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정설희, 우경숙, 최철수, 홍재석, 손창우. 의원급 요양기관의 만성질환관리방안: 당뇨병의 만성질환관리료 적 정관리를 중심으로. 2009. 8) 2007년 6월 말 기준 건강보험적용인구는 47,668천 명으로 전 국민의 96.3%에 해당됨(건강보험통계 207년 상반기 주요지표: ...
... 1960년대부터 계속된 經濟成長과 醫學技術의 발달은 국민의 건강수 준을 향상시키고 平均壽命을 연장시킨 반면 평균수명의 연장과 함께 인구의 老齡化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疾病發生樣相과 死人構 造에도 중요한 變化를 가져오고 있다. 그 중에서 주목할만한 변화는 慢性退行性疾患者가 급속히 增加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서 國民醫療費의 增加와 국민의 삶의 질의 저하 등 여러 가 ...
... 대해서도 만성질환관리에 대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환자관리표는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일차의료의 주요한 부분인 교육․상담에 대한 기록과 혈압과 혈당수치와 같은 진료결과를 측정 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추구하는 만성질환관리는 교육․상 담을 통한 환자의 ...
... 의사결정은 만성질환의 규모, 질병부담의 감소를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 적인 중재, 현재 그리고 예측되는 자원 필요도, 숙련된 보건의료 인력들의 적절한 배치를 위해 유용한 정보 확보를 ...원칙은 만성질환관리를 위한 보건의료체계는 개인 환자에 대한 치료보다는 인구집단의 건강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며, 인구집단 중심의 ...
... 7) 주사제 처방에 대한 소비자와 의료제공자 인식도 조사(2004. 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2004년 12월 주사제 처방에 대한 소비자, 의사의 인식도를 조사 하였다. 소비자는 최근 6개월 이내에 동네의원을 방문한 전국의 20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 으로 전화조사 형식으로 진행하였고, 의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03년도 4/4분기 청구 명세서를 이용하여 ...
... 서 나타나는 형태로서, IC의 발달은 의료기관간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의료의 질을 보다 잘 반영 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다. 의료기관간 연계는 이해당사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환자의 경우 의료기관 의 연계란 의료서비스의 끊김 없는 이용가능성, 보다 쉬운 서비스 검색 등을 의미하며 서비스 제공자들의 관점에선 전통적으로 분적된 업무 영역을 넘어 서로 다른 전문가들이 ...
... 것으로 평가받았다. 42) 우리나라 우리나라는 아직 다제약제 처방관리를 위하여 의사-약사간 협업하도록 요구하는 강제조건은 ...및 적정사용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은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먼저, 노인에서의 적절한 다 제약제 처방관리를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09년 전문가 를 대상으로 한 ‘노인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
... CCM은 만성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998년 미국 MacColl Institute for Healthcare Innovation에서 개발한 모형으로, 보건의료체계와 지역사회의 상호작용을 통하 여 의료 체계를 재건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질병 관리 체계가 만성질환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
... 통한 만성질환관리 85) Taiwan Public Health Report, 2008 86) Hermalin, 2006; Taiwan Public Health Report, 2008 87) Cheng, Chen, Wang, et al, 2005; Lee, Lin , Sung, et ...
...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종합계획이 필요하다. 단일만성질환 또는 복합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근거 에 기반한 모형을 설계하고, 해당 질환자의 연령대 또는 생애주기에 적합 한 건강성과 목표를 설정하여 건강성과를 달성하도록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만성질환자에게 효과가 ...
... 기반 만성질환관리 프로그램 및 지역사회 관리 프로그램 등 영역별·수준별 정책이 구체화 ...국내에서도 만성질환의 계속된 증가와 심 각성을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고자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심뇌혈관질환종합대책 등 국가단위 종 합계획을 근간으로, 다양한 만성질환관리 프로그 ...
... 보건진료원의 환자진료지침의 개정 6) 에 따라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고혈압 및 당뇨환자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지역의 많은 고혈압 및 당뇨환자들에 대한 투약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보건진료원의 책임부담, 의사의 치료지침 비협조, 이용환자 들의 의료의 질에 대한 신뢰 부족 등의 이유로 일부 환자들은 기존의 진료의사에 게 관리를 직접 받거나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있었다. ...
... 본 연구는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의 지표 관리를 위해 총 8개 항목에 대한 기초 분석을 통해 제외(퇴장) 지표를 ...질 평가를 중심으로 개발된 우리나라 적정성 평가 지표의 특성은 물 론, 지표의 측정 내용을 고려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질 평가를 실시하는 기관이 적 극적으로 지표를 운영할 ...
... - 특히, 국민건강보험공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요양기관 대상으로 공개강 좌 ․ 설명회(간담회)를 개최하고 있으나 국민을 대상으로 인식을 확대시키는 노력이 부족 ○ 아울러, 어느 단계에서든 필요시 현지조사 업무부서에 검토를 의뢰하여 부정 및 부당행위에 대한 감지기간을 단축하거나, 현지조사 단계에서 계속 검토가 필요 없지만 모니터링 단계에서 세밀한 검토가 요구되는 경우 심사부서로 ...
... 제3장 주요국의 장기입원 억제 정책 OECD에서는 효율성과 형평성 등 각 국가의 보건의료체계의 성과를 측정 하기 위한 지표를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바 있다(Joumard 등, 2010). 보건의료 공급과 수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규제와 시장 기전에 의존하는 방법, 형평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급여 범위의 확대, 공공지출을 통 제하기 위하여 예산 및 관리 기전을 활용하는 ...
... N, negligible. Adapted from Morgan et al. 21 , with permission from Hepatology. 에서 근감소증을 과소평가하였고, 주관적인 요소가 많아 임상 결과를 예측하는 데 제한점을 보였다. 19,20 한편 Royal Free Hospital Global Assessment 는 식이섭취와 함께 체질량지수, 상완 근육둘레 등의 ...
... 2차 평가에는 중심도관 삽입 또는 교체, 인공호 흡기 관련 폐렴 예방, 요로카테터 삽입 또는 교체, Sepsis Bundle 등 감염관련 각 Bundle 의 수행 여부를 진료과정 추가지표로 선정하여 감염관리를 강화하도록 ...아중환자실 평가에서도 수유시설 관리 등의 신생아실 환경관리, 조유·수유 및 제대관리 등의 ...
... - 포괄수가 및 신포괄수가에서 적용해온 코딩지침이나 사례를 참조하여, 코딩을 위한 원칙과 지침의 마련과 더불어 다양한 사례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 포괄 및 신포괄수가에 비해 입력되어 들어오는 부진단의 정보가 많고 복잡할 것으 로 예상됨에 따라, 일정기간동안 수집되는 POA 정보를 기반으로 한 타당성 검토 연구를 통해 미국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