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沒有找到結果。

中國紅色供應鏈對台灣、韓國政治經濟之影響研究 - 政大學術集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中國紅色供應鏈對台灣、韓國政治經濟之影響研究 - 政大學術集成"

Copied!
91
0
0

加載中.... (立即查看全文)

全文

(1)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碩士論文. 중국 홍색공급망 연구:. 治. -대만, 한국에 대한政 정치경제적大영향을 중심으로-. 立. A Study on China’s Red Supply Chain:. ‧ 國. 學. Its Political Economic impacts on Taiwan and South Korea. ‧ er. io. sit. y. Nat. n. 研 a 究 生:林 靜 禧 撰v. i l C n h e n g c目 指導教授:謝 h i 堂U 博士. 中華民國. 106 年. 12 月.

(2) 碩士論文題目:. 中國紅色供應鏈對台灣、韓國 政治經濟之影響研究 政 治 大. 立研究生:林靜禧. ‧. ‧ 國. 學 y. Nat. (簽章). n. al. er. io. sit. 審查委員:. Ch. engchi. i n U. v. (簽章) (簽章). 指導教授:. (簽章). 系 主 任:. (簽章). 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中華民國 106 年 12 月.

(3)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주요 이론 및 개념 2.1 국제분업(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과 글로벌 가치사슬 (Global Value Chain, GVC)..................................................................... 5. 2.2 안행형(雁行形) 모델............................................................................... 8. 政 治 大. 2.3 국제정치경제적 시각............................................................................. 15. 立. 3. 선행연구 검토. ‧ 國. 學. 3.1 한국의 관련 선행연구........................................................................... 22 3.2 대만의 관련 선행연구........................................................................... 25. ‧. 4. 연구방법 및 구성....................................................................................... 27. sit. y. Nat. er. io. Ⅱ. 중국 홍색공급망의 등장. n. 1. 홍색공급망의 형성 배경........................................................................... 29 a v 1.1 자본 형성 및. i l C n h e단계: 기술 축적 hi U n g c다국적기업들의. 대중국 투자.... 32. 1.2 산업·기술 고도화 단계: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 35 1.3 본격적인 추격 및 추월 단계: 수입대체화 및 현지 기업 육성.......................................................................................................... 40. 2. 홍색공급망으로 인한 중국, 한국, 대만의 글로벌 가치사슬 역할 변화............................................................................................................... 43 3. 홍색공급망의 목적..................................................................................... 45. i.

(4) Ⅲ. 중국 홍색공급망의 영향 1. 한국과 대만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1.1 전반적인 영향....................................................................................... 46 1.2 주요 산업별 영향 (1) 디스플레이 산업.................................................................................. 48. (2) 반도체 산업.......................................................................................... 53. (3) 스마트폰 산업...................................................................................... 58. 2. 한국과 대만에 미치는 정치적인 영향................................................... 61 2.1 한국에 미치는 정치적인 영향........................................................... 62. 治 政 大 2.2 대만에 미치는 정치적인 영향........................................................... 立. 63. 3. 기타 영향..................................................................................................... 66. ‧ 國. 學 ‧. Ⅳ. 중국 홍색공급망에 대한 대응 방안. y. Nat. 1. 한국의 대응 방안....................................................................................... 68. er. io. sit. 1.1 한국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방안......................................................... 68 1.2 한국 기업의 구체적인 대응 사례..................................................... 69. n. al. 2. 대만의 대응 방안. Ch. engchi. i n U. v. 2.1 대만 정부의 정책적 대응 방안......................................................... 70 2.2 대만 기업의 구체적인 대응 사례..................................................... 71. Ⅴ. 결론................................................................................................................... 【참고자료】......................................................................................................... ii. 74. 77.

(5) 표 목차. 표 1 ..................................................................................................... 34 표 2 ..................................................................................................... 38 표 3 ..................................................................................................... 39 표 4 ..................................................................................................... 49. 立. 政 治 大. 표 5 ..................................................................................................... 55. ‧ 國. 學. 표 6 ..................................................................................................... 55. ‧. 표 7 ..................................................................................................... 59. y. Nat. n. al. er. io. sit. 표 8 ..................................................................................................... 60. Ch. engchi. iii. i n U. v.

(6) 그림 목차. 그림 1 ................................................................................................... 7 그림 2 ................................................................................................... 41 그림 3 ................................................................................................... 42 그림 4 ................................................................................................... 49. 立. 政 治 大. 그림 5 ................................................................................................... 53.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v. i n U. v.

(7) 中文摘要. 本研究探討中國大陸紅色供應鏈之定義、形成背景、目的,並分析其對台灣與韓國的影響 與因應策略,預期作為雙方堆動相關政策之參考依據。本研究定義紅色供應鏈為:中國大陸 以國內生產的產品取代以往依賴進口的中間財,進而占領全球價值鏈中附加價值較高的地位, 終致創造中國大陸主導的全新國際分工型態。本研究採用雁行模式與重商主義、自由主義等 國際政治經濟理論的觀點分析紅色供應鏈,研究發現紅色供應鏈為加速調整雁行模式國際分 工型態的主因之一,亦對台灣與韓國的政治經濟造成相當程度的衝擊。根據本研究分析中國. 政 治 大. 大陸經由資本累積與技術進步階段、產業與技術升級階段、追趕與超越階段形成了紅色供應. 立. 鏈。本研究透過面板產業、半導體產業、智慧型手機產業等台灣與韓國的主力產業為例探討. ‧. ‧ 國. Nat. y. 起的交互作用。. 學. 紅色供應鏈對兩國經濟層面造成的影響,並提出近期實例推測紅色供應鏈於政治層面可能引. n. al. er. io. sit. 關鍵詞:紅色供應鏈、政治經濟、全球價值鏈、中國大陸、台灣、韓國. Ch. engchi. v. i n U. v.

(8)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with the so-called China’s ‘Red Supply Chain’, which is defined as ‘the strategy that forms a new structure of China-led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or division of labor through substituting imported intermediary goods with its domestic ones as well as occupying more higher added-values in the global value chains. It also aims at understanding such political economic changes’ impacts on the industries and domestic politics of the China’s major trading partners— Taiwan and South Korea. Based upon the theories—mercantilism, liberalism, and flying-geese model i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we find that this political change plays a significant role of opportunity. 治 政 is supported by the three case studies on display, semiconductor, 大and smartphone industries, which are seriously influenced by the China’s立 Red Supply Chain; first, in economic perspectives and second, in. as well as threat to the foreign relation between China and its two major neighbors. Such an argument. ‧ 國. 學. political perspective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political economic interactions between China and its two neighbors that urgently deals with the changes and impacts from Red Supply. ‧. Chain in comparative perspectives.. sit. y. Nat. io. al. n. South Korea. er. Key words: Red Supply Chain, political economic, global value chains(GVC), China, Taiwan,. Ch. engchi. vi. i n U. v.

(9)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중국의 부상은 우리에게 많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역할 변화는 어느 한 영역에만 국한되어 일어나지 않았다. 경제적 측면에서 시작된 그 영향력은 외교, 안보 등과 같은 정치적 측면까지 파급되었고 다시 경제 영역으로. 政 治 大 뿐 아니라 세계, 특히 동북아시아의 立. 확대되고 있다. 다시 말해 중국은 경제 성장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을. 기존 질서를 바꾸어. 놓으려 하고 있다. 이처럼 정치와 경제는 불가분한 관계이므로 국제적인 현안이. ‧ 國. 學. 발생하였을 때 정치 또는 경제 어느 한 시각이 결여된다면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 없게 된다. 또한 정치와 경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는데 이는 행위자들 간의 협력을. sit. y. Nat. 증진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행위자들 간의 경제적 교류는 부와 권력의 재분배를 초래하는데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도 간혹 있으나 불균등한. 행위자들의 국익과. er. 경우가. 이러한 불균등한 a 대부분이다. iv l C n 국력에까지 영향을 된다. 아울러 h e n미치게 gchi U. n. 이루어지는. io. 분배가. 부와. 권력의. 분배는. 행위자들 간의 경제적. 교류는 상호의존성을 야기하고 의존을 덜 하는 측이 그렇지 않은 측에 정치적 영향 또는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정치와 경제의 역학 관계는 본 연구의 주요 비교 대상인 중국과 한국, 대만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한국과 대만은 2016년을 기준으로 대중국 수출의존도 세계 1, 2위를 다투고 있는 국가인 만큼 중국의 경제적, 정치적 변화에 더욱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최근 한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배치 결정 이후 중국의 경제 보복을 비롯해 대만의 독립성향 정부 출범 이후 중국의 경제 제재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10) 한국과 대만은 지리적으로 중국과 근접해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는 과거 중국의 영향. 하에. 있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쳐. 미국의. 영향권에. 편입되는. 등. 유사한. 정치·경제적 경로를 밟아왔다. 또한 1960년대를 전후로 각각 대기업 중심, 중소기업 위주의 수출주도형 성장전략을 통해 급속한 경제성장을 달성하였는데 이는 빈약한 부존자원, 높은 인구 밀도, 협소한 내수시장 등의 공통점에서 기인한다. 1980년대 후반에는 한국, 대만 모두 민주화를 실현하면서 지금까지도 유사한 정치·사회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발표된 옥스포드이코노믹스(Oxford Economics)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과 대만의 무역 유사성은 0.67(1.0은 수출군이 완전히 동일함을 뜻함)에 달하는데. 政 治 大. 이는 양국이 경제구조와 수출 품목에서 상당한 유사성이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준다 1 .. 立. 그 외에도 양국은 제조업이 GDP의 30% 내외를 차지할 정도로 제조업 중심의. ‧ 國. 學.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출 규모가 GDP의 50% 내외에 달할 만큼 경제의 수출의존도가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중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가장 높은. ‧. 것으로 나타나는데 2016년을 기준으로 한국과 대만의 대중국 무역 의존도는 각각. sit. y. Nat. 63.9%, 96.3% 2 를 차지할 정도이다. 물론 차이점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한국은 자체. n. al. er. io. 브랜드의 글로벌 대기업이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반면, 대만은 OEM(주문자 상표 부착. i n U. v. 생산,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방식의 대기업, 특히 중소기업이 경제를. Ch. engchi. 견인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처럼 높은 유사성을 가진 한국과 대만은 공통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상호 벤치마킹을 한다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발표한 이래 약 30여 년 간 연평균 10%에 가까운 높은 경제 성장률을 유지해 왔다. 1978년에 세계 10위였던 중국의 경제 규모는. 1. Heath, Michael. 2017. “The Strange Case of Korea and Taiwan's Diverging Export Fortunes.”.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7-03-27/the-strange-case-of-korea-and-taiwan-s-diverging-export-fortunes (검색일: 2017. 05. 26). 2. 김윤희. 2017. “[한중 수교 25 주년①] 무역통계로 보는 한중 경제.”.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3/globalBbsDataView.do?setIdx=242&dataIdx=160549 (검색일: 2017. 09. 01).. 2.

(11) 2010년 미국과 함께 G2 반열에 오를 만큼 성장하였고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에. 가입한. 이후. 2009년부터. 8년. 연속. 세계. 1위. 수출대국의 위상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의 국제사회에 대한 영향력은 경제적인 측면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비경제적인 측면, 외교·안보적인 측면에서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중국의 군사력은 미국, 러시아. 다음으로 세계 3위를 차지했고 군사비 지출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거 미국이 주도하던 세계무역기구, G-20 등 각종 국제기구에서 신흥강자로 부상하고 있어 앞으로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영향력과 중요성은 더욱. 政 治 大.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날 중국이 달성한 성과에 배경에는 수많은 요인이. 立. 작용했겠지만 특히 한국과 대만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과 제조대국,. ‧ 國. 중국이. 수출대국으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學. 대만은. 중간재와. 자본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한국, 대만→중국→세계 시장’이라는 국제분업 구조를. ‧. 이루어왔다. 즉, 중국의 저렴한 노동력과 풍부한 자원을 활용하여 중국에 중간재를. sit. y. Nat. 수출하고 중국에서 이를 가공하여 미국, 유럽 등 선진국가에 소비재 또는 최종재를. n. al. er. io. 수출하는 방식이었다. 실제로 한국과 대만의 대중국 수출에서 중간재는 각각 70%, 80%. v.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3 , 대부분이 중국에서 사용되어 최종 시장에 수출되고 있다.. Ch. engchi. i n U. 그러나 최근 중국은 임금 상승, 가공무역 억제 정책, 산업 고도화 등으로 인해 과거 한국과. 대만. 등. 국가에서. 수입해. 오던. 중간재를. 국산품으로. 대체하는. 이른바. 수입대체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는 한국과 대만의 역할 비중의 축소와 기존 국제분업 구조의. 변화로. 이어졌다..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세계경제전망(WEO: 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과거 수입에 의존했던 중간재를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다. 중국이 가치사슬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3. 中央銀行. 2017. “中央行理監事會後記者會參考資料.” https://www.cbc.gov.tw/public/Attachment/7122716544171.pdf p.23. (검색일: 2017. 10. 23).. 3.

(12) 곳으로 이동함에 따라 노동집약적 제품의 생산이 감소하고 이러한 제품의 생산 기회가 풍부한 노동력을 지닌 동남아 국가들에게 창출되고 있다. 또한 중국이 글로벌 가치사슬(GVC: Global Value Chain)에 깊이 참여하고 있어 이러한 구조적 변화가 무역 파트너들에게 다양한 파급효과를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4 . 이러한 수입 중간재 대신 자국 제품을 사용해 완제품을 생산·수출하고 더 나아가 중국 중심의 가치사슬을 구축하겠다는 중국의 전략을 ‘홍색공급망(紅色供應鏈, Red Supply Chain)’이라 일컫는다. 이는 2013년 9월 영국의 경제신문 파이낸셜타임즈(Financial Times)가 중국 기업들은 저렴한 노동력 대신 애플(Apple)사의 공급사슬에 편입하여 대만, 한국과 같은 관련. 政 治 大. 기업들의 공급사슬 내 위상을 위협하고 있다고 보도한 내용 5 을 토대로 대만의 주요. 立. 경제잡지인 천하잡지(天下雜誌)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여기서 홍색은 대만에서. ‧. ‧ 國. 해석할 수 있다.. 學. 주로 중국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대명사이므로 ‘중국이 주도하는 공급망’이라고도. 본 연구는 중국의 홍색공급망의 형성 배경에서 시작해 한국과 대만에 미치는. Nat. sit. n. al. er. 아울러 홍색공급망에 대해 한국과 대만 정부가 제시한 정부 정책을. io. 확인하였다.. y. 영향을 분석한 결과, 비단 경제적인 측면뿐 아니라 정치적인 측면까지 파급되었음을. i n U. v. 비교하고 개별 기업의 대응 방안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홍색공급망이라는 현상에. Ch. engchi. 대해 한국과 대만, 정치와 경제 측면에서 논의를 진행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2. 주요 이론 및 개념. International Monetary Fund, Research Dept. 2016. “World Economic Outlook, October 2016: Subdued Demand: Symptoms and Remedies.”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Issues/2016/12/31/World-Economic-Outlook-October-2016-Subdued-DemandSymptoms-and-Remedies-44024 pp.173-174 (검색일: 2016. 12. 06). 5 Sarah, Mishkin. 2013. “Chinese Companies Move into Supply Chain for Apple Components.” https://www.ft.com/content/d70fca52-2691-11e3-9dc0-00144feab7de. (검색일: 2016. 11. 07). 4. 4.

(13) 2.1 국제분업(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과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 분업이란 생산 과정을 여러 분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여러 사람이 분담해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분업의 개념을 처음 소개했던 아담 스미스(Adam Smith)가 주장하듯 분업은 생산력을 제고해 개인의 복지와 국가의 부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분업이 없으면 모든 생산 과정을 단독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분업은 개인 또는 기업에서뿐 아니라 국가 간에도. 政 治 大.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국제분업이다. 국가가 보유한 자연, 인구, 자본 등. 立. 부존자원의 차이로 인해 제품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도 달라진다. 이 때에 자국에서. ‧ 國. 學. 생산하는 것보다 저렴한 제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자국이 비교우위에 있는 제품을 특화해 생산 및 수출하는 국제분업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국제분업은 19세기 중반. ‧. 산업혁명의 선두주자였던 영국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각 제국주의 열강 국가들을 통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경공업의. y. 이전되었다.. sit. 식민지로. Nat. 그들의. 발전에. 따라. n. al. er. io. 선진국과 후발국 간의 국제분업이 본격적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는 국제무역으로. i n U. v. 이어졌다. 홍성범 외(2011)는 국제분업을 정치·경제적 행위로 간주하고 아래 4단계로. Ch. engchi. 분류하였다. 1950년대 이전까지를 제1차 국제분업체계, 1960년대-1980년대를 제2차 국제분업체계, 1980년대-2000년대를 제3차 국제분업체계, 200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부상하는 시기를 제4차 국제분업체계로 분류하고 각 시기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6. .. 조윤애 외(2008)에 따르면 국제분업구조는 전통적인 ‘산업 간 국제분업(inter-industry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에서 ‘산업 내 국제분업(intra- industry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로 변화되었고 산업 내 국제분업은 기존의 ‘차별화된 제품 간의. 홍성범.김기국.김석관.임상현.유철. 2011. “슈퍼차이나 부상과 글로벌 기술분업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I) 동북아 국제분업구조를 중심으로-.” 정책연구 2011-08.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 17.. 6. 5.

(14) 수평적 국제분업(horizontal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에서 ‘동일 제품에서 가치사슬(value chain)의 수직적 국제분업(vertical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으로 변화되고 있다. 7 여기서 수직적 국제분업은 발전 단계가 다른 국가들 간의 국제분업을 말하며, 국내에서 원자재부터 최종 생산품에 이르기까지의 종적인 분업을 수직적 분업이라고 지칭한다 8 . 이처럼 국제분업의 정의는 시기별, 단계별로 변모해 왔는데 최근 들어서는 부가가치의 개념이 추가된 글로벌 가치사슬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윤우진(2016)은 국제분업 구조와 글로벌 가치사슬을 동전의 양면으로 보고 총수출에서 어느 국가가 얼마만큼의 부가가치에 기여하고 있는지 분석하면 생산활동의. 政 治 大. 국제분업 구조를 유추할 수 있다고 하였다 9 . 글로벌 가치사슬의 정의에 대해서는. 立. 김종기 외(2014)를 참고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가치사슬의 정의가. ‧ 國. 學. 정설로 확립되어 있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글로벌 가치사슬이란 제조업, 서비스업 등의 경영활동에서 생산 공정 단위를 국내외에 분산 배치해 나가는 글로벌 분업. ‧.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10 . 글로벌 가치사슬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 <그림1>의. 가치사슬활동은. Ch. U자. 곡선의. 양끝,. i n U. 고부가가치를. engchi. sit. y. al. 것으로. n. 하류(downstream)의. 고안된. er. 의해. io. 스전룽(施振榮)에. Nat. 스마일 커브(또는 스마일 페이스)이다. 이는 1992년 대만 에이서(Acer)그룹의 창업자. v. 창출하는. 즉. 상류(upstream)와 산업을,. 중류(mid-. stream)에 위치한 제조, 조립은 저부가가치 활동을 의미한다.. 조윤애.박종복.오영석.이상.최윤희. 2008. “신기술산업의 국제분업구조와 글로벌 전략.” 연구보고서 제 532 호. 서울: 산업연구원. p. 41.. 7. 홍성범.김기국.김석관.임상현.유철. 2011. “슈퍼차이나 부상과 글로벌 기술분업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I) 동북아 국제분업구조를 중심으로-.” 정책연구 2011-08.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 17. 9 윤우진. 2016. “글로벌 가치사슬과 한국 산업의 발전방향.” 연구보고서 2016-797. 서울: 산업연구원. p. 34. 10 김종기.서동혁.주대영.최동원.김재덕. 2014. “ICT 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 변화와 발전과제.” 연구보고서 2014-734. 서울: 산업연구원. pp. 17-18. 8. 6.

(15) <그림1> 스마일 커브: 글로벌 가치사슬 활동별 부가가치 크기. 政 治 大. 立. ‧ 國. 學. Organization. for. Economic. io. sit. Nat.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y. ‧. *출처: Peter Draper, Uri Dadush, Gary Hufbauer, James Bacchus and Robert Lawrence. 2012. “The Shifting Geography of Global Value Chain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tries and Trade Policy.” Global Agenda Council on the Global Trade System Report. Cologny: World Economic Forum. p. 21을 참고하여 저자가 재작성. Co-operation. and. n. al. er. Development)에 따르면 글로벌 가치사슬은 기업 또는 국가로 하여금 모든 산업을. i n U. v. 발전시키지 않고도 기타 지역의 중간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이 비교우위가 있는 산업에 특화할 수 있게 한다. Ch. 11. engchi. .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애플사의 아이폰(iPhone). 가치사슬을 들 수 있다. 아이폰 생산에 있어 디자인, 소프트웨어 등 고부가가치 부문은 미국이 전담하고 한국, 대만, 일본 등은 중간재를 제공하며, 중국은 저부가가치 부문인 단순 조립을 담당한다. 따라서 아이폰의 최종 수출국이 중국으로 표기되더라도 가장. OECD. 2013. “Interconnected Economies. Benefiting from Global Value Chains.” http://www.oecdilibrary.org/sites/9789264189560-sum-ko/index.html?itemId=/content/summary/9789264189560-sum-ko&mimeType=text/html. (검색일: 2017. 09. 02).. 11. 7.

(16) 높은 이윤은 미국이 가져가며, 중국에 돌아가는 부분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12. 이처럼 글로벌 가치사슬은 국제분업에 부가가치를 접목시킨 개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인 홍색공급망 역시 국제분업과 글로벌 가치사슬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이해될 수 있다. 과거 한국, 대만, 중국은 각기 다른 산업에 특화해 상호 보완적인 국제분업 구조를 형성해 왔다. 또한 각국의 비교우위에 따라 한국과 대만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고부가가치 부문을, 중국은 저부가가치의 노동집약적 부문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 유가 하락 등 세계 경제의 변화를 비롯해 중국의 임금 상승, 가공무역 억제, 수입대체 가속화, 산업. 政 治 大. 고도화 등으로 인해 이러한 국제분업 구조 및 글로벌 가치사슬에 변화가 이루어지고. 立. 있다. 중국은 기존 국제분업 구조에서 한국과 대만을 대체하려 하고 있으며, 점차. ‧ 國. 學. 고부가가치의 자본·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가치사슬을 형성하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홍색공급망’이. ‧. 초래할 수 있는 경제적인 영향으로 상정하고 본문에서 이에 관련한 논의를 제기하고자. n. 2.2 안행형(雁行形) 모델a l. er. io. sit. y. Nat. 한다.. Ch. engchi. i n U. v. 흔히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 발전 과정 또는 국제분업 구조를 안행형(雁行形, Flying Geese. Model). 아카마츠(Kaname 야마자와(Ippei. 모델로. 설명한다.. Akamatsu)가 Yamazawa),. 이. 모델은. 1930년대. 제창한. 것으로. 이후. 키요시. 코지마(Kiyoshi. 일본. (Saburo Kojima). 학자. 카나메. Okita),. 이페이. 등에. 의해. 확장·발전되었다. 아카마츠의 고전 안행형 모델은 국가를 산업 발전 단계에 따라 선진. 아이폰 4(16G)의 경우, 미국 국내 판매가가 560 달러로 책정되어 있는데 그 중 미국이 368 달러(65.7%)를, 중국이 14 달러(2.5%)를 가져간다. (윤우진. 2016. “글로벌 가치사슬과 한국 산업의 발전방향.” 연구보고서 2016-797. 서울: 산업연구원. p. 30 에서 재인용) 12. 8.

(17) 경제체(advanced economy)와 후진 경제체(less-advanced economy)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산업. 발전. 패턴을. ①수입→국내. 생산(수입. 대체)→수출,. ②소비재. 생산→자본재 생산, 단순한 제품 생산→복잡한 제품 생산 등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한다. 후진 경제체는 기술과 자본이 부족해 선진 경제체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는 단계에서부터 산업 발전을 시작한다. 수입이 누적되고 선진 경제체로부터 기술이 이전되면 해당 제품의 국내 생산이 가능한 단계로 발전하고 기존 수입을 대체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후 해당 기술의 표준화와 생산 비용의 상대적인 절감이 경쟁력으로 이어져 수출이 가능한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후발 경제체는 선진. 政 治 大. 경제체로부터 자본 및 생산 기술을 단계별로 이전 받으면서 기존의 단순한 제품에서. 立.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제품 생산이 가능해지는 발전 패턴이 나타난다. 이상 두 가지. ‧ 國. 學. 패턴을 각각 함수로 표현할 경우 역V자 형태 13 가 나타나는데 아카마츠는 이를 기러기 편대가 V자 형태를 이루며 비행하는 모습에 비유하여 ‘야생 기러기 비행 패턴(wild-. ‧. geese-flying pattern)’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존 연구에 레이먼드 버논(Raymond. sit. y. Nat. Vernon)의 제품주기 이론 및 외국인직접투자(FDI) 개념을 도입해 기존의 두 패턴을. n. al. er. io. ①수입→국내 생산(수입 대체)→수출→역수입, ②노동집약적→자본집약적→기술집약적,. i n U. v. ③선도국 그룹→신흥공업국(중간국) 그룹→후발국 그룹 등으로 확장시킨 것을 근대. Ch. engchi. 안행형 모델이라 지칭한다 14 . 이는 ‘선도국 일본→한국, 대만 등 신흥공업국→아세안 국가 및 중국 등 후발국’이 수직적인 분업 구조를 지니고 순차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으로 자리잡았다. 즉 일본은 동아시아라는 기러기 편대의 선두에서 한 산업에 특화하고 해당 산업이 비교우위를 상실하면 2선에 위치한. 한 산업의 수입, 생산, 수출을 함수로 표현할 경우 및 한 국가의 산업 발전 궤적을 함수로 표현할 경우 각각 역 V 자 그림이 나타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Kaname, Akamatsu. 1962. “A Historical Pattern of Economic Growth in 13.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Developing Economies』Vol. 1, No. 1. Chiba: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를 참조. Shigehisa(2004)는 안행형 모델을 ‘Akamatsuís original flying geese paradigm’과 ‘modern flying geese paradigm’으로 구분하고 그 차이점을 비요한 연구이다. (Kasahara, Shigehisa. 2004. “The Flying Geese Paradigm: A critical study of its application to East Asian regional development.” MPRA Paper 21881. Germany: University Library of Munich.) 14. 9.

(18) 신흥공업국으로. 산업을. 이전한. 후. 새로운. 산업을. 발전시킨다.. 신흥공업국은. 일본으로부터 해당 산업을 이전 받아 발전시키고 또 다시 비교우위가 저하된 산업은 순차적으로 3선에 있는 후발국에 이전된다. 이 때 각기 다른 산업에 특화한 일본, 신흥공업국, 후발국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며, 가치사슬의 개념에서 보면 일본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특화하고 신흥공업국과 후발국이 그 뒤를 이어 저부가가치 산업에 특화하는 수직적 분업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 외에도 이 모델은 선두국인 일본이 동아시아 국가들에 지속적으로 기술과 자본을 이전한 것이 동아시아의 산업 고도화, 경제 발전을 견인했다는 점을 강조한다15. 1950년대 노동집약적 산업에 특화해. 政 治 大. 있던 일본은 1960년대부터 산업 고도화를 통해 자본집약적 산업을 발전시키고. 立. 해외직접투자를 통해 기존의 노동집약적 산업을 신흥공업국으로 이전하였다. 일본은 국가에. ‧ 國. 아세안. 진출하기. 시작했고. 신흥공업국은. 學. 1970년대부터. 1980년대부터.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산업 구조를 조정하면서 비교우위를 상실한 노동집약적 산업을. ‧. 아세안 국가에 이전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기술 및 자본의 이전은 동아시아 국가의. sit. y. Nat. 산업 고도화에 밑거름이 되었는데 대표적인 사례인 섬유 산업이 이러한 주장을. n. al. er. io. 뒷받침하고 있다. 아울러 진시원, 홍익표(2017)는 안행형 모델을 통해 1950년대. i n U. v. 일본으로만 이루어져 있던 동아시아 경제체제가 1980년대 일본, 신흥공업국, 아세안. Ch. engchi. 국가를 포함하는 광대한 경제 지역으로 확대된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서술한 바 있다16. 1990년대. 이후부터. 안행형. 모델이. 한계에. 봉착해. 더이상. 적용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Kwan(2002), 카츠지 나카가네(Katsuji Nakagane), 왕자황(王佳煌) 등과 같이 안행형 모델이 여전히 동아시아 지역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연구도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와 상반되는 주장을 제시하고 있다.. 박번순. 2002.『아시아 경제, "힘의 이동" : 일본에서 중국으로 옮겨가는 경제주도권』.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pp. 36-37. 16 진시원.홍익표. 2017. 『세계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학』. 부산 : 부산대학교출판부. pp. 490-491. 15. 10.

(19) 김진영(2007)에 따르면 동아시아는 중국의 부상 이후 기존 안행형 모델의 가설에서 보다 복잡하고 다층적인 구조로 변모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국가를 유일한 주체로 각국 간 산업의 수직 이동만을 설명한 안행형 모델은 동일 산업의 생산 과정을 국제적으로 분화시키는 현재 분업 구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노동집약적 산업뿐 아니라 자본·기술집약적 산업에도 특화한 중국의 사례는 일본이 최고 수준의 부가가치 산업에 특화하고 그 외의 국가는 순차적으로 낮은 부가가가치 산업에 특화한다는 가설에 부합하지 않는다. 17. . 임혜란(2013)도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안행형 모델은 국가를 분석 단위로 간주해 각국의 산업 구조나 국내. 政 治 大. 정치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선도국의 동일 산업을 이전 받은 각국의. 立. 상이한 발전 궤도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자동차 산업은 이러한 주장을 잘 설명해. ‧ 國. 學. 주는 예시이다. 일본의 자동차 산업은 신흥공업국인 한국과 대만에 이전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대기업 위주, 중소기업 중심의 산업 구조에 따라 최종재 조립과 부품. ‧. 생산에 특화하였다. 1990년 이후 한국은 자동차 수출국이 된 반면 대만은 부품 생산에. sit. y. Nat. 주력하는 등 같은 산업을 이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발전 과정을 거쳐왔는데. n. al. er. io. 안행형 모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안행형 모델은. i n U. v. 비교우위를 상실한 쇠퇴산업이 저기술, 노동집약적인 특성을 가진 반면 비교우위를. Ch. engchi. 선점한 첨단산업이 고기술, 자본·기술집약적인 특성이 있다고 하였으나 첨단 산업에도 저기술 가치사슬이 존재하며, 전통 산업에서도 고기술 가치사슬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과거 일본→한국, 대만→아세안→중국으로 이어지는 산업의 이전은 가치사슬의 분업으로 변화되어 안행형 모델이 적용되기 어렵게 된 것이다 18 . 이처럼 국가를 분석 단위로 설정할 경우 안행형 모델로는 충분한 설명이 되지 않으며, 각 국가가 특정. 김진영. 2007. “동아시아 국제분업과 지역주의에의 함의.”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9(1). 서울: 한국정치외교사학회. pp. 81-82. 18 임혜란. 2013. “생산세계화와 동아시아 지역생산네트워크의 재편.” 『평화연구』Vol.21 No.1. 서울: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pp. 78-84. 17. 11.

(20) 산업에 특화되어 있다는 주장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에의 많은 연구들은 후발국이 선도국을 따라잡는 데는 일정한 순서가 있고 추월은 일어나지 않으며, 일본을 유일한 선도국으로 간주하는 것을 안행형 모델의 문제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카마츠의 원론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체제에는 미국이 주도하는 모델, 영국과 독일이 주도하는 모델, 그리고 일본이 주도하는 소규모의 모델 등 다수의 모델이 존재한다. 19. . 과거 일본은 미국이 주도하는 안행형 모델의 후발국이었으나.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통해 미국과의 격차를 좁혀 나갔고 결국 자국을 필두로 하는 동아시아 안행형 모델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후발국도 충분히 선도국 그룹에. 政 治 大. 합류할 수 있고 추월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아카마츠는. 立. 안행형 모델의 구성국들이 모두 일정한 속도로 발전할 때에만 기본 형태인 V자. ‧ 國. 學. 대형이 유지되는데 선도국과 후발국은 일정한 속도로, 반드시 발전하는 것이 아니며, 간혹 휴지(休止) 상태에 머물러 하위 단계에 있는 국가에 추월 당할 수도 있다고. ‧. 주장한 바 있다. 선도국이 그 위상을 견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과 새로운 산업. sit. y. Nat. 발전이 필요한데 만약 그렇지 못할 경우 2선으로 심지어 3선으로 밀려날 수도 있다는. n. al. er. io. 점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일본이 정체함에 따라 선도국의 위상을 상실하고 신흥공업국. i n U. v. 또는 후발국에 따라잡히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인 것이다. 한편 안행형. Ch. engchi. 모델의 산업 간 수직적 분업 구조 및 비교우위에 따른 순차적인 발전은 붕괴되었다고 주장하는 연구도 존재한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들의 산업 간 수직적 분업 구조는 완전히 붕괴된 것이 아니라 단지 약화된 것일 뿐이다. 일본, 신흥공업국, 중국은 여전히. 서로. 다른. 산업에. 특화되어. 있다.. 일본은. 고부가가치,. 고기술. 산업에,. 신흥공업국은 중상위 자본·기술집약적 산업에, 중국은 노동집약적 산업에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은. 신흥공업국에. 주로. 자본재와. 중간재를. 수출하고. Kaname, Akamatsu. 1962. “A Historical Pattern of Economic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Developing Economies』Vol. 1, No. 1. Chiba: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p. 19. 19. 12.

(21) 신흥공업국은 대부분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하고 있으며, 중국은 일본에 소비재를 주로 수출한다. 예컨데 반도체 산업의 경우, 현재까지 일본이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한국, 대만과도 약 4-5년의 기술 격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중국이 단기간 내에 따라잡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서로 다른 산업에 특화하는 산업 간 수직적 분업이 약화되고는 있으나 아직은 지배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20. 앞서 검토한 연구들 외, OECD(2010), 박번순(2001, 2005) 등은 중국의 부상을 안행형 모델 붕괴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우선 1990년대 이전의 중국은 안행형 모델에 따라 발전해 왔다. 한 예로 신발 산업을 들 수 있는데 동아시아의 신발 산업은 1960년대 일본에서. 1970-80년대. 시작되어. 1990년대에. 이르러. 立. 중국으로. 한국과 治 대만을 거쳐 政 大 이전되었다.. 이는. 1980년대. 동남아시아,. ‘일본→신흥공업국→아세안. ‧ 國. 學. 국가→중국’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기술 이전 과정에 부합한다. 또한 중국의 대부분 산업은 과거 생산 기술 부족으로 해외 수입에 의존했으나 순차적으로 기술을 이전. ‧. 받아 국내 생산에 돌입, 국내 수요를 충족시켰고 수입이 감소하면서 자체 생산한. sit. y. Nat. 제품을 해외에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발전 과정은 제1유형인 ‘수입→국내. er. io. 생산(수입대체)→수출’ 형태와 일치하다. 한편 중국은 노동집약도가 높은 제조업을. n. al. i n U. v. 기반으로 자본과 기술을 획득하여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산업을 비롯해 전자통신기술(ICT: 이르기까지. Information. 자본·기술집약형. Ch. e n Communications gchi. and. 산업을. ‘노동집약적→자본집약적→기술집약적’. 발전시켜왔다. 변화이다.. 이는. 그러나. Technologies). 산업에. 제2유형에서. 제시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국의 안행형 모델 이탈 현상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중국의 부상이 과거 동아시아 국가 간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상호 경쟁적인 구조로 전환시켰으며, 중국이 아세안 국가를 추월하고 더 나아가 신흥공업국, 선도국의 지위를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Lall and Manuel(2004)은 2000년대 중국의 수출구조가. 20. 진시원.홍익표. 2017. 『세계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학』. 부산: 부산대학교출판부. p. 494.. 13.

(22) 2000년 아세안 국가들보다 1990년 한국과 대만의 수출구조에 더욱 근접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는데 21 이는 중국이 안행형 모델에서 한 단계에 앞서 있던 아세안 국가들을 뛰어넘어 한국 또는 대만에 접근해 오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그 격차를 좁혀 나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안행형 모델의 구성 국가들은 일정한 속도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상호 경쟁을 통해 기러기 대열의 선두로 나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도국이 혁신과 발전을 지속할 때에만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미에 위치해 있던 중국이 앞서가던 국가들을 따라잡거나 추월하는 것은 기존 가설에 부합하는 것이다. 이에 이두원. 政 治 大. 외(2011)은 한국과 중국 간의 발전 격차를 소득과 무역 구조의 측면에서 분석한. 立. 연구로 최근 중국 경제는 안행형 모델을 따라 주변 국가를 추격하고 있다고 서술한 바. ‧ 國. 學. 있다 22 . 이처럼 중국의 부상은 안행형 모델이 설정한 순서를 바꾸어 놓았을 뿐, 붕괴를 초래한 요인이라고 보기 어렵다. 오히려 기존의 위상을 지키려는 선도국, 신흥공업국과. ‧. 이를 따라잡으려는 중국 간의 관계가 안행형 모델의 적실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sit. y. Nat. 한편 안행형 모델을 더이상 적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은 새로운 형태의. n. al. er. io. 가설을 제기하였다. APEC(2005)은 기존 모델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틀인. i n U. v. ‘개구리 도약형 프로세스(leapfrogging process)’를 제시했는데 이는 주요 기술 변화가. Ch. engchi. 우연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면서 일부 개발도상국이 중간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고급 기술 시장에 뛰어드는 일이 가능하다는 이론이다 23 . 즉 수입 단계를 생략하고. 국내. 자본·기술집약적. 생산,. 수출. 산업으로. 단계로 발전이. 도약하거나 이루어지는. 노동집약적 현상이. 산업을. 발생한다는. 건너뛰고 것이다.. Lall, Sanjaya.Mauel, Albaladejo. 2004. “China's Competitive Performance: A Threat to East Asian Manufactured Exports?.” 『World development』Vol.32 No.9. Amsterdam: Elsevier Science B.V. p. 1447. 21. 이두원.김선화.김동희. 2011. “The Estimation of the Developmental Gap between China and Korea.” 『동북아경제연구』23 권 3 호. 서울: 한국동북아경제학회. p. 92. 23 APEC. 2005. “Patterns and Prospects on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APEC Region.” https://www.apec.org/Publications/2005/12/Patterns-and-Prospects-on-Technological-Progress-in-APEC-2005. 재인용 (검색일: 2017. 09. 02). 22. 14. pp. 1-2 에서.

(23) 박번순(2005)은. 동아시아의. 지역. 발전. 모델의. 수명주기가. 전개되었다고. ‘안행형→대나무자본주의형→수련형’으로. 주장하였다.. 대나무자본주의형이란 비교우위에 따라 제품의 생산 공정을 분절하는 형태를 가리키며, 수련형은 하나의 광역집적지역에서 다양한 산업이 집적하여 상당 수준의 수직적, 수평적 분업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24. 그렇다면 안행형 모델의 후미에 위치해 있던 중국은 어떻게 아세안 국가를 추월하였고 더 나아가 신흥공업국인 한국과 대만을 추격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러한. 중국의. 추격. 또는. 추월의. 가속화를. 政 治 大. 초래한. 것은. 바로. 홍색공급망이다. 본문에서 자세히 서술하겠지만 중국은 다년간 자본 형성 및 기술 단계,. 立 단계,. 고도화. 구축해. 왔으며,. 홍색공급망을. 이를. 본격적인 통해. 추격. 안행형. 및. 추월. 모델에서뿐. 學. 산업·기술. ‧ 國. 축적. 단계. 등을. 아니라. 거쳐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상위에 위치한 한국, 대만과의 격차를 빠르게 줄여나가고 있다. 격차가. ‧. 줄어듦에 따라 국가 간의 산업은 점차 중첩되고 각국은 상호 경쟁이 불가피해질. n. al 2.3 국제정치경제적 시각. er. io. sit. y. Nat. 것으로 보인다.. Ch. engchi. i n U. v.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통적으로 정치와 경제는 긴밀하게 연계된 불가분의 관계라고 인식되어 왔다.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현안들은 단순히 정치적인 시각으로 또는 경제적인 시각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정치의 경제화와 경제의 정치화 현상. 25. ’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와 경제는 각각 권력(power)과. 부(wealth)를 연구하는 독자적인 학문이지만 권력을 사용해 부를 추구하고 부를. 24 25. 박번순. 2005.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지역발전모델의 변화.” SERI 연구보고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pp. 17, 31. 박경서. 2001. 『국제정치경제론: 이론과 실제』. 서울: 법문사. p.vii.. 15.

(24) 이용해 권력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원화된 분야가 아닌 일원화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이러한.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을. 논의하는. 학문이. 바로.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이다. 로버트 길핀(Robert Gilpin)은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을. 국제적인. 차원으로. 확장시킨. 국제정치경제학(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의 대표적인 학자로 그의 정의에 따르면 국제정치경제학은 ‘경제와 정치의 상호작용(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economics. and. politics)을. 연구하는. 학문 26 ’이다. 역사적으로 국제경제체제는 국제정치체제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외교, 전략이라는 정치적 요소가 생산, 분배, 소비 등 경제적 현상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政 治 大. 것을 알 수 있다 27 . 국제사회를 바라보는 국제정치경제학적 시각은 크게 중상주의 관점(mercantlist. 立. perspective),. 자유주의. 관점(liberal. perspective),. 급진주의. ‧ 國. 국제정치의. 學. 관점(radical perspective) 등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의 사상은 각각 현실주의(realism),. 자유주의(liberalism),. 구조주의(structuralism)에. ‧. 기초한다. 본 연구는 이들 중 중상주의와 자유주의 시각에서 홍색공급망을 조망한다. 중. 현실주의를. 국제경제. y. 이론. 영역에. 접목시킨. sit. 국제정치. Nat. 중상주의는. n. al. er. io. 국제정치경제학 이론으로 경제적 민족주의, 신중상주의, 국가주의 보호주의 등 다양한. i n U. v. 명칭으로 불리며 발전해왔다. 중상주의의 핵심 가정을 가장 잘 정리한 것은 경제학자. Ch. engchi. 제이콥 바이너(Jacob Viner)이다. 그에 따르면 중상주의의 핵심 명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는 권력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수단이다. 둘째, 권력은 부의 획득 또는 유지를 위한 수단이다. 셋째, 부와 권력은 국가 정책의 최종 목표이다. 넷째, 권력과 부는 장기적으로 조화로운 관계를 이룬다. 28 ” 이렇듯 중상주의는 국가를 주요 행위자로 간주하고 경제(부)보다 정치(권력)를 우선시 하며, 경제력을 추구하되 이를 안보, 권력. 26 Robert, Gilpin. 1975. 『U.S. Power and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 The Political Econom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New York: Basic Books. p. 22. 27. 박경서. 2001. 『국제정치경제론: 이론과 실제』. 서울: 법문사. p. 23.. 28. Robert, Gilpin 저.강문구 역. 1991.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학』. 부천: 인간사랑. pp. 60-61.. 16.

(25) 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는 등 정치적 현실주의의 관점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국제사회를 무정부 상태로 인식하는 중상주의는 국가 간의 협력은 상호의존 관계를 야기하고 이는 갈등과 분쟁으로 이어지며, 더 나아가서 종속적인 관계를 유발하는 위험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국가 간의 협력이 불가피한 오늘날 중상주의는 권력의 차이를 결정하는 산업화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자본·기술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추구한다. 자유주의는 이러한 중상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했으며, 일반적으로 고전 자유주의, 근대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등으로 분류된다. 우선 정치적 자유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로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전자는 합리적인. 政 治 大. 행위자, 국제법, 국제기구 등을 통해 국제 평화를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立. 후자는 시장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국가의 개입에서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강조한다.. ‧ 國. 정치를. 경제보다. 우선시하는. 중상주의자들과는. 學. 자유주의자들은. 반대로. ‘경제는. 진보적이며, 정치는 퇴행적인 것 29 ’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정치와 경제를 분리하려고. ‧. 노력한다. 따라서 국가는 시장의 주체가 아닌 체제를 유지·관리하는 역할만 수행해야. sit. y. Nat. 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 기업 등 합리적인 행위자가 주체가 되여야 한다고. n. al. er. io. 주장한다. 자유주의자들은 이처럼 합리적인 경제 주체와 국가의 간섭에서 자유로운. i n U. v. 시장은 모두에게 이득을 가져올 것이라 믿는다. 이를 국제적인 차원으로 확장하면,. Ch. engchi. 국가 간의 무역이나 경제 교류는 경제 성장, 상호 혜택 등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주는 상호의존 관계로 발전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국제 평화도 가능해질 것이라는 가설로. 연결된다.. 아울러. 이들은. 절대적. 이득보다. 상대적. 이득을. 중요시하며,. 국제무역을 ‘포지티브섬 게임(positive-sum game)’으로 보고 비교우위와 자유무역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 각국이 비교우위에 의해 자국에 유리한 산업에 특화하고 자유무역을 통해 상품, 자본, 기술 등을 이전시키면 국가의 이익 극대화와 국가 간의 갈등 해소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앞서 서술한 이론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계급, 착취,. 29. Robert, Gilpin 저.강문구 역. 1991.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학』. 부천: 인간사랑. p. 58.. 17.

(26) 불균등, 종속 등에 관점에서 출발한 급진주의는 제국주의론, 종속이론, 근대세계체제론 등과 함께 마르크스주의 또는 구조주의라 불린다30. 상기 세 가지 이론은 각기 국제정치경제 현안을 분석, 설명, 예측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몇 가지 단점이 있다. 길핀에 의하면 중상주의는 첫째, 국제관계에서 협력이 가져다 주는 이득을 무시하며,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나 더 나아가 네거티브섬 게임(negative sum game)이라고 믿는다. 둘째, 권력과 부의 추구가 갈등을 수반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다. 셋째, 국가의 구성원, 국제기구 등의 역할을 차치하고 국가를 유일한 행위자로, 국가의 이익을 모두의 이익으로. 政 治 大. 간주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31 . 한편 자유주의는 첫째, 합리적인 경제 행위자들과. 立. 경쟁적인 시장이라는 가설은 극히 단순하고 비현실적이다. 둘째, 경제와 정치를 분리된. ‧ 國. 學. 것으로 보고 기존의 사회·정치적인 틀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국제관계를 설명하려고 한다. 셋째, 국가 간의 호혜적인 관계는 실현되기 어려우며,. ‧. 국가 간의 협력은 반드시 평화로 귀결되지 않는다는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32.. sit. y. Nat. 본 연구는 상기 세 가지 이론 중 중상주의와 자유주의의 관점에서 홍색공급망을. n. al. er. io. 분석한다. 우선 자유주의의 시각에서 본 홍색공급망은 궁극적으로 관련 국가들에 상호. i n U. v. 윈윈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과거 한국, 대만, 중국은 각각의 비교우위에. 따라. 특화된. Ch. 상품을. e생산·판매하면서 ngchi. 경제. 발전을. 이룩하였고.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였다. 즉 한국과 대만은 가치사슬에서 저부가가치 산업 부문을. 노동집약적. 산업에. 특화한. 중국에. 이전하고. 자본·기술집약적. 산업. 등. 중·고부가가치 부문은 자국에서 담당하는 전략을 추진해 왔다. 더 나아가 한국과 대만이 세계 시장에서 주문을 받으면 자체 생산한 중간재를 중국에 수출하고 중국 현지에서 이를 조립·생산하여 최종재를 세계 시장으로 수출하는 국제분업 구조를. 30 31 32. 진시원.홍익표. 2017. 『세계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학』.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p. 56. Robert, Gilpin 저.강문구 역. 1991.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학』. 부천: 인간사랑. pp. 81-84. Robert, Gilpin 저.강문구 역. 1991.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학』. 부천: 인간사랑. pp. 77-79.. 18.

(27) 형성하게 되었다. 홍색공급망이란 이러한 기존의 국제분업 구조에서 중국이 한국과 대만의 위상을 대체하고 새로운 국제분업 구조를 형성하려는 전략을 지칭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단기간 안에 이루어지지도 않을 것이며, 오히려 한국과 대만이 보다 상위 산업을 개척해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 예로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중국이 기존의 LCD 시장을 장악하자 한국과 대만은 신기술을 적용한 OLED로 중심축을 옮기는 등 시장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산업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전체적인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현 단계에서 한국과 대만의 시장점유율이. 政 治 大. 하락하더라도 당분간 수익은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한 산업의 기술. 立. 격차 축소와 평준화는 보편적인 현상으로, LCD 시장을 중국에 넘겨주더라도 신기술. ‧ 國. 學. 개발을 통해 새로운 시장과 수요를 창출한다면 궁극적으로 한국과 대만에 이득을 가져다 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한국, 대만, 중국 간의 경제적 상호의존 관계는. ‧. 정치적인 안정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상호 간의 적대적인 행위가 모두에게 불이익을 갈등을. 기피하려고. 노력할. 것이기. y. 의식해. 때문이다.. 주성환,. sit. 것을. Nat. 초래할. n. al. er. io. 강진권(2012)는 한국과 중국의 경제 관계 확대가 한국에 경제적 이익뿐 아니라 정치. v. 관계에서 평화적 유대 관계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 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33. Ch. engchi. i n U. 중국시보(中國時報)를 비롯한 대만의 주요 신문사들은 중국의 경제 성장이 대만의 경제 성장을 견인한다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2016년 대만의 정권 교체 당시 무력 충돌로 이어지지 않고 현상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양안 간의 긴밀한 경제 관계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종합해 보면, 홍색공급망을 통한 국가 간의 상호의존은 호혜적인 것이며, 이러한 협력 관계가 단절될 경우 상호 손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과 대만은 지속적으로 홍색공급망에 편입되어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주성환.강진권. 2012. “한중경제관계 확대의 정치적 효과.” 『한중사회과학연구』제 11 권 제 1 호. 서울: 한중사회과학학회. p. 22. 33. 19.

(28) 대체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고부가가치 영역을 개척해. 나아가야 한다. 이는. 경제적인 이득뿐 아니라 한국과 대만에 정치적인 안정과 평화라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이에. 더해. 중국은. 홍색공급망을. 통해.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탈피하고. 자본·기술집약적 산업으로 고도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노동집약적 산업을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이전하고 있다. 이는 자본, 기술 등을 저개발국으로 확산시켜 저개발국으로 하여금 산업 고도화와 경제 발전을 실현하고 더 나아가 공동 이익을 창출할 것이라는 자유주의적 주장을 입증하는 사례로 볼. 수 있다. 그에 반해. 중상주의의 관점에서 보면 홍색공급망은 긍정적인 측면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政 治 大. 한국과 대만의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적 의존을 그 사례로 들 수 있다. 앞서 서술한. 立. 자유주의의 견해와 같이 과거 중국이 한국과 대만의 경제 성장에 기여한 것은 부인할. ‧ 國. 學. 수 없으나 이들의 관계는 호혜적인 상호의존이 아닌 한국, 대만의 일방적인 대중국 의존으로 이어졌다. 2016년 중국의 10대 무역국 중 한국과 대만은 각각 6위(6.9%)와. ‧. 7위(4.9%)에 그친 반면 한국과 대만의 최대 무역국 모두 중국인 사실이 이러한. y. n. al. sit. 취약성(vulnerability)을. 증가시켰고. 정치적인. 문제로까지. er. 및. io. 민감성(sensitivity). Nat. 주장을 뒷받침한다. 또한 이러한 비대칭적인 상호의존은 한국과 대만의 중국에 대한. i n U. v. 비화되었다. 최근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대한국 보복 조치와 2016년 독립 성향의. Ch. engchi. 정부 출범에 의한 중국의 대대만 경제제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조윤기 외(2015)에 따르면 한국과 대만은 대중국 무역 확대에 따라 경제적 이익이 증가한 동시에 중국에 대한 국가 자치권의 민감성과 취약성이 확대되었다. 이는 중국이 한국과 대만의 대중국. 경제. 의존도를. 정치⋅외교적. 수단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34. 한편 홍색공급망은 기존 글로벌 가치사슬의 저부가가치를 담당하는 중류에 위치해 있던 중국이 고부가가치 부문인 상류 및 하류를 향해 도약하고 더 나아가. 34. 조윤기.김운겸.조은선. 2015. “대만⋅한국과 중국 및 주요국들 간 무역의 정치적 외부성 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제 13 권 제 3 호. 서울: 한중사회과학학회. p. 46.. 20.

(29) 한국과 대만의 위상을 대체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고 자국의 정치·경제에 유리한 분업 구조를 형성하려는 중상주의적 목표와 일치하다. 그 외, 중국의 홍색공급망 형성 과정은 전형적인 중상주의 모델을 따랐다고 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보조금 지원, 특정 산업 집중 육성, 수출 주도 성장 전략 등 강력한 산업정책을 통해 경제 성장 및 경쟁력을 제고하였고 이는 자국산 생산품으로 기존의 외국산 수입품을 대체하겠다는 홍색공급망 구축의 밑거름이 되었다. Atkinson, Cory and Ezell(2017)에 의하면 중국 정부는 국유기업, 지정 산업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의 중상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한 예로. 政 治 大. 1,600억 달러의 정부 펀드를 국유기업에 투자하고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立. 70%로 제고하겠다는 정책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중국 정부의 글로벌 기술 리더십. ‧ 國. 學. 확보를 위한 ‘혁신 중상주의’ 정책 강화는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등 경쟁 국가들의 희생을 초래하고 중국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로 이어졌다 35 . 이처럼 홍색공급망은. ‧. 한국, 대만과의 비대칭적인 상호의존 관계를 이용하여 자국에 종속되도록 하려는. sit. y. Nat. 중국의 의도가 포함되어 있다. 더 나아가 국제체제의 질서를 중국 중심으로 재편할. 협력. 또는. al. n. 반드시. 우호관계를. 수반하는. Ch. 것이. engchi. er. io. 패권국의 위상을 차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만희(2017)는 경제 관계 확대가. i n U. v. 아니며,. 오히려. 경제. 관계가. 비대칭적으로 확대될 경우 경제적 손실을 넘어 주권에 대한 위협으로 다가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더해 중국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려는 것은 대미 배타적 중화세력권 구축과 또는 조공관계의 부활일 것으로 전망하였다36. 중국의 홍색공급망이 확대된다면 향후 국제관계, 특히 동아시아 국가 간의 관계는 협력과 평화가 아닌. 35. Robert, D. Atkinson.Nigel, Cory.Stephen, J. Ezell. 2017. “Stopping China’s Mercantilism: A Doctrine of Constructive, Alliance-Backed Confrontation.” SSRN Electronic Journal. Washington, DC: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ITIF). pp. 15-16. 36. 이만희. 2017. “사드(THAAD) 분쟁의 본질과 해법.”. http://www.sejong.org/boad/bd_news/1/egofiledn.php?conf_seq=2&bd_seq=3700&file_seq=8386. pp. 19-20. (검색일: 2017. 06. 26).. 21.

(30) 갈등과 분쟁으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자유주의와 중상주의는 홍색공급망에 대해 상이한 견해를 제기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주장이 반드시 옳다고 할 수 없으며, 하나의 이론에 치중해서는 홍색공급망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 이론에서 주장하는 바를 적당히 절충해 홍색공급망에 접목하는 균형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3. 선행연구 검토. 3.1 한국의 관련 선행연구. 立. 政 治 大. ‧ 國. 學. 홍색공급망은 아직 한국에서 보편적이지 않은 용어이기 때문에 관련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 대신 홍색공급망을 구성하는 주요 개념인 중국의 산업고도화, 경제 구조. ‧. 변화, 글로벌 가치사슬 위상 변화 등과 관련된 연구들 참고하였다.. Nat. sit. y. 2012년 이후 한국의 대중국 수출 증가율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관련 연구들이. n. al. er. io. 등장하였다. 정환우(2011)는 중국에 대한 가공 단계별 수출입 구조를 분석했는데. i n U. v. 한국이 여전히 중국을 제3시장 재수출,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한 가공 및 현지. Ch. engchi. 생산기지로 활용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서 중간재의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만 역시 유사한 가공단계별 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서술하였다. 한편, 한국의 대중국 수출 확대를 위해 기업과 정부, 관계 기관들의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①최종재, 특히 소비재의 수출 확대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하고, ②일본과 대만의 수출 증가 품목을 벤치마킹하고, ③대중국 수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공무역 관련 정책 변화를 예의 주시하고 대비책을. 22.

(31)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7 . 이봉걸(2012)은 ①중국의 수출 부진이 중간재, 자본재 위주의 가공형 수출 구조를 가진 한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②대중국 투자 하락, ③한국 기업의 대중국 투자 감소 및 현지 매입 비중 증가, ④중국 시장에서의 한국 제품 경쟁력 약화 등이 한국의 대중국 수출 감소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현재의 가공무역 중심의 수출 구조 탈피, 서비스 무역의 새로운 수출 활로 모색, 한중 FTA 조기 체결 등을 제시하였다38. 한국의 대중국 수출 둔화뿐만 아니라 중국의 경제 구조 및 수입 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정지현 외(2015)는 한국의 대중국 수출. 政 治 大. 둔화의 원인은 한국의 주요 수출 분야가 중국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立. 축소되고 중국의 수입 수요가 증가하는 부분에서 대만, 일본과의 경쟁이 심화되었기. ‧ 國. 서술하였다.. 따라서. 한국은. ①내수용. 부품·부분품의. 學. 때문이라고.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야 하며, ②중국의 수입 수요가 급증하는 소비재 시장의 진출을 확대하고,. ‧. ③비교우위가 있는 분야의 고부가가치화 및 상품 차별화, ④수출 업종의 다변화를. sit. y. Nat. 추구해야 할 뿐 아니라 ⑤대만 및 일본과의 경쟁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n. al. er. io. 주장하였다 39 . 김성순(2016)에 따르면 중국은 성장 둔화와 함께 투자에서 소비 주도로,. i n U. v. 글로벌 가치사슬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제조업에서 서비스 중심으로 경제 구조의. Ch. engchi.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한국은 ①중국 정부의 내수 부양책 동향을 수출과 연계시킬 방안 모색, ②급성장하는 중국 소비 시장 확대와 해외 직구를 통한 수출 확대, ③한국이 우위를 지니고 있는 중국의 ‘제13차 5개년 규획’ 적극 활용, ④중국의 생산 구조 변화에 대한 선제적 조치 마련,. 정환우. 2011. “중국의 가공단계별 수출입구조로 본 중국 내수시장 변화와 시사점 .” Trade Focus Vol.10 No.23.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38 이봉걸. 2012. “대중국수출 감소원인과 전망 .” Trade Focus Vol.11 No.37. 서울: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39 정지현.김부용. 2015. “중국의 내수용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의 대응.” 연구자료 15-01.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37. 23.

(32) ⑤내수용, 서비스, 첨단산업 중심의 수출로 전환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 40 . 글로벌 가치사슬 관점에서 중국과 한국 간의 무역 관계를 분석한 연구도 찾아볼 수 있다. 홍성범 외(2011)는 금융위기 이후 ‘세계의 공장’이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가 한계에 봉착했다면서 중국이 기존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R&D 센터’로 역할을 전환하고 있다고 서술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은 신성장 산업의 기초 기술 개발 부문에 지원을 집중하는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민간기업들이. 기술. 개발에. 주력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만들고. 있다.. 천용찬. 대외개방정책과 대내적인 산업구조정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41. 한편,. 한국에서는. 드물게. 立. 政 治직접 大인용한. 홍색공급망을. 연구도. 외(2016)에 따르면 중국은 제조업 대국이라는 입지를 바탕으로 과거 가치사슬 내의. ‧ 國. 學. 부가가치가 낮은 생산 과정에서의 현재 디자인, 구매 등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중간재 수입 수요가 감소하고 자체 생산 능력이. ‧. 향상되었으며,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입지가 확대되었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sit. y. Nat. 방안으로 ①차별화된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마련, ②주요 산업 및 차세대 전략. n. al. er. io. 산업에 대한 산업 분야별 부가가치 향상 계획 수립, ③한·중 FTA, RCEP, TPP 등. v. 지역경제 통합 플랫폼을 이용한 역내 부가가치 창출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42.. Ch. engchi. i n U. 한편, 조윤기 외(2015)는 한국, 대만이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 간의 무역이 정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한국과 대만의 대중국 무역확대가 확대될 수록 ‘부’의 정치적 외부성이 커진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는데 이는 한국, 대만의 대중국 무역 확대가 경제적 이익과 함께 중국에 대한 국가 자치권의. 40. 김성순.최명식.김인지 . 2016.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책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홍성범.김기국.김석관.임상현.유철. 2011. “슈퍼차이나 부상과 글로벌 기술분업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전략(I) 동북아 국제분업구조를 중심으로-.” 정책연구 2011-08.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2 천용찬.한재진. 2016. “중국의 가치사슬 역할 변화와 시사점 - 중국 홍색공급망의 확산을 예의주시하자.” 경제주평 16-33. 서울: 현대경제연구원. 41. 24.

(33) 민감성 및 취약성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중국은 한국과 대만의 대중국 경제의존도를 정치 또는 외교적 수단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실제로 여러 사례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43. 그 외에 이원근(2015)은 최근 중국이 한국과 체결한 한중 FTA, 대만과 조인한 양안 ECFA를 정치경제학적 시각에서 비교하였다. 한중 FTA는 경제적인 측면보다 정치적 문제 해결을 위한 초석이며, 양안 ECFA는 중국의 대대만 정책 실현을 위한 포석이라고 서술하였다. 아울러 최근. 중국의 대외 무역협정 추진 행보를 통해. 경제적인 이익 추구보다 정치적인 우위 확보를 우선시하는 경향을 엿볼 수 있다고. 政 治 大. 주장하였다44.. 立. ‧. ‧ 國. 學. 3.2 대만의 관련 선행연구. 대만과 중국 간의 경제협력 관련 연구는 홍색공급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Nat. sit. y. 이전부터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다. 그 중 홍색공급망 관련 주요 연구에는 린젠푸. n. al. er. io. 외(林建甫 2016)가 있다. 대만은 중국 홍색공급망으로 인해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i n U. v. 위상이 추락하는 등 위협을 받고 있는데 특히 대만의 전자 부품 산업이 가장 큰. Ch. engchi. 타격을 받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LED 산업이 큰 영향을 타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한국은. 대만보다.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홍색공급망으로 인한 타격이 크지 않다. 아울러 ①대만은 제한적인 경제 자원으로 인해 각 산업이 균등하게 발전할 수 없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소프트웨어와 스마트. 산업을. 더욱. 발전시켜야. 하며,. ②무역의존도가. 높은. 조윤기.김운겸.조은선. 2015. “대만⋅한국과 중국 및 주요국들 간 무역의 정치적 외부성 분석.” 『한중사회과학연구』제 13 권 제 3 호. 서울: 한중사회과학학회. 44 이원근. 2015. “중국의 지역무역협정 체결의 정치경제학적 함의와 전망 -양안 ECFA 와 한중 FTA 를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3 집 4 호. 대구: 대한정치학회. 43. 25.

(34) 도서형경제체(海島型經濟體)인 대만은 기술 혁신과 브랜드 구축에 각별히 힘써야 하고, ③홍색공급망의 위협에 대해 일본과 같은 기술 선도 국가로 거급나 경쟁을 피하거나 싱가포르와 같이 홍색공급망의 일원이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면서, ④정부 차원에서 중소기업 지원에 적극 나서고, ⑤핵심 인재 유출에 대비할 수 있는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하였다45. 왕젠취안(王健全 2016)은 대만에서 보도되었던 홍색공급망 관련 기사를 정리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홍색공급망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견지한 이들은 중국이 대체 가능한 산업 또는 기술에 한계가 있고 단기간 내에 대만에 직접적인. 政 治 大. 영향을 주지 못하며, 향후 대만은 혁신 기술을 가지고 새로운 시장에 진출해 대체되지. 立.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부정적인 시각으로 홍색공급망을 해석한 이들은. ‧ 國. 學. 중국이 주도하는 국내 가치사슬인 홍색공급망으로 인해 대만 경제가 큰 타격을 입었고 특히 ‘중국제조 2025’ 전략은 중국에 진출한 대만상인(台商)들을 고립시켰을 뿐. ‧. 아니라 대만의 몇몇 산업을 대체해 버렸다고 우려를 표하였다. 따라서 대만 정부는. Nat. sit. n. al. er. io. 한다고 강조하였다46.. y. ‘생산력 4.0 프로젝트(生產力4.0計畫)’ 등 정책 지원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i n U. v. 쉬비수(許碧書 2015)는 중국의 ‘제12차 5개년 규획’을 기점으로 양안 간의 산업. Ch. engchi. 경쟁이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홍색공급망 현상으로 대만의 수출과 투자가 위축되고 있고 대만의 중국 시장 점유율이 낮아졌을 뿐 아니라 미국, 유럽 시장에서의 위상을 중국이 대체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13·5 규획’과 ‘중국제조 2025’의 내용을. 정리·분석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①‘생산력 4.0 프로젝트’, ②‘경제 체질 강화 대책(經濟體質強化措施)’, ③’혁신 대만 2020’ 등을 제시하였다47.. 45. 林建甫.陳華昇.譚瑾瑜.吳孟道.張博欽.唐豪駿 . 2016. “紅色供應鏈對台灣產業之影響評估.” 台灣證券交易所 105. 年度委託研究計畫. 台北: 臺灣證券交易所股份有限公司. 46 王健全. 2016. “面對紅色供應鏈的思維及因應策略.” 亞洲金融季報-2016 夏季號. 台北: 國立臺北大學亞洲研究中心. 47 許碧書. 2015. “紅色供應鏈對我國之警訊與因應對策.” 兩岸經濟統計月報 267 期. 台北: 行政院陸委會.. 26.

參考文獻

相關文件

國立政治大學應用數學系 林景隆 教授 國立成功大學數學系 許元春召集人.

長期以來白俄羅斯之政治、經濟文化深受主要貿易夥伴俄羅斯影 響。2017

從經濟危機對義國政府之影響來看,自2009年年底即潛伏的歐債

C7 國立台中護理專科學校護理科 台中市 主任 C8 中臺科技大學老人照顧系 台中市 助理教授 C9 中山醫學大學公共衛生學系 台中市 助理教授 C10

 In short term, we advise to select the green industry and to inventory the technology and knowledge which the green industry needs, and then stipulates regional

然而,由於美中貿易衝突未完全化解,中國大陸經濟成長 走緩,加上英國脫歐前景未明,影響全球投資信心,仍不利全 球經濟成長,多數經濟預測機構預估 2019

為此,國立中正大學防制藥物濫用教育中心與台灣藥物濫用防治研究學會,在教育部學生事 務及特殊教育司之支持下,將於 2019 年 10 月

你認為1760年代英國對北美洲殖民地 實施的經濟政策對當地人民生活帶來 甚麼負面影響?參考資料A,解釋你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