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沒有找到結果。

第五章 結論與建議

第二節 建議

根據本研究的發現與結論,提出具體改善之建議,做為臺灣、韓國地區改進 小學師資職前培育之參考,並提出未來研究努力的方向。

一、對臺灣的建議

(一)使用師資培育機構評鑑結果

在臺灣師資培育機構評鑑施行後,依大學評鑑辦法及該評鑑作業要點規定,

- 130 -

核定調整各校師資培育規模為:(1)評為「通過」之師資類科:維持原核定師資 培育名額;(2)評為「有條件通過」之師資類科:核減原核定師資培育名額之百 分之三十;(3)評為「未通過」之師資類科:停止辦理。不過在臺灣實施評鑑的 結果,對於得到最上「通過」評鑑者,並沒有任何優待。本研究者建議,得到最 優秀的評鑑者,在學校經營、預算或招生過程中,可以給予一些優惠讓師資培育 機構更努力地提升師資培育品質的動力。

(三)碩士級師資培育

臺灣目前使用開放型制度來培養小學教師,開放型師資培育制度之優點為能 培養出擁有多元能力的教師;不過困難於培養有明確的使命感和專業能力的教 師,並因師資培育機構之增加的關係產生過多培養教師,無法同時保障師資培育 素質的缺點。所以最近在臺灣為了教師的專業發展,提高到碩士級師資培育。

現代社會是高學歷社會,學士學位已經變為以前的高中畢業一樣非常普遍的 學歷,在高學歷社會中只修 4 年的師資培育課程後擔任教師者,他們的權威將會 越來越被削弱,而且目前進行的 4 年制師資培育課程難以培養出教師的專業性。

本研究者認為開始進行碩士級師資培育的時候,可以實施讓教育實習課程之體制 化,強化教科教育領導能力等,將能夠提升小學師資培育品質。不過為了進行碩 士級師資培育,首先需要修訂相關法令,接著招生、教育課程之運作上體制化,

然後要計畫讓已經進入現場的教師再教育及進修等。

(三) 整合型小學師資培育機構

近年臺灣和韓國兩個國家同時面臨的問題之一為小學師資培育機構,特別為 教育大學規模之縮小化,所以政府機關常常提出教育大學和一般綜合大學之間合 併的方案。事實上現在教育大學需要的是改革,不過不管是臺灣還是韓國,教育 大學希望他們以獨立的大學體制來存在,並抗拒與一般大學合併,所以本研究者 依據在 2005 年韓國「全國教育大學校長協議公聽會」的內容來建議臺灣施行「整 合型小學師資培育機構」。

- 131 -

整合型小學師資培育機構並不是各教育大學彼此互相競爭,乃是互相協力、

發展的體制。首先成立小學師資培育中央機構,其他各地方的教育大學變為中央 小學師資培育機構之分院;中央小學師資培育機構負責整個師資培育運作,而各 地方教育大學依據自己各別的特色來師資培育及研究發展。整合型小學師資培育 機構之優點為能吸引優秀的學生,而且教育課程運作方面有專門培養小學教師的 系統,能達到師資培育機構之原本的目標且也能解決師資培育機構經營上的問 題。

二、對韓國的建議 (一)延長教育實習期間

目前在韓國小學師資生實習時間只有 8 週,而且這 8 週的期間也是斷斷續續 地分開實施。師資生實習者在短短的期間中無法學習整個小學教育現場所進行的 業務,也無法表現出師資生這 4 年在師資培育過程中所獲得的教學知識。

本研究者建議韓國師資培育機構如同臺灣一樣,為了教育實習課程之專業化 及讓師資生能夠熟悉教學現場氣氛與業務,辦理「半年或一年教育實習制度」。

(二)實施教師資格檢定考試

韓國師資培育機構之師資生,在 4 年的師資培育過程當中,修畢法令上所規 定的科目,再加上以畢業成績平均為 80 分以上完成學業者,無須任何評量此師 資生的素質、能力、人品、態度,即可直接取得「二級正教師資格」。不過英國、

德國、日本、臺灣等大多數先進國家,都主張在修完相關規定的教育學分領域科 目之後,必須通過國家舉辦「教師資格檢定考試」才能取得教師證書。研究者認 為韓國對於取得教師資格證上,包含臺灣與上述的國家一樣,需要進行教師資格 檢定考試,才授予「小學教師資格證」。

- 132 -

- 133 -

參考文獻

一、中文部分

范熾文(2008)。學校人力資源管理概念與實務。臺北:冠學文化。

臺灣教育部(2012)。教育施政理念與政策。取自:

http://www.edu.tw/userfiles/url/20130109145427/10109%E6%95%99%E8%82

%B2%E6%96%BD%E6%94%BF%E7%90%86%E5%BF%B5%E8%88%87%E 6%94%BF%E7%AD%96_%E4%B8%8A%E7%B6%B2%E7%89%88.pdf Robert, E.S. (2005)。 教育心理學:皮亞傑的認知發展倫。(張文哲譯)。

臺北:學當文化事業有限公司。

二、西文部分

Bolam, R., Organisation for Economic, C.-o., & Development. (1995).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at the level of school/local authorities and its role in school effectiveness. Pari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Brookover, W. B.(1964). Sociology of education. NY: American Books.

Dewey,J.(1913). Professional spirit among teachers. American Teacher 2, 114-116.

Drucker, P. F. (1989). The new realities : in government and politics, in economics

and business, in society and world view. New York: Harper & Row.

Field, B. , & Field, T.(1994). Teacher as Mentors : A Practical Guide, London : The Falmer Press.

Gary S. B. (1964).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Johnson, D.W.(1970). The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NY: Holt Rinehart and

- 134 - Winston.

Lieverman, M.(1958). Education as a profession. New Jersey: Prentice Hall, Inc.

Murphy.(1994). Justice and the human genome project.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OECD.(2004). Attracting, Developing, and Retaining Teachers:Synthesis Report.

Unesco. (1966).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Paris: UNESCO.

三、韓文部分

고대혁, 한국교육개발원, 김이경, 김재춘, 박상완, & 정수현. (2004).

교원자격ㆍ양성제도 개편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고려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고미숙, 김상무, 김영래, 서범종, 신창호, . . . 엄준용. (2007). 알기 쉬운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원미사.

고전. (2004). 敎員任用試驗 違憲論의 비판과 수용. A Critique and Acceptance

about Argument of Unconstitutionality in the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22(4), 171-191.

고전. (2006). 2005 년 교원 양성 정책 분석. 초등교육연구논총, 22(1), 163-194.

공은배. (2011). OECD 교육지표 2011(SM2011-11): 한국교육개발원.

구자억, 김광호, 김운종, 김기수, 김정민,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2009). 3 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강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기옥도. (1994). 한국 초등교원 양성제도 변천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김갑성, 박철희, 이광현, 조영숙, 이두휴, 김숙이, & 한국교육개발원. (2008).

교원양성기관 평가체제 정립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김남순. (1999).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김명수. (2003). 수업실기능력 인증제 도입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김영우. (1994). 現代社會와 敎育. 서울: 敎育科學社.

- 135 -

김영우. (1999). 한국초등교육사. 서울: 한국교육사학회 :.

김종생. (2005). 한국의 교사양성 및 임용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군산.

김태완. (2008). 교원 양성 및 임용의 다양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김현명. (2003). 초등교사 신규임용제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남억우,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89). 교육대학의 발전모형과 평가체제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韓國大學敎育協議會.

동아일보(2012). 希望未來配偶的職業調查. 取自

http://dkbnews.donga.com/3/all/20121213/51580242/3 문교부. (1983). 교육대학 교육과정 준칙 및 운영지침. 서울: 문교부.

박남기. (1997). 초등교원 양성정책 및 교육과정. 敎育行政學硏究, 15(3), 88-115.

박남기. (2009). 미래형 초등교원 교육체제 개편 기본 방향. 미출판(미래형 초등교원 교육체제 개편 및 발전방향세미나), 1-28.

박노권(1998)。 艾瑞克森社會心理發展八個階段理論分析(Analysis of E.

Erikson's life Cycle Theory),韓國 大田:木原大學。

박영철, & 한국경제연구원. (2008).

「韓國外匯危機 10 年-展開過程及以後課題」. 서울: 한국경제연구원.

박외호. (2003). 敎員成果給制度의 運營實態에 관한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창원.

박희원. (1988). 甲午改革을 중심으로 하는 近代學校의 設立과 그 性格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전.

반재천. (2008).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에 의한 총점의 순위변화. Rank Changes in Total Scores by Standard Score, Percentile

- 136 -

Rank, and Stanine Score Used in Colla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Korea, 21(2),

75-96.

서울대학교. (1998). 敎育學 대백과사전=The Encyclopedia of Education. 서울:

하우동설.

서정화. (1994). 優秀敎員 確保를 위한 敎員政策. Teacher Policy for the Attracting Qualified Teachers, -(10), 39-55.

서중석. (2007). 한국현대사 60 년. 서울: 역사비평사.

송명석. (2010). 초등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신상명. (2002). 교원양성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敎育行政學硏究, 20(3), 69-89.

신통철, &전국교육대학 교육과정연구위원회(1992). 敎育大學 敎育課程 模型 開發. 서울: 全國敎育大學 敎育課程 硏究委員會.

신현석. (2002). 교원자격제도의 개편방안 연구. A Study of Reorganizing Teacher Licensing System, 19(1), 113-135.

오천석. (1964). 韓國新敎育史. 서울: 現代敎育叢書出版社.

오태진. (2001). 한국 교원정책의 전개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교육사학, 23(2), 81-113.

오호영, 김나라, 김미숙, 서유정, &홍성민.(2012). 2012 學校前途教育指標, 서울:한국직업능력개발원.

유진성. (2001). 韓ㆍ中 初等敎員養成 및 硏修制度의 比較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유태욱. (1987). 韓國 初等敎員 養成 制度의 變遷에 관한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광주.

- 137 -

유홍준. (2010). 한국 교원의 사회, 경제적 지위에 대한 교육관련 주체들의 인식 : 현황, 변화 및 결정요인*: 한국교육개발원.

유홍준, & 김월화. (2006). 한국 직업지위 지수. The Occupational Status Scores in Korea: Past and Present, 40(6), 153-186.

윤미남. (2011). 교원성과급 배분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이미숙. (2000).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선정원리에 대한 비판적 탐구. A Critical Study on the Principles of National Common - core Curriculum Contents, 14(1), 67-83.

이원희, & 조재식. (2004). 교육대학 교육과정의 변화. A Stud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Change, 39(-), 493-516.

이원희, & 황규호. (2005). 주제발표 : 초등교육과정의 변천과 과제 / 토론.

학술대회, 2005(-), 15-45.

이윤식, 김정휘, 박영숙, 이성은, 정영수, 조동섭, . . .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교직과 교사. 서울: 학지사.

임후남. (2002). 대한제국기 초등교원의 양성.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장홍근, 오영훈, 최지희, 이동임, 장윤경, 이기홍, . .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한국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수진. (2009). 교원 성과급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정옥분. (2006). 개화기 한성사범학교의 설립과 교육내용.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정진곤. (2000).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는 대학교육체제 개혁 방안.

서울: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

- 138 -

정진곤, 강소연, 구본순, 김병무, 조동섭, & 교육인적자원부. (2004).

교원양성체제 개편 종합방안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조동섭. (2005). 교원양성대학의 기능과 역량 강화 방안. Reinforcing the Educational Capacities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23(2), 399-419.

조동섭, & 김광수. (2001). 2002 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선 연구. Developing

조동섭, & 김광수. (2001). 2002 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선 연구. Develo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