 음절 성분을 분석하는 연구가 중국어에 활음이. ‧ 國. 學.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연구 중에 王力(1963)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王力(1963) 에서 중국어의 개음과 모음 운미가 모두 온전한 모음이라고 주장한다.. ‧. 그러나 현대 학자들이 언어의 보편적 구조를 이용하여 중국어의 음절 구조를. y. Nat. 다시 분석하고 있다. 林燾·王理嘉(1992)에서 활음을 V로 표시하지만 복모음을 발. n. al. er. io. 급하였다.. sit. 음할 때 혀가 움직여야 하며 소리 자체도 미끄럽게 계속 변화한다 41 는 내용을 언. Ch. i n U. v. 이해우(2003)에서 중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유성성 모음만 성조(聲調)를 가질 수. engchi. 있다며 Howie(1993)의 실험 결과를 의거하여 개음은 성조를 불규칙적으로 갖기. 한다. 39. /ɛ/는 중국어에서 거의 단독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복모음의 형식으로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어변음에 /e/를 표시하는 대표부호가 따로 없고 모음/ə/와 같이 ‘e’라는 부호를 공용한다. 40. 중국의 전통적 표음 방법이다. 반절법의 사용법은 먼저 표시할 글자를 성모와 운모로 나누고 표시할 글자의 성모와 같은 글자와 표시할 글자의 운모와 같은 글자를 한 개씩 찾은 후 그 두 글 자로 표시하려는 글자의 음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예) 烏 哀都切(‘烏[u]’자는 ‘哀[aj]’자와 ‘都[u]’ 자의 조합이다. 複元音有以下兩特點: (1)舌頭的運動是滑動的,音質的變化是連續不斷的······(후략)(林燾·王理嘉 1992: pp119) 41. 22. DOI:10.6814/NCCU202000037.

(33) 때문에 모음이 아닌 활음이라고 주장한다.. 政 治 大 <그림 3> 중국어’怪[kwaj]’의 음파 파형(이쌍, 2016) 立. ‧ 國. 學. 이쌍(2016)에서 음성학적 실험을 이용하여 중국어의 개음은 활음이라는 것을 검 증하였다. 그림 3에서 보는 것처럼 중국어의 복모음의 음파 분석에 분명한 전이구. sit. y. Nat. 음으로 바뀐다.. ‧. 간42이 존재한다. 즉, 중국어의 주요 모음 이외의 구조에 나타나는 모음이 모두 활. io. er. 앞서 언급했듯이 중국어 하나의 음절에 하나의 모음만 나타날 수 있으며 주요 모음 이외의 모두 모음이 활음으로 실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국어도. n. al. Ch. i n U. v.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활음 체계가 있고 활음과 단모음이 결합한 복모음도 존재한 다.. engchi. 중국어의 활음 체계는 한국어와 비슷하여 3가지가 있고 한국어의 활음 /ɰ/가 중국어의 체계에서 /ɥ/로 대체한다는 차이만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이중모음 체 계과 비교하면 중국어의 복모음 체계가 상당히 복잡하다. 한국어에 ‘ㅑ/jɑ/’, ‘ㅘ /wɑ/’, ‘ㅢ/ɰi/’ 등 활음이 단모음에 선행하는 상향 이중모음만 존재하는 반면에 중 국어에 ‘ai/aj/’, ‘ei/ɛi/’, ‘ao/aw/’ 등 활음이 단모음에 후행하는 하향 이중모음이 존재 한다. 또한 중국어에 ‘iao /jaw/’, ‘iou /jow/’, ‘uai /waj/’, ‘uei /wɛj/’와 같은 단모음의 전. 42. 주파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부분을 지칭하는 말이다. 23. DOI:10.6814/NCCU202000037.

(34) 후에 모두 활음이 나오는 삼중모음까지 존재한다. 중국어의 복모음 체계를 정리하 면 다음과 같다.. 복모음 체계 하향. ai /aj/, ei /ɛj/, ao /aw/, ou /ow/. 상향. ia /ja/, ie /jɛ/, ua /wa/, uo /wo/, üe /ɥɛ/. 삼중모음. iao /jaw/, iou /jow/, uai /waj/, uei /wɛj/. <표 11> 중국어의 복모음 체계. 政 治 大. 2.2 중국어의 음절 구조. 立. ‧ 國. 學. 중국어의 음절은 필수적 성분인 주요 모음과 수의적 성분인 성모, 개음, 운미 총 4가지 성분으로 결합한 구조이다. 이 구조가 한국어의 음절 구조와 상당히 비. ‧. 슷하며 성모가 한국어의 초성에 해당하고 단모음과 상향 이중모음이 중성에 대응 하고 모음 운미와 비음 운미가 한국어의 종성과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 중국어 음. Nat. sit. y. 절의 표면 구조는 한국어와 유사하지만 내부 구조는 한국어와 다르다. 중국어의. io. er. 전통적 음절 분석법인 반절법을 통하여 중국어의 중성과 종성의 사이가 상대적으 로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으며 학교에서도 중국어가 성모(초성)와 운모(중성+종성). al. n. v i n 의 조합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C h. 또한 대만에서 U사용하고 있는 표음부호인 주음부 e n g c사용하고 h i 있는데 그러한 부호를 사용하는 호(注音符號)에는 ‘ㄢ/an/’과 같은 부호를 43. 것을 통하여 중국어 화자에게 운모 전체는 하나의 단위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어의 음절 구조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대만의 학교에서 ‘冰/piŋ/’과 같은 발음을 가르칠 때 冰, ㄅ, ㄧㄥ, 冰(piŋ, p, iŋ, piŋ)이라는 방식으 로 성모와 운모를 분리하여 가르치고 있다. 43. 24. DOI:10.6814/NCCU202000037.

(35) 음절. 성모. 운모. C. 개음. 주요 모음. 모음/비음 운미. G. V. G/C. <그림 4> 중국어 음절 구조 모형. 政 治 大. 음절 구조에 맞추어 중국어에 나타날 수 있는 음절 유형은 다음과 같다.. 立 음절 구성 성분. io. 유형6. CGV. 유형8. y. 家[ʨja], 蝦[ɕja]. VG. al. VC. n. 유형7. 八[pa], 咪[mi]. Ch. GVC. eGVG ngchi. 哀[aj], 歐[ow]. sit. 유형5. 呀[ja], 喔[wo]. CV. Nat. 유형4. GV. 啊[a], 一[i]. ‧. 유형3. V. er. 유형2. 예시. 學. 유형1. ‧ 國. 음절 유형. i n U. v. 安[an], 因[in]. 煙[jan], 彎[wan] 優[jow], 邀[jaw]. 유형9. CVC. 山[san], 一[i]. 유형10. CVG. 拍[phaj], 黑[xɛj]. 유형11. CGVC. 間[ʨjan], 先[ɕjan]. 유형12. CGVG. 交[ʨjaw], 消[ɕjaw]. <표 12> 중국어의 음절 유형. 중국어의 음절 유형은 총 12가지인데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4개의 그룹으로 나 눌 수 있다. 중성으로만 형성하는 유형1, 2와 초성과 중성이 공통으로 구성하는 유형3, 4와 중성과 종성이 같이 형성하는 유형5, 6, 7, 8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이 25. DOI:10.6814/NCCU202000037.

參考文獻

相關文件

畫分語言範疇(language categories),分析學者由於對語言的研究,發現

形成 形成 形成 研究問題 研究問題 研究問題 研究問題 形成問題 形成問題 形成問題 形成問題 的步驟及 的步驟及 的步驟及 的步驟及 注意事項 注意事項 注意事項

近年,各地政府都不斷提出相同問題:究竟資訊科技教育的投資能否真正 改善學生的學習成果?這個問題引發很多研究,嘗試評估資訊科技對學習成果 的影響,歐盟執行委員會聘請顧問撰寫的

問題類型 非結構化問題 結構化問題 結構化問題 結構化問題 學習能力 不具學習能力 不具學習能力 自錯誤中學習 自錯誤中學習 學習能力 不具學習能力 不具學習能力

職業 教師 輔導員 神職人員 社會工作者 記者.

 TPR教學法是一種利用肢體動作和聲音 連結的直覺教學法,研究發現TPR教學

加強「漢語拼音」教學,使學生掌握

關注事項 1 11 1: : :因應初中學生的學習能力差異擴大 : 因應初中學生的學習能力差異擴大 因應初中學生的學習能力差異擴大 因應初中學生的學習能力差異擴大, , , ,加強 加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