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沒有找到結果。

台灣人打工度假體驗研究─以韓國、日本經驗為中心 - 政大學術集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台灣人打工度假體驗研究─以韓國、日本經驗為中心 - 政大學術集成"

Copied!
90
0
0

加載中.... (立即查看全文)

全文

(1)國立政治大學韓國語文學系 碩士論文. 台灣人打工度假體驗研究 政 治 大 以韓國、日本經驗為中心. 立. ‧. ‧ 國. 學. 대만인 워킹홀리데이 체험 연구 - 한국, 일본 경험을 중심으로 -.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Un. v. 研 究 生:陳 柏 均撰 指導教授:謝 目 堂. 中華民國. 109. 年. 5. 月. DOI:10.6814/NCCU202000997.

(2) 致謝頁 大學畢業後沒多久,2014 年底因興趣開始學習韓文的決定,徹底影響我 20 歲後半的生活,2015 年底拿著符合報考門檻的韓檢成績單,決定報考政大韓文系 碩士班,謝謝當時面試我的郭秋雯老師、朴炳善老師、陳慶智老師,給我這個機 會,這是這趟旅程的開端。 2016 年入學後讀了三個學期,同學間彼此相處融洽,友善幫助,去政大上課. 政 治 大. 是我一邊工作每周最期待的事情,謝謝與我的同期同學們,一起有一段重回校園. 立. 的單純時光。也要感謝當時候工作上的上司孟慶宜經理,准許我在兼顧工作的情. ‧ 國. 學. 形下一邊從事正職工作一邊念書。2018 年,也就是第四第、五學期前往韓國成均. ‧. 館大學國文系交換,感謝室友姜尚允對我的各種照顧,希望你的稅務士之路早日. sit. y. Nat. 成真。感謝中國同學馮鈴、吳姝姝、江敏,我的修課好夥伴,一起熬過鄭熙昌老. n. al. 授,碩士學位論文至此正式得以開展。. Ch. engchi. er. io. 師每周一次的學術拷問。回台後非常感謝謝目堂老師一口答應擔任我的指導教. i Un. v. 2019 年再度前往成均館大學,這次是東亞系進行雙聯學位課程。感謝阿姨游 秀美資借留學經費,才有這段留學生活。雙聯學位需要雙指導教授,感謝鄭勝振 老師收我為指導學生,打磨我身為研究生的潛質,逼出我做研究的潛力,進而順 利完成論文。感謝行政室的許老師非常非常照顧我,從課務到論文都很替我操心, 在我低潮時也給我安慰。感謝朴利鎭老師循循善誘的對待我們,每周的東亞社會 系統課是我上學期最期待的時光,到我後來因為論文心情上非常苦惱時還不吝給 予我建議,實在是受益良多。感謝朴老師的弟子朴是彥,在那段時間也給我很多. DOI:10.6814/NCCU202000997.

(3) 的鼓勵,感謝助教袁勢陣,每每有行政上的事情都毫無保留地協助我,一起在研 究室奮鬥的日子點滴在心頭。感謝外婆在口試前幫我去求菩薩保佑,感謝我的室 友劉詩文,這一年一起生活很舒適開心,作業或論文也常常仰賴詩文幫我修改。 感謝在韓國生活時有見到面的台灣朋友趙言記、張瑋中、許益勝。感謝在韓國語 言交換聚會認識的 Bella 姐姐和 Ruby,你們讓我能在異鄉暢所故鄉的語言。 從入學前到屆臨畢業,感謝洪筱喬助教幫我處理了非常多學務上的事情。謝 謝政大和韓文系有這樣的資源能讓我出去交換及雙聯開開眼界。感謝母親對我想. 治 政 大 做什麼就做什麼的個性沒什麼反對,感謝我妹妹陳穎萱在台灣幫我處理很多我無 立 ‧ 國. 學. 法親力親為的事情,感謝薛鳳梅阿姨照顧我的家人。謝謝我的父親,在台北留下 一個可以遮風避雨的家,讓我省去居住成本而能去做我想做的事。感謝女友金允. ‧. 正這兩年韓國生活的照顧與陪伴。最後謝謝我自己,雖然平常看不見自己的背. y. Nat. er. io. sit. 影,但總有個想像的畫面,我揹著書包爬坡的背影在我腦裡,無論是爬政大的 坡,還是爬成均館的坡,櫻花、綠葉、楓紅、白雪,一步一步往上爬,總算把這. n. al. 條路給走完了。. Ch. engchi. i Un. v. DOI:10.6814/NCCU202000997.

(4) 목차 목차 ............................................................................................................................... i 표목차 ........................................................................................................................... ii 그림목차 ....................................................................................................................... ii 논문요약 ...................................................................................................................... iii 1.. 서 론...................................................................................................................... 1 1.1 문제제기 ............................................................................................................. 1 1.2 기존 연구의 검토 ............................................................................................... 5. 政 治 大. 1.3 연구과제 및 방법 ............................................................................................... 8 2. 워킹홀리데이의 특성과 현황..................................................................................13. 立. 2.1 워킹홀리데이의 특성 ........................................................................................13. ‧ 國. 學. 2.2 동북아시아에서의 워킹홀리데이 현황 ..............................................................15 3. 대만인의 워킹홀리데이 체험 현황 .........................................................................24. ‧. 3.1 대만인의 한국 체험 현황 .................................................................................28 3.2 대만인의 일본 체험 현황 .................................................................................44. Nat. sit. y. 4.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의 체험과 문화적응 ...........................................................56. io. er. 4.1 체험 ..................................................................................................................56 4.2 이주사회에서의 문화 적응 ...............................................................................61. n. al. Ch. i Un. v. 4.3 여가 생활의 이득 .............................................................................................65. engchi. 4.4 사례의 종합 ......................................................................................................68 5. 결론........................................................................................................................75 참 고 문 헌 ................................................................................................................78. i DOI:10.6814/NCCU202000997.

(5) 표목차 1 - 호주와 대만 최저 시급 대비 .................................................................................................... 2 2 - 2016년 동아시아 주요 국가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용 인수 ............................................... 3 3 - 대만과 한국 일본 최저 시급 대비 ........................................................................................... 4 4 - 2013-2018 일본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통계 ............................................................... 16 5 - 2012-2017 한국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통계 ............................................................... 17 6 - 2019년도 동아시아 주요 국가 워킹홀리데이 모집인원 ....................................................... 17 7 -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신청에 관한 정보 .................................................................. 19 8 - 한국의 대만인 체류 상황 ....................................................................................................... 20 9 - 일본의 대만인 체류 상황 ....................................................................................................... 20 10 - 한국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성별 구성 ............................................................................. 22 11 - 인터뷰 가이드........................................................................................................................ 24 12 - 워킹홀리데이 각 단계와 체험 유형..................................................................................... 26 13 - 연구 참여자 – 한국 워킹홀리데이 경험자.......................................................................... 28 14 - 한국 사례 - 연구참여자의 동기와 기대 .............................................................................. 28 15 - 체류 상황 (한국 사례) .......................................................................................................... 31 16 - 근무 체험1 (한국 사례) ......................................................................................................... 31 17 - 근무 체험2 (한국 사례) ......................................................................................................... 34 18 - 언어 사용 체험 (한국 사례) ................................................................................................. 35 19 - 여가 생활과 여행 (한국 사례) ............................................................................................. 37 20 - 인간 관계 (한국 사례) .......................................................................................................... 37 21 - 문화 충격 (한국 사례) .......................................................................................................... 40 22 - 경제 상황 (한국 사례) .......................................................................................................... 41 23 - 자신에 대한 영향 (한국 사례) ............................................................................................. 42 24 - 연구참여자 – 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자 ........................................................................... 44 25 - 연구 참여자의 동기와 기대 (일본 사례) ............................................................................. 45 26 - 체류 상황 (일본 사례) .......................................................................................................... 46 27 - 근무 체험1 (일본 사례) ......................................................................................................... 48 28 - 근무 체험2 (일본 사례) ......................................................................................................... 49 29 - 언어 사용 체험 (일본 사례) ................................................................................................. 51 30 - 여가 생활과 여행 (일본 사례) ............................................................................................. 51 31 - 인간 관계 (일본 사례) .......................................................................................................... 51 32 - 문화 충격 (일본 사례) .......................................................................................................... 52 33 - 경제 상황 (일본 사례) .......................................................................................................... 53 34 - 자신에 대한 영향 (일본 사례) ............................................................................................. 54 35 - 이주자의 문화적응 유형 ....................................................................................................... 64 36 - VERDUIN AND MCEWE(1984)에서의 여가 생활 이득 ........................................................... 66 37 - 본 연구의 사례 종합 ............................................................................................................. 68. 立. 政 治 大. ‧. ‧ 國. 學. n. al. er. io. sit. y. Nat.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Ch. engchi. i Un. v. 그림목차 그림 1 - 현상학적 연구...................................................................................................................... 10 그림 2 - 연구 설계 ............................................................................................................................. 11. ii DOI:10.6814/NCCU202000997.

(6) 논문요약. 대만인 워킹홀리데이 체험 연구 - 한국, 일본 경험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토대로한국과. 政 治 大 대만인이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일본에서. 워킹홀리데이가 갖는 실질적 의미와 특징을 도출해 보는 연구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立. 위해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워킹홀리데이 장소로. ‧ 國. 學. 선택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에서의 경험을 개별적 사례를 조사하여 각각의 체험, 문화 적응, 여가생활의 이득 등 측면으로 분석해 볼 것이다.. ‧.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 워킹홀리데이 양상은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취지에 부합한다. 호주. sit. y. Nat. 워킹홀리데이와 달리, 문화와 생활을 체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한국의 사례와. er. io. 일본의 사례는 모두 해당 국가의 언어를 구사하는 실력이 늘었고, 해당 국가의 문화를. al. n. iv n C h e늘었던 후, 이러한 경험이나 워킹홀리데이를 통해 h i U실력 덕분에 새 직장을 구하게 된 n g c외국어 직접적으로 체험하면서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상승되었다. 워킹홀리데이를 마친. 연구 참여자들도 양 사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한국 워킹홀리데이를 통해서는 한국 사회,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고 한국의 어떠한 문화 차이나 한국인의 가치관을 더 이해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한국에 다시 갈 생각이나 계획이 있는 연구 참여자들도 있다. 일본의 사례의 경우에는 1 년 간의 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통해 원래 가지고 있었던 ‘예의가 있는 사회’라는 인상이 ‘표면적인 예의’라는 인식으로 바뀐 경우도 있고, ‘다시는 일본에서 일하고 싶지 않다’,. iii DOI:10.6814/NCCU202000997.

(7) ‘일본은 여행으로 가기에는 좋은 곳인데 취직하러 가기에는 좋은 곳이 아니다’라는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혹은 일본에서 워킹홀리데이를 수행하는 대만인들의 네 가지 특징을 본 연구를 통해 알아낼 수 있었다. 첫째, ‘문화 체험’을 가장 중요시한다는 것. 둘째, 근무 시간이 상당히 긴 시간을 차지한다는 것. 셋째, 현지인과 인간관계를 맺기 어렵다는 것. 넷째, 문화 적응력이 낮지 않다는 것들이다.. 立. 政 治 大. ‧. ‧ 國. 學. 주제어 : 워킹홀리데이, 체험 , 문화 충격, 문화 적응 , 여가 생활 이득.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Un. v. iv DOI:10.6814/NCCU202000997.

(8) ABSTRACT. Taiwanese Working Holidays Experiences in Korea and Japan Chen Bo Ju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actic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working holiday system in East Asia based on Taiwanese working experience of Korea and Japan. In order to. 政 治 大. achieve this goal, the specific research method is used to examine individual cases of experiences. 立. in Korea and Japan, which Taiwanese choose as a working holiday place in East Asia, and to. ‧ 國. 學. analyze them in terms of their experiences, adoption of the culture and benefits of leisure life. The Taiwanese do not abuse Korean and Japanese working holiday patterns of working. ‧. holiday system, and fulfill the intent of the system. Unlike in the cases of traditional overseas. sit. y. Nat. labor migrations and Australian Working Holidays, experiencing culture and life is the most. er. io. important purpose. In the case of Korean and Japanese working holiday programs, participants. al. iv n C country's culture has improved by directh experience. i Ucases, participants who have found e n g cInhboth n. have increased their ability to speak the language of the country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new jobs after working holidays have gained the new job because of these experiences and skills they have gained through working holiday. The Korean Working Holidays helped to understand better Korean society and Korean culture. Moreover, it had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Korean values. Therefore, some research participants have plans to come back to Korea. In some cases, through a year of working holiday in Japan, the impression of “polite society” has been changed to. v DOI:10.6814/NCCU202000997.

(9) the impression of “superficially polite society”. In these cases, Japan has a negative impression of being a good place to travel, but not a good place to get a job. In this study, there were identified four characteristics of Taiwanese who participate in working holiday program in Korea or Japan. First one, Taiwanese regard 'experience' as the most important thing. Second, they work fairly long hours. Third,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stablish human relations with local people. Fourth, Taiwanese working holiday participants have sufficient cultural adaptability.. 政 治 大. Key words: Working holiday, Experience, Culture Shock, Leisure Benefits. 立.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Un. v. vi DOI:10.6814/NCCU202000997.

(10) 論文摘要. 本論文旨在探討台灣人的韓國、日本打工度假中所獲得之體驗,並將兩種經驗進行 比較分析研究。本研究採取質性研究中的現象學研究法,收集有韓國或日本打工度假經 驗個案的個人經驗,從中歸納出韓國、日本各自打工度假的特性,並以體驗、文化適 應、休閒效益等面向,試圖描繪出台灣人在東北亞打工度假的景況。 台灣人在東北亞國家,即韓國、日本的打工度假,比起澳洲打工度假,是較符合打 工度假原先鼓勵青年交流以及文化體驗的立意,其中文化體驗、生活體驗是打工度假參 與者相當重視的一環。在本研究的事例中,無論是前往韓國或日本的打工度假參與者,. 政 治 大 的理解度。在結束打工度假後返國後,這些在當地生活的經驗以及提升的語言能力,對 立 該國語言能力都有相當的提升,對該國的文化有直接體驗的經驗,進而提升對該國文化. 於其求職或升學有一定程度上的幫助。. ‧ 國. 學. 透過韓國打工度假,打工度假參與者對韓國的社會與文化、韓國人的價值觀建立起 某種程度的認識,也有因而打算用其他方式再次前往韓國的打工度假參與者。日本的事. ‧. 例中,打工度假參與者大多數都對日本懷有良好印象,然而在一年體驗過後,多數參與. sit. y. Nat. 者表示感受到這是「表面的禮儀」,甚至其中有些打工度假參與者表示,有了這樣的經. io. er. 驗後,使其興起不想再去日本工作的想法。. 台灣人在韓國及日本,這兩個東北亞國家的打工度假體驗中,可以歸納出幾個特. n. al. Ch. i Un. v. 徵,前往兩國的打工度假參與者,對於文化差異、文化衝擊的適應力並不低,且相當重. engchi. 視過程中的文化體驗與生活經驗。工作所佔據的時間在整體打工度期間偏長。而無論是 韓國還是日本的事例,與當地人都較難建立起友誼關係。. 關鍵字:打工度假、體驗、文化衝擊、文化適應、休閒效益. vii DOI:10.6814/NCCU202000997.

(11) 1. 서 론. 1.1 문제제기 이. 논문은.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에서의.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토대로. 한국,. 일본. 워킹홀리데이 제도가 갖는 실질적 의미와 특징을 도출해 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대만인이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워킹홀리데이 장소로 선택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에서의 경험을 개별적 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해 볼 것이다. 특히 워킹홀리데이의. 政 治 大. 실질적인 근무 상황 등을 조사한 자료를 통해 워킹홀리데이의 본래 취지와 성격이 잘. 立. 구현되고 있는지, 워킹홀리데이 수행자가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 획득한 체험이 어떠한. ‧ 國. 學. 의미로 작용하는지 워킹홀리데이를 마친 이후의 개인적인 영향 관계까지를 염두에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이 어떠한 유사점과. ‧. 차이점이 있는지 설펴보고 그 현대적 특징을 고찰해 보는데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n. al. 여행기회를 주는 것이 주요 목적이며. er. io. 맺어 보통 18-30 세의 젊은이들에게 상대국으로의. sit. y. Nat. ‘워킹-홀리데이(working-holiday)’제도는 전통적인 해외 노동이주와 달리, 국가 간 협정을. i Un. v. 여행비용을 마련하기 위한 취업활동을 허가함으로써, 취업 기회와 법적 자격을 주는. Ch. engchi. 기회이다. 개인적인 측면을 보면, 해외 경험을 쌓거나, 외국어 실력을 늘리기 위한 동기가 있고, 국가적인 측면을 보면 전통적인 노동이주를 유발했던 원인인 노동력 부족에 대한 해결책이면서 현지 관광 산업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주요 목적은 ‘여행’이며, 합법적 취업 자격은 여행을 달성하기 위해 부여된다. 워킹홀리데이 제도를 여행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남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신문 기사나 인터넷 블로그에 호주 워킹홀리데이 경험자의 글을 보면, 여행·문화 체험과 관련된 내용도 있지만, ‘호주 워킹홀리데이 과정을 통해 돈을 얼마나 많이 벌었다.’,. 1 DOI:10.6814/NCCU202000997.

(12) ‘호주 워킹홀리데이 돈을 버는 전략’ 등 임금을 강조한 글들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강조하는 원인이 다름이 아니라 ‘임금격차’ 때문이다. 대만과 호주의 법정 최저 시급은 장기적으로 2.6 배에서 3 배의 차이가 있어 1 년 동안 호주에서 저기능, 저숙련도의 근무를 해도 대만에서 정규직의 수입에 비해 더욱 많은 임금을 벌 수 있다. 그리고 호주 워킹홀리데이 2 차 비자를 신청하는 기회가 있기 때문에 특정한 근무 시간과 조건을 달성하여 호주에서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다시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호주 워킹홀리데이의 연구를 통해 대만인의 호주 워킹홀리데이 체험을 다소 살펴볼 수 있는데 편벽한 시골에 위치한 고기공장이나 농장에서 밤낮 없이 일만 하고 있는 경험도 허구. 政 治 大. 이야기가 아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워킹홀리데이’제도의 취지와 맞지 않는 것이다.. 立. 표 1 - 호주와 대만 최저 시급 대비1 19.49 AUD. 15576 KRW. 158 NTD. 6004 KRW. 2.59. 2018. 18.93 AUD. 15128 KRW. 150 NTD. 5700 KRW. 2.65. 2017. 18.29 AUD. 14617 KRW. 140 NTD. 5320 KRW. 2.75. 2016. 17.70 AUD. 14145 KRW. 133 NTD. 5054 KRW. 2.80. 2015. 17.29 AUD. 13817 KRW. 120 NTD. 4560 KRW. 3.03. 2014. 16.87 AUD. 13482 KRW. 120 NTD. 4560 KRW. 2.96. 2013. 16.37 AUD. 13082 KRW. 115 NTD. 4370 KRW. 2.99. 2012. 15.96 AUD. 12754 KRW. 109 NTD. 4142 KRW. 3.08. 2011. 15.51 AUD. 12395 KRW. 103 NTD. 2010. 15.00 AUD. io. y. sit. Nat. 3914 KRW. al v KRW 11987 KRW 98 NTD i 3724 n Ch engchi U. n. 발전을. er. ‧ 國. 2019. 워킹홀리데이의. 대만 법정 최저 시급. ‧. 호주 법정 최저 시급. 學. 차이 (배수). 연도. 보면. 워킹홀리데이 수용국으로 등장했다. 1975 2. 년에. 호주는. 영국과의. 3.17 3.22. 협정을. 맺어. 최초의. (増田正勝, 2011, p.2). 동북아시아에서는 2000 년대부터. 점차 워킹홀리데이 제도를 도입했다. 동북아시아 각 국가의 워킹홀리데이 통계 자료를 보면, 호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는 사람의 수가 가장 많을 뿐만 아니라, 호주 워킹홀리데이의. 1. 참고: Fair Work Commission : Australia's national workplace relations tribunal (https://www.fwc.gov.au/ ) 2 増田正勝, 2012. オーストラリアの労働事情とワーキンク◌ ゙・ホリテ◌ ゙ー制度. 広島経済大学経済研究論集. 33(4), 1-19.. 2 DOI:10.6814/NCCU202000997.

(13) 모집인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 따라서 워킹홀리데이에 관한 연구에서 호주 워킹홀리데이의 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한편, 시간이 조금 늦었지만 동북아시아 각 국가간의 워킹홀리데이 활동도 대두되었다. 모집인원이 호주 워킹홀리데이에 비해 그렇게 많지 않더라도 2019 년에는 한국과 일본 상호 간에 10,000 명, 일본과 대만도 매년 10,000 명, 한국과 대만은 매년 800 명까지 지원할 수 있다. 즉, 호주에 비해 그렇게 많지 않지만, 동북아시아 내부의 워킹홀리데이도 어느 정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표 2 - 2016년 동북아시아 주요 국가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용 인수3 일본. 한국 13,958. 총 인수. 총 인수. 4,977. 35.6%. 한국. 3,818. 27.3%. 호주. 1,118. 8.0%. 대만. 立. 일본. 政 治 大. 프랑스. 1,089. 총 인수. 421. 27.0%. 한국. 589. 54.0%. 387. 24.8%. 일본. 320. 29.0%. 230. 14.0%. 캐나다. 71. 6.0%. 學. ‧ 國. 대만. 대만 1,557. 2016 년 일본 외무성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총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는 13,957 명이며,. ‧. 그 가운데 대만인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4,977 명으로 35.6%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인. y. Nat.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3,818 명으로 27%를 차지했으며, 호주 사람이 1,118 명으로 8%를. er. io. sit. 차지했다. 같은 해의 한국은, 국가통계포털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관광취업 비자를 통한 입국자는 총 1,557 명 가운데 대만인 421 명, 27%, 일본인 387 명, 24.8%, 프랑스인 230 명으로,. n. al. Ch. i Un. v. 14%로 나타났다. 대만 외교부의 통계 자료를 보면 총 1089 명 가운데, 한국인이 589 명으로. engchi. 54%, 일본인이 320 명인 29%, 캐나다 사람이 71 명으로 6%인걸로 나타났다. 대만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이 목적지를 선택할 때 호주를 선택한 사람들이 가장 많지만, 2009 년에는 일본을, 2011 년에는 한국과의 워킹홀리데이 협정이 맺어진 후에 한국과 일본을 선택한 대만인들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성장한 추세와, 한국·일본에서의 대만인. 3. 참고: 한국: 국가통계포털(KOSIS) (https://kosis.kr/index/index.do) 일본: 政府統計の総合窓口(e-Stat)(https://www.e-stat.go.jp/) 대만: 외교부(https://www.mofa.gov.tw) , 中時電子報 (https://www.chinatimes.com ). 3 DOI:10.6814/NCCU202000997.

(14)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다른 나라에서 온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에 비해 상당히 많은 점을 알 수 있다. 표 3 - 대만과 한국 일본 최저 시급 대비4 연도. 대만 법정. 한국 법정 최. 최저 시급. 저 시급. 차이 (배수). 일본 법정 최저. 차이(배수). 시급 (도쿄). 2019. 158. 6004. 8350. 1.39. 1013. 10839. 1.81. 2018. 150. 5700. 7530. 1.32. 985. 10540. 1.85. 2017. 140. 5320. 6470. 1.22. 958. 10251. 1.93. 2016. 133. 5054. 6030. 1.19. 932. 9972. 1.97. 2015. 120. 4560. 5580. 1.22. 907. 9705. 2.13. 2014. 120. 4560. 5210. 1.14. 888. 9502. 2.08. 2013. 115. 4370. 4860. 1.11. 869. 9298. 2.13. 2012. 109. 4142. 4580. 2011. 103. 3914. 4320. 立. 98. 3724. 단위. TWD. KRW. 4110. 1.11. 850. 9095. 2.20. 1.10. 837. 8956. 2.29. 821. 8785. 2.36. YEN. KRW. 1.10. KRW. 學. ‧ 國. 2010. 政 治 大. 그렇다면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 호주 워킹홀리데이와 같이 워킹홀리데이. ‧. 제도를 오남용하는 경우가 있는가? 대만은 한국 혹은 일본과 비교해도. 임금격차 문제가. sit. y. Nat. 존재하는데, 한국과는 1.1~1.4 배, 일본과는 1.8 배의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o. al. er. 호주와의 임금 격차(2.6~3.2 배)에 비하면 그렇게 차이가 크지는 않으며 대만에서 영어는. n. 제 1 외국어로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배워왔던 외국어이기 때문에 호주 워킹홀리데이를 떠났을 때 언어에 투자해야 하는. iv n C 비용이 U h e한국과 h i 워킹홀리데이보다 n g c일본. 상대적으로 낮다.. 즉 임금 격차로 인해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려는 사람들은 호주 워킹홀리데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반면, 한국과 일본 워킹홀리데이를 선택한 사람들은 임금이 가장 우선적인 원인이 아니라고. 4.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만인의.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통해. 참고: 한국 – 고용노동부 사이트 http://www.moel.go.kr/index.do 일본 - 厚生勞動省 사이트 https://www.mhlw.go.jp/stf/seisakunitsuite/bunya/koyou_roudou/roudoukijun/minimumichiran/. 4 DOI:10.6814/NCCU202000997.

(15) 워킹홀리데이 제도가 동북아시아에서 수용되는 양상, 그리고 호주 워킹홀리데이와의 차이를 비교하며 대만인의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1.2 기존 연구의 검토 阮靖權(2015)의 연구. 5. 에서는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의 정체성이 여행자로서 부각되는지. 아니면 노동자로서 나타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근무시간이 매우 길더라도 자신이 노동자인 것을 부인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遲恒昌, 林韋佑(2017) 에서 6는 대만인의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통해 워킹홀리데이의 본질이 ‘워킹(working)’인지,. 政 治 大. ‘홀리데이(hoiliday)’인지 탐색했다. 결과적으로 호주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는 대만인들. 立. 사이에서 그 목적이 ‘여행’에 있는 경우보다 ‘높은 임금’을 벌기 위한 비율이 더 높은. ‧ 國. 學. 것로 나타난다고 한다. 이상 연구들은 상호간에 모순이 있어보이지만 동일한 경험을 갖고. ‧. 있지 않은 두 가지 대표적인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집단을 각각 분석했다. 한국과 일본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는 대만인에 관한 연구에서는 아직 자신의 신분, 즉 노동자인지. y. Nat. 10 명 한국 워킹홀리데이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국 워킹홀리데이. n. al. er. 7. io. 허상청(2019)에서는. sit. 여행자인지에 대한 연구가 없다.. Ch. i Un. v. 경험과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조사했다. 절반 정도의 경험자들이 게스트하우스에서. engchi. 일했던 경험이 있으며, 식당과 화장품 전문점은 2, 3 순위로 나타났다. 한류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생겨 한국 워킹홀리데이를 신청하게 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큰 비율로 나타났으며, 한국어 능력에 따라 워킹홀리데이 경험에 큰 차이가 있다. 한국어 능력이 부족해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경우, 게스트하우스에서밖에 근무할 수 없었던. 5. 6. 7. 阮靖權, 2015.「壯遊」的建構、挑戰與現實─以台灣赴澳打工旅遊青年為例. 國立政治大學, 碩士學位論文. Heng-Chang Chi, Wei-Yu Lin, 2017. Young Taiwanese Working Overseas as Working Holidaymakers in Australia.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 84, 31-53. 허상청, 2019. 대만인들의 한국 워킹 홀리데이 경험과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DOI:10.6814/NCCU202000997.

(16)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많다. 즉 한국어 능력이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닌 이상, 한국 문화를 체험하기 어렵고, 제한도 많다. 한국 드라마, 예능 프로그렘을 통해 알게 된 한국 문화는 실제 워킹홀리데이 경험과 같은 부분이 있지만, 그와 동일하지 않은 부분도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한국 워킹홀리데이를 하는 동기와 한국에서의 근무 상황,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조사를 했지만, 워킹홀리데이 과정과 귀국 이후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실질적인 ‘심리적 영향’,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에 대한 ‘정체성’의 인식을 언급하지는 않는다. 張珮萱(2011) 8 에서는 대만인의 일본 워킹홀리데이의 근무 유형과 그것의 문화체험에 대해. 政 治 大. 연구했다. 연구참여자들이 다녔던 직장은 호텔, 식당 등 서비스직이 가장 많은 것으로. 立. 나타났다. 일하는 장소에 따라 워킹홀리데이 체험도 상당히 다르다. 즉, 손님을 직접. ‧ 國. 學. 상대하지 않아도 되는 일자리에서는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지 않아 좌절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없는 반면, 손님을 직접 상대해야 하는 사람들은 어려움을 겪었던 경우가 종종 있다.. ‧.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어 능력 또한 힘든 만큼 상승했다는 결과가 있다. 이 연구는. Nat. sit. y. 일본 워킹홀리데이의 근무 체험을 제시했지만 워킹홀리데이 동기,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n. al. er. io. 정체성 등의 내용은 다루고 있지 않다.. i Un. v. 이때까지 살펴보았던 연구 가운데 그 동기와 근무 상황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졌지만,. Ch. engchi.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정체성과 이주지에서의 다양한 체험과 더불어 워킹홀리데이 이후 자기자신에 대한 심리적·실질적 영향을 고찰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상의 선행 연구를 종합해 보면 우선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연구는 주로 그 동기와 근무 유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실태를 그 취지와 현장성을 비교해 가며 적절히. 운영되고. 있는지에 관해 살펴본. 연구는. 없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과 전통적인 국제 노동이주자의 차이점, 그리고 그들이 워킹홀리데이. 8. 張珮萱, 2011. 赴日打工度假工作參與型態對文化體驗的影響之研究. 國立臺灣師範大學運動與休閒管理研究所, 碩士學位論文.. 6 DOI:10.6814/NCCU202000997.

(17) 과정을 마치고 모국으로 귀국한 후에 워킹홀리데이 경험이 미친 실질적이고도 심리적인 영향 등에 관한 탐구도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때까지 선행연구들을 보완 및. 보충하여. 한국과. 일본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난. 대만인들의. 현장에서의. 체험을. 비교해가며 분석하고, 이들이 대만으로 귀국한 이후 나타나는 심리적, 실질적 변화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立. 政 治 大.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Un. v. 7 DOI:10.6814/NCCU202000997.

(18) 1.3 연구과제 및 방법. 1) 연구과제 본 연구는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에서의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생활 양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만인들이 한국·일본에서 워킹홀리데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얻은 근무 체험, 언어 사용 체험, 사교적 체험이 어떤가? 워킹홀리데이는 크게 '워킹'과 '홀리데이'를 나눌 수 있어 시간 상 대등적인 존재라고. 治 政 같이 보이지만, 근무하는 것은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 큰大 비중을 차지한 부분이다. 또한, 立 근무할 때 현지 언어를 사용하는 확률이 가장 높은 기간이며, 현지인과의 사교적 행동이. ‧ 國. 學. 가장 쉽게 발생될 수 있는 기간이기 때문에 이 세 가지 체험을 동시에 고찰하면. ‧.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체험을 이해할 때는 유익하다. 본 연구에서는 근무 체험, 언어 사용 체험, 사교적 체험 등의 세 가지 체험을 집중적으로 고찰하겠다.. y. Nat. n. al. er. io. 경험했고 어떻게 적응했는가?. sit. 둘째, 대만인들이 한국·일본에서 워킹홀리데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문화충격을. Ch. i Un. v.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이 모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에서 긴 기간 동안 생활하는 것이. engchi. 자신이 이숙한 문화와 다른 생활 방식을 능동적으로 습득하거나 수동적으로 적응하는데도 어려움을 많이 겪었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도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의 문화 충격과 적응을 살펴볼 것이다. 셋째, 워킹홀리데이를 통하여 체험을 하며 얻은 '여가 생활 이득'이 어떤 걸까?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 노동을 통해 금전적인 수익뿐만 아니라 근무시간이나 근무시간 이외에 부가적인 이득이 있다. 즉,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 자신의 외국어 능력이나 생각 방식, 가치관 등에 회계적인 이득이 아닌 여가 생활 이득을 고찰한다.. 8 DOI:10.6814/NCCU202000997.

(19) 2) 연구 방법 개별적인 사례를 통해 대만인의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의 유형적·무형적 생활 체험 양상을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이러한 묵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취급하여. 대만인의. 연구참여자들이. 실제.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해본. 경험에. 워킹홀리데이의. 생활. 접근하도록 양상과. 한다.. 시간. 다시. 요소를. 말하면 고려하고. 워킹홀리데이 후 자신에 대한 영향까지 고찰하여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 워킹홀리데이 체험을. 통해. 호주. 워킹홀리데이. 양상과. 다른.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현황을. 묘사하도록 한다. 질적 연구 방법도 여러 가지 하위 방법이 있는데 워킹홀리데이 사례를. 政 治 大. 통해 진행하는 연구로써 개인의 체험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택하는. 立. 것이 유익하다.. ‧ 國. 學.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 9 는 하나의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체험이 갖는 공통적인 의미를 기술하는 연구방법이다. 즉, 모든 연구참여자들이 현상을 공통적으로. 갖게. 된. 경험을. 기술하는. ‧. 경험하면서. 초점을. 둔다. Nat. y. 데. io. sit.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2015, p.102). 현상학에 가장 적합한 문제의 유형은, 한 가지. n. al. er. 현상에 대한 여러 개인들의 공통된 또는 공유된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다.. Ch. i Un. v. 현상의 특성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이러한 공통적인 경험들을 이해하는 것이. engchi. 중요할 수 있다(조흥식 등, 2015, p.107).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대만인의.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각각의. 연구참여자들로부터. 수집하여,.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해본 것을 분석·비교·귀납하여 대만인의 한국, 일본 워킹홀리데이의 본질에 접근하도록 한다. 절적 연구를 수행할 때에는, 연구자가 전제한 철학적 가정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연구에서는 인식론적 가정을 취급한다. 인식론적 가정에서 주목할 것은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와 최대한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며, 연구참여자의 주관적. 9. 출처: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옮김),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저자: John W. Creswell) 서울: 학지사.. 9 DOI:10.6814/NCCU202000997.

(20) 생각과 개인적 관점을 기반으로 자료가 수집되고 연구가 진행되는 것이다. 즉 연구자들은 그 자신과 참여자들 간의 거리 혹은 객관적인 분리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조흥식 등, 2015, p.39). 그림 1 - 현상학적 연구10. 立. ‧ 國.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양적. 연구에서는 가설을. ‧. 면접은. 學. 심층. 政 治 大. 검증하고. 인과관계를 찾아 통칙을 확립하는 것을 강조하지만, 이 방법은 실제 연구에서 사실의. y. Nat. io. sit. 본질을 밝히는 방법이다. 심층 면접을 수행할 때에는 비무작위적이고 대표성이 있는. n. al. er. 소집단을 연구하도록 한다. 긴 시간 동안 인터뷰를 하면서 연구참여자가 보인 언어, 표정,. Ch. i Un. v. 억양 등의 반응을 관찰하는 것은 자료 수집에 유용하다. 비구조화 면접은 수다를 떠는. engchi. 형식으로 하는 반면, 반구조화 면접은 인터뷰 가이드를 준비하여 특정한 주제에 관한 일관적 질문을 통해 연구참여자의 의견, 견해, 경험을 수집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반구조화 면접을 취급하여 자료를 수집하도록 한다(김두섭, 2010). 대만인의 한국 일본 워킹홀리데이 체험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워킹홀리데이를 하기 전에 참여자들이 자신이 갖고 있던 능력과 전망, 워킹홀리데이 하는 중에 경험한 여러 가지 유형적 무형적 체험, 워킹홀리데이 이후 자신에 대한 영향 등의 3 가지 단계를 각각. 10. 그림1은 필자의 것임. 10 DOI:10.6814/NCCU202000997.

(21) 조사하고자 하며 대만인의 한국 일본 워킹홀리데이 체험을 대조하는 동시에 전통적 호주 워킹홀리데이와 다른 워킹홀리데이 양상을 묘사하도록 한다. 그림 2 - 연구 설계. 政 治 大. 立. ‧ 國. 學. 연구참여자들의 워킹홀리데이 체험의 각 측면을 알기 위해 인터뷰 가이드를 작성했다.. ‧. 워킹홀리데이 과정을 시기에 따라 세 단계로 나누어 각 시기의 유형적 무형적 체험을. y. Nat. sit. 고찰하도록 한다. 1 단계는 워킹홀리데이를 떠나기 전의 준비 단계에서, 지원한 동기, 그. n. al. er. io. 당시에 워킹홀리데이에 대한 기대와 전망, 외국어 능력의 수준을 질문하도록 한다. 2 단계는. i Un. v. 워킹홀리데이 수행 중의 단계이며,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여러 가지 유형적·무형적 체험,. Ch. engchi. 즉 직장, 일상 생활, 여가 시간, 여행, 인간 관계, 언어 학습 등의 측면을 주목한다. 3 단계는 워킹홀리데이. 비자. 기간이. 종료된. 후의. 상황이.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에게. 어떠한. 실질적·심리적 영향을 주었는지, 귀국 후 원래 사회에 어떻게 재적응하였는지를 조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워킹홀리데이 경험자 5 명, 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자 5 명, 총 10 명의 대만인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자 자신의 인간 관계 넷웍 유의. 11 DOI:10.6814/NCCU202000997.

(22) 추출. 11. (purposive sampling)과 눈덩이표집. 12. (snowball sampling) 방식으로 본 연구에 맞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했다.. 立. 政 治 大.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Un. v. 11. 즉 유의적 표집이다. 추출자가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전형적인 표본이라고 판단하여 연구 대상 을 선정하는 것이다. 12 초음에는 소규모의 연구 참여자로 시작하여 다음에는 이 연구 참여자의 소개를 통해 다른 비슷한 속성을 가진 연구 참여자를 찾는 방법이다.. 12 DOI:10.6814/NCCU202000997.

(23) 2. 워킹홀리데이의 특성과 현황 2.1 워킹홀리데이의 특성 워킹홀리데이의 개념은 젊은이가 근무하며 여행하는 형식이다. 국가 간에 협정을 통해 젊은이들로 하여금 방문국에서 일반적으로 1 년간 자유롭게 취업할 수 있도록 특별히 허가해 주는 제도이다. 다시 말하면 여행을 주된 목적으로 하되 여행비를 마련하기 위한 취업. 활동을. 허가하는. 제도이다.. 이를. 위해. 발급하는. 비자를. ‘관광취업비자’,. ‘워킹홀리데이비자’라고 한다. 보통의 관광 비자로는 방문국에서 취업할 수 없는 것이. 政 治 大. 일반적이지만,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주로 만 18 세에서 30 세까지의 젊은이를 대상으로 각. 立. 해당 국에 한해, 보통 1 회만 발급하며, 실제 체류기간은 1 년이다. 이 제도는 젊은이들이나. ‧ 國. 學. 학생들에게 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국가간의 상호적인 이해를 높이고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별히 제정된 제도이다.. ‧.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기원은 1975 년에 호주와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등 국가 사이의. Nat. sit. y. 협정을 추소(追遡)할 수 있는데 호주의 이 제도를 통해 청년들의 노동이주가 일시적으로. n. al. er. io. 고무되었다. 호주는 1980 년에 일본과 워킹홀리데이 협정을 체결하였고, 1995 년에는 한국,. i Un. v. 2000 년에는 독일 등 유럽 국가, 2001 년 홍콩, 2004 년 대만과 협정을 맺었다(遲恒昌, 林韋佑,. Ch. engchi. 2017, p.32) 13 . 동북아시아 내부에서의 워킹홀리데이는 일본과 한국 사이에서는 1999 년부터, 일본과 대만은 2009 년부터 14, 한국과 대만은 2011 년부터이다. 15 藤岡伸明(2012) 16 에서는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매력과 문제점을 제시했다. 이 논문에서는 워킹홀리데이 제도의 매력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첫째로는 단기 관광여행과 달리. 13. 14 15 16. Heng-Chang Chi, Wei-Yu Lin, 2017. Young Taiwanese Working Overseas as Working Holidaymakers in Australia. Journal of Geographical Science, 84, 31-53. 일본 外務省 공식사이트. (https://www.mofa.go.jp ) 주한국대만대표부 공식사이트. (https://www.roc-taiwan.org/kr_ko/post/4.html ) 藤岡伸明, 2012. 海外経験は役に立つのか : ワーキンク◌ ゙ホリテ◌ ゙ーの効果と リスクの検証. 一橋研究, 37(1): 73-88.. 13 DOI:10.6814/NCCU202000997.

(24) 해외에서 장기적으로 생활하며 현지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藤岡伸明, 2012, p.75). 둘째로, 현지인과 교류하는 기회를 통해 어학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기회가 있다는 점, 셋째로, 해외 이주 경험을 통해 자기 국가에서 얻지 못한 지식과 기술을 양성할 기회가 있고 유학보다 더 저렴한 비용으로 해외 생활을 체험 가능한 점도 있다고 제시했다. 이러한 매력들에 반하여, 문화 교류의 형해화, 분쟁과 사고, 커리어의 중단 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언급했다(藤岡伸明, 2012, p.76). 이 연구에서도 워킹홀리데이 종료 후 본국 귀환 이후의 생활 양상을 연구했다. 외국어 능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매우 소수이며 소통을 못하는 수준에서 기본적인 일상회화 수준으로 진보한 것이 가장 큰. 政 治 大. 비율을 차지했다. 뿐만 아니라 워킹홀리데이 기간에 습득한 지식과 기술이 귀국 후에는. 立. 거의 소용이 없었다. 그리고 귀국 후의 취업 상황은 워킹홀리데이를 떠나기 전에 비해. ‧ 國. 學. 비정규직 사원이 증가하며, 월급 수준도 조금 하락한 양태가 나타났다(藤岡伸明, 2012, p.80). 다시말하면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어학 능력, 지식과 기술이 비약적으로 상승되지. ‧. 못 한 경우가 일반적이고 심지어 취업에 있어서도 악영향을 준 경우가 종종 있었다는. Nat. sit. y.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워킹홀리데이의 본질을 ‘워킹’에 비해 ‘홀리데이’ 즉 여가,. n. al. er. io. 휴식으로 간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는 워킹홀리데이 경험이 개인의 사회적. i Un. v. 효과, 인간관계, 취업과 생활의 폐색에서 탈출하는 방법 등의 방면에서 갖는 긍정적인. Ch. 측면을 들고 있다(藤岡伸明, 2012, p.85). 増田正勝(2012) 워킹홀리데이가. 17. 에서는. 노동시장에. 일본인의 미치는. engchi 호주. 워킹홀리데이. 영향을. 밝히며,. 경험에 즉. 대한. 조사를. 통해. ‘고용대체효과’. ,. ‘고용창조효과’ , 그리고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를 고용하는 장점과 단점 등 세 가지 논의를. 제시했다.. 워킹홀리데이의. 고용대체효과는.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이. 보통. 저기능이나 비정기적인 일을 하며 현지에서 저기능이나 비정기적인 노동력을 보충할 수. 17. 増田正勝, 2012. オーストラリアの労働事情とワーキンク◌ ゙・ホリテ◌ ゙ー制度. 広島経済大学経済研究論 集. 33(4), 1-19.. 14 DOI:10.6814/NCCU202000997.

(25) 있다는. p11).. 것이다(増田正勝,2012,. 고용창조효과는. 조사. 결과에. 따라. 41,000. 명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49,000 명의 노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는 점, 즉 현지인을 고용하는 것보다. 더욱 저렴한 자본으로 동등한 이득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増田正勝,2012, p12)..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현지인 실업 인구에 비해 취업의 필요성과 절박성이 훨씬 강하며 일하는 동기도 현지인보다 강하여 조사에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를 고용하는 장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주 워킹홀리데이는 비자의 제한 때문에 같은 일자리에서 일정적인 기간밖에 근무하지 못 한다는 점과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교통 수단의 결핍으로 인해 숙소와 근무지에서의 이동이 불편하다는 단점을 제시했다(増田正勝,2012, p13).. 立. 政 治 大. 2.2 동북아시아에서의 워킹홀리데이 현황. ‧ 國. 學 ‧. 한국의 워킹홀리데이 제도는 2005 년 호주와의 협정에서 시작되었다. 김가윤(2009)에서 18는 한국의 워킹홀리데이 발전 초기에 대해 조사했다. 2005 년에는 한국 최초의 워킹홀리데이. y. Nat. io. sit. 협정이 맺어졌으며, 호주와는 15,000 명, 일본과는 1,800 명, 캐나다와는 800 명의 인원을. n. al. er. 상호간 지원 가능하게 되었다. 한국 외교부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의 통계자료. i Un. 19. 에 따라,. v. 2009 년에는 프랑스, 독일, 2010 년에는 아일랜드와의 워킹홀리데이 교류가 시작되었다.. Ch. engchi. 2011 년에는 덴마크, 홍콩과 대만의 워킹홀리데이 제도가 수행되었다. 그 이후에도 체코, 영국, 오스트리아, 헝가리, 포르투갈, 네덜란드, 이탈리아, 이스라엘, 벨기에, 칠레, 스페인, 폴란드 등의 나라와 워킹홀리데이를 실행했다. 워킹홀리데이 협정국으로는 2019 년까지 23 개 국이 있으며, 연간 참여자의 수는 2005 년의 21,103 부터 41,250 까지 증가되었다.. 18. 김가윤, 2009. 관광동기와 관광지이미지가 워킹홀리데이 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워킹홀리데이 와 일반관광의 관광동기 비교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한국 외교부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터 (https://whic.mofa.go.kr/contents.do?contentsNo=4&menuNo=6) 2020.1.2. 15 DOI:10.6814/NCCU202000997.

(26) 일본은 1980 년에 호주와 워킹홀리데이 협정을 맺었고, 1985 년에는 뉴질랜드, 1986 년에는 캐나다, 1999 년에는 한국, 2000 년에는 프랑스, 독일, 2001 년에는 영국, 2007 년에는 덴마크, 2009 년에는 대만과의 워킹홀리데이 협정을 체결했다. 그 이후에도 노르웨이, 포르투갈, 폴란드, 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스페인, 아르헨티나, 칠레, 아이슬란드, 체코, 리투아니아 등의 나라와 협정을 맺었다. 2019 년까지 총 22 개 국가와의 워킹홀리데이 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20 대만의 경우, 2004 년 뉴질랜드, 호주와 협정을 체결하며 워킹홀리데이 제도가 도입되었고, 2009 년에는 일본, 2010 년에는 캐나다, 독일과 한국, 2011 년에는 영국, 2012 년에는 아일랜드,. 政 治 大. 2013 년에는 벨기에, 그 이후에는 슬로바키아, 폴란드, 헝가리, 오스트리아, 체코, 프랑스,. 立. 룩셈부르크 등의 16 개 나라와 협정을 맺었다. 21. ‧ 國. 學. 동북아시아 내부에서의 워킹홀리데이는 각국과 호주와의 협정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늦으며 대만은 그 가운데 더욱 늦었다. 하지만 한국과 일본 등의 수용국의 측면에서 보면,. ‧. 대만인 위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io. sit. y. Nat 2017. al. 2016. 한국. 6534. 37.70%. 5101. 32.87%. 대만. 4059. 23.42%. 4158. 26.79%. Ch. 호주. 1376. 7.94%. 1182. 7.62%. 프랑스. 1336. 7.71%. 1269. 영국. 1071. 6.18%. 920. 계. 17330. 15521. 3818. 2015. 27.35%. 3198. 25.49%. 35.66%. 4894. 1118. 8.01%. 8.18%. 1073. 5.93%. 919. 4977. er. 표 4 - 2013-2018 일본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통계 22. n. 2018. v ni. 2014. 2013. 3258. 31.17%. 5115. 50.07%. 39.01%. 3486. 33.35%. 1992. 19.50%. 1012. 8.07%. 814. 7.79%. 682. 6.68%. 7.69%. 992. 7.91%. 821. 7.85%. 655. 6.41%. 6.58%. 918. 7.32%. 722. 6.91%. 551. 5.39%. engchi U. 13958. 12547. 10453. 10215 단위: 명. 20. 21. 22. 일본 外務省 (https://www.mofa.go.jp/mofaj/toko/visa/working_h.html) 2020.1.2 대만 외교부 (https://www.youthtaiwan.net/WorkingHoliday/cp.aspx?n=E5AA72D4F35F91D0&s=D33B55D537402BAA) 2020.1.2 참고: 政府統計の総合窓口(e-Stat)(https://www.e-stat.go.jp/) 표: 필자 정리. 16 DOI:10.6814/NCCU202000997.

(27) 2017. 표 5 - 2012-2017 한국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통계 23 2016. 2015. 2014. 2013. 2012. 일본. 556. 29.70%. 387. 24.86%. 376. 27.65%. 380. 28.74%. 423. 35.79%. 521. 52.20%. 대만. 407. 21.74%. 421. 27.04%. 301. 22.13%. 300. 22.69%. 331. 28.00%. 160. 16.03%. 프랑스. 311. 16.61%. 230. 14.77%. 239. 17.57%. 233. 17.62%. 170. 14.38%. 126. 12.63%. 홍콩. 175. 9.35%. 217. 13.94%. 213. 15.66%. 226. 17.10%. 134. 11.34%. 89. 8.92%. 독일. 138. 7.37%. 101. 6.49%. 71. 5.22%. 61. 4.61%. 46. 3.89%. 41. 4.11%. 계. 1872. 1557. 1360. 1322. 1182. 998. 표 4 와 표 5 는 각각 일본과 한국에서 수용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의 통계 자료이다.. 政 治 大 많았으며 계속 1,2 위를 차지하고 있고, 한국의 경우는 2012 년부터 2017 년까지 일본과 立. 일본의 경우는 2013 년부터 2018 년까지 한국과 대만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가장. ‧ 國. 學. 대만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가장 많고 마찬가지로 1,2 위를 항상 차지하고 있다. 즉. 한국과 일본에서 수용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구성은 대부분 동북아시아 국적 출신이다.. ‧. y. 중국. sit. 덴마크. 대만. 국가. 모집인원. 국가. 모집인원. 국가. 모집인원. 제한 없음. 제한 없음. 호주. 제한 없음. 호주. 5,000. 독일. 제한 없음. 뉴질랜드. 제한 없음. 일본. 뉴질랜드. 1,000. 스웨덴. 제한 없음. 독일. ni U1,250. 칠레. 제한 없음. 덴마크. 호주. 제한 없음. 노르웨이. 제한 없음. 한국. 800. 일본. 10,000. 포르투갈. 제한 없음. 뉴질랜드. 600. 캐나다. 4,000. 한국. 10,000. 독일. 500. 뉴질랜드. 3,000. 대만. 10,000. 프랑스. 500. 호주. n. al. C 제한 없음 h e n g캐나다 chi 제한 없음 영국. er. 모집인원. 일본. io. 23. 국가. Nat. 표 6 - 2019년도 동북아시아 주요 국가 워킹홀리데이 모집인원24 한국. v. 10,000. 1,000. 참고: 한국: 국가통계포털(KOSIS) (https://kosis.kr/index/index.do) 표: 필자 정리. 24. 한국 – 외교부 워킹홀리데이 인포센토. (http://whic.mofa.go.kr/board.do?menuNo=58&boardConfigNo=24&action=view&boardNo=11558 일본 – 외무성 (https://www.mofa.go.jp/mofaj/toko/visa/working_h.html) 대만 – 외교부 산하의 워킹홀리데이 사이트. (https://www.youthtaiwan.net/WorkingHoliday/cp.aspx?n=E5AA72D4F35F91D0&s=D33B55D537402BAA) 중국 - 外聘网 (https://baijiahao.baidu.com/s?id=1607590141584240744&wfr=spider&for=pc). 17 DOI:10.6814/NCCU202000997.

(28) 프랑스. 2,000. 캐나다. 6,500. 아일랜드. 400. 스페인. 1,000. 프랑스. 1,500. 벨기에. 200. 영국. 1,000. 홍콩. 1,500. 폴란드. 200. 홍콩. 1,000. 영국. 1,000. 슬로바키아. 100. 대만. 800. 폴란드. 5,00. 헝가리. 100. 아일랜드. 600. 스페인. 500. 체코. 100. 이탈리아. 500. 아일랜드. 400. 오스트리아. 75. 오스트리아. 300. 슬로바키아. 400. 룩셈부르크. 40. 체코. 300. 체코. 400. 벨기에. 200. 오스트리아. 200. 아르헨티나. 200. 헝가리. 200. 이스라엘. 200. 아르헨티나. 200. 포르투갈. 200. 칠리. 200. 폴란드. 200. 리투아니아. 100. 네덜한드. 100. 아이슬란드. 30. 헝가리. 100. 立. 政 治 大. ‧ 國. 學 ‧. 표 6 를 통해 한국, 일본, 대만, 중국에서 매년 워킹홀리데이를 지원할 수 있는 명수를 알 수 있다. 표 3 에서는 한국인과 대만인의 일본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2014 년 이후로. y. Nat. io. sit. 비슷하다는 점, 표 4 에서도 한국에서의 일본과 대만에서 온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er. 비슷한 점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일본의 총인구는 1 억 2 천만 여명, 한국은 5 천만 여명, 대만은. n. al. Ch. i Un. v. 2 천 3 백만 여명이기 때문에 그 만큼 대만이 동북아시아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engchi. 구성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들에 비해 대만인이 동북아시아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이주를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만인이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를 신청에 관한 규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신청 가능 인원 수는 큰 차이가 있지만, 한국 워킹홀리데이 신청 가능 인원수는 2012 년의 400 명부터 오늘날. 800. 명으로. 워킹홀리데이의. 가장. 증가했기 큰. 때문에. 차이는. 상승하고. 한국에. 있는. 추세로. 워킹홀리데이를. 하러. 볼. 수. 가면. 있다. 총. 양국의. 근무시간이. 제한된다는 것이다. 규정에 따라,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합법적 근무 시간은 1,300 시간. 18 DOI:10.6814/NCCU202000997.

(29) 이내로 제한된다. 근무 종류에 대한 제한은 양국 공통으로 유흥업소에서 일할 수 없다는 것이며, 한국의 경우에는 전문 자격이 있어야 종사할 수 있는 직업들도 제한된다.. 신청 자격 비자 유효 기간 근무 시간 제한. 10,000. 18세 이상 31세 미만의 대만 국민. 18세 이상 31세 미만의 대만 국민. 1년. 1년. 政 治 大 - 입국 직후부터 관광이 아닌 취업에만 立 하는 자 전념하고자 연간 1,300시간. - 바, 카바레 등 유흥업 또는 유흥 업에 관련된 영업을 하고 있는 업 소. ‧. - 유흥업소에서 일하고자 하는 자 - 일정한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하는 의사, 변호사, 교수, 조종사 등으로 근무 하고자 하는 자 - 외국어 회화 강사로 재직하고자 하 는 자 - 취재, 종교, 연구, 기술지도 등 협정 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활동을 하려는 자. n. er. io. sit. y. Nat. al. 없음. 學. 근무 종류 제한. 800. ‧ 國. 신청 시간 신청 인원 수. 표 7 -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신청에 관한 정보 25 한국 일본 매년 1월 매년 6월, 12월. i Un. v. 최근 대만의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는 다음과 같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Ch. engchi. 경우 2013 년의 381 명에서 2017 년의 488 명으로 증가했으며, 일본의 경우 2013 년의 1,466 명에서 2017 년의 3705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는 전체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대만의 한국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2.95%에서 3.25%로, 대만의 일본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가 1.94%에서 2.74%로 모두 증가한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25. 자료: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사이트, 일본대만교류협회 사이트 참조.. 19 DOI:10.6814/NCCU202000997.

(30) 표 8 - 한국의 대만인 체류 상황26 2017 2016 2015 년도 488 487 340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 14994 14534 13378 총 이주자 수 3.25% 3.35% 2.54%. 표 9 - 일본의 대만인 2017 년도 3705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수 135,030 총 이주자 수 2.74% (단위: 명). 허상청(2019) 28 에서는. 立. 2014 366 13790 2.65%. 체류 상황27 2016 2015 3728 2,199 125,184 104,354 2.98% 2.11%. 政 治 大. 2014 1,549 88,587 1.75%. 2013 381 12932 2.95% (단위: 명) 2013 1,466 75,684 1.94% (단위: 명). 한국 워킹홀리데이 경험이 있는 대만인 108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 國. 學. 진행했다. 그 결과, 한국으로 워킹홀리데이를 온 계기를 보면, 한국 생활 체험 희망이라는 응답자가 56 명, 50%로 나타났다. 한국어능력시험을 기준으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를. ‧. 분류하면, 초급 32%, 중급 24%, 고급 19%, 시험을 본 적이 없는 자가 24%로 나타났다.. sit. y. Nat. 워킹홀리데이 기간에 다니는 직장은 호텔, 게스트하우스가 50%, 식당, 레스트랑, 카페는 20%,. n. al. er. io. 콜센터는 11% 비율로 나타났다. 주 근무시간은 36-40 시간이 대다수이며, 근무시간에 사용한. i Un. v. 언어로는 중국어와 한국어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한국인 친구를 사귀지 못한 응답자는. Ch. engchi. 108 명 가운데 19 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여가 시간에 여행 경험이 있는자가 90%, K-POP 콘서트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자가 50%로 나타났다. 張珮萱(2011) 29 에서는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근무형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로 워킹홀리데이 기간 식당과 호텔에서 근무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林忠暐(2018)에서는 대만인이 일본. 26 27 28. 29. 참조: KOSIS 국제통계포털 (http://kosis.kr/index/index.do) 2020.1.2 참조: e-Stat 政府統計の総合窓口 (https://www.e-stat.go.jp/) 2020.1.2 허상청, 2019. 대만인들의 한국 워킹 홀리데이 경험과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張珮萱, 2011. 赴日打工度假工作參與型態對文化體驗的影響之研究. 國立臺灣師範大學運動與休閒管理研究所, 碩士學位論文.. 20 DOI:10.6814/NCCU202000997.

(31) 워킹홀리데이에 참여하는 동기와 문화 적응을 고찰하기 위해 400 여 명의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서비스 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 수준은 한달에 730,000-1,050,000 이 보편적이었다. 일본으로 간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근무에만 집중하지는 않았으며, 문화 체험과 여행도 일상생활의 큰 비율을 차지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연구를 살펴보면 대만인의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 중에 호텔과 식당에서 근무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며,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는 동기는 현지 문화와 생활의 체험이 주 목표이다. 여기서 대만인의 호주 워킹홀리데이 경험과. 政 治 大. 대조해보면 가장 결정적인 차이점이 도출된다. 즉, 대만인의 호주 워킹홀리데이에 관한. 立. 연구를 보면, 자신이 노동자인 것을 부인하고 여행자로 인식한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도. ‧ 國. 學. 많지만, 임금격차 때문에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받고, 호주에 가서 공장, 농장에서 계속 일만하고, 심지어 제비자(제 2 차 바자)를 신청하고 돈을 버는 데에 더욱 몰두한 사람이. ‧. 많았다. 이러한 사례들은 遲恒昌, 林韋佑(2017)의 연구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보았듯이. Nat. 있는 것으로. sit. y. 호주 워킹홀리데이의 본질과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의 본질에 차이가. n. al. er. io. 나타났다. 돈을 벌기 위해 호주에 가는 워킹홀리데이 참여자가 일정 비율을 차지해왔고. i Un. v. 허상청(2019)에서 볼 수 있 듯이 한국 생활을 체험하기 위해서와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서. Ch. engchi. 한국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난 것이 대다수이며, 임금을 버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국에 간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없었다. 대만. 행정원. 주계총처(行政院. 主計總處)의. 통계자료에. 따라,. 해외에서. 근무하는. 대만인은 2009 년의 66 만 2 천명에서 2017 년에는 73 만 6 천명으로 증가했고, 그 중에 중국에서 근무하는 대만인은 40 만 5 천명 55%, 동남아시아에서는 10 만 9 천명 14.8%, 미국에서는 10 만 1 명 13.7%로 나타났는데, 한국과 일본으로 간 노동이주자, 특히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그 중 소수에 해당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워킹홀리데이 자체가 특수한 성질, 즉 ‘워킹’과 ‘홀리데이’의 결합체이기 때문에 단순한 노동력으로. 21 DOI:10.6814/NCCU202000997.

(32) 간주해서는 안 된다. 수용국에서의 여비 마련을 위한 근무와 근무 중 현지 문화와 생활 체험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보면, 대만인의 워킹홀리데이 경향은 워킹홀리데이의 기원, 즉 청년에게 세계를 탐색할 기회를 준다는 워킹홀리데이의 초심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다. 藤岡伸明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일본인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워킹홀리데이를 통해 일반적으로 취업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반면,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통해 수용국에 대한 문화적, 사회적인 이해, 인정, 감정이 상승하여,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미래에 수용국과의 여러가지 잠재적인 가능성과 연결되는 다리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해외. 治 전통적인 노동이주와 政 大. 노동이주로서 워킹홀리데이는. 立. Richardson, S., Lester, L., Bai, T., Sun, L. (2009) 등의 연구. 30. 공통점이 있다. (Tan, Y.,. 에서 호주에서의 워킹홀리데이. ‧ 國. 學. 참여자들을 직업 별로 통계하였는데, 그 결과 총 28,964 명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가운데, 농장에서 일한 자들이 27%, 식당 직원은 12,6%, 청소업은 8.3%, 주방에서 근무한 자는. ‧. 5.3%로 나타났다(Tan, Y., Richardson, S., Lester, L., Bai, T., Sun, L.,2009, p.12-13). 즉 전통적인. Nat. al. er. io. sit. y. 해외 노동이주의 양태와 비슷하며, 주로 저기능 혹은 미숙련 노동에 종사했다.. n. 2017. v. 표 10 - 한국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성별 구성31 2016. Ch. 남. 327. 17.5%. 298. 11.2%. 여. 1,545. 82.5%. 2,359. 88.8%. 계. 1,872. 2,657. 2015. e266n g c19.6% hi 1,094 1,360. 80.4%. i Un 2014. 2013. 284. 21.5%. 220. 18.6%. 1,038. 78.5%. 962. 81.4%. 1,322. 1,182. 그리고,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성별 분포를 보면, 전통적인 해외 노동이주와 유사한 특성도 발견할 수 있다. 근년 한국에서의 워킹홀리데이 성별 구성은 표 2 와 같다. 이 통계를. 30. Tan, Y., Richardson, S., Lester, L., Bai, T., Sun, L., 2009. Evaluation of Australia's Working Holiday Maker (WHM) Program. Belconnen, ACT: Flinders University. 31 참고: 국가통계포털(KOSIS) (https://kosis.kr/index/index.do). 22 DOI:10.6814/NCCU202000997.

(33) 통해 한국에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성별 구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여성이 80%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압도적으로 많다. 그러나 두 가지 사례가 발생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해외 노동이주의 성별 구성과 형성된 원인이 워킹홀리데이와는 다르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해외. 노동이주는. 가사노동이. 큰. 비율을. 차지하였기에 그 당시에는 주로 여성 노동이주자가 많았다. 워킹홀리데이를 하는 동기 중의 하나는 수용국의 문화에 대한 관심이 다수이며, 한국의 경우 한류 때문에 한국어를 학습하거나 한국 생활 체험을 희망하여 한국으로 워킹홀리데이를 떠난 침여자가 일반적이라 전통적인 노동이주와 비슷한 성별 분포가 있더라도 그 원인이 다르다(허상청, 2019, p.24-25).. 政 治 大. 국가적 측면을 보면, 노동력 부족의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노동력을 도입한 것은. 立. 전통적인 노동이주와 워킹홀리데이가 유사했지만, 개인적인 측면을 보면 큰 차이가 있다. 주로. 임금격차의. ‧ 國. 노동이주는. 유입력. 때문에. 노동이주가. 學. 전통적인. 촉진되었으나. 워킹홀리데이 참여자는 자신을 노동자가 아닌 여행자로 인식한 사람이 많았고 심지어. ‧. 자신이 노동자인 것을 부인한 사람도 많이 있었다(阮靖權, 2015, p42-43). 즉 심리적으로. Nat. 현황을. 검토하였다.. n. al. 발전과. sit. 워킹홀리데이의. 다음. 장에서는. 대만인의. er. 장에서는. io. 본. y.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i Un. 한국·일본 워킹홀리데이 실제 체험에 대해 고찰하도록 하겠다.. Ch. engchi. v. 23 DOI:10.6814/NCCU202000997.

(34) 3. 대만인의 워킹홀리데이 체험 현황 3 장에서는 대만인의 한국과 일본의 워킹홀리데이 경험을 고찰하기 위해 진행한 인터뷰의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 워킹홀리데이를 하는 과정을 3 단계로 나누었는데 1 단계는 워킹홀리데이를 떠나기 전에 준비하는 단계이다. 2 단계는 실제적인 참여자로써 수용국에 이동하여 워킹홀리데이 생활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3 단계는 워킹홀리데이 기간이 만료되고 귀환한 단계이다. 이 세 단계의 유형적이나 무형적 체험을 인터뷰 가이드를 원칙으로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인도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인터뷰 가이드는 다음 표와 같다.. 政 治 大. 표 11 - 인터뷰 가이드 성별. 立. 연령. 學. 한국어/일본어 공부경력. ‧ 國. 기본 자료. 직업. 동기. 기대와 예상. ‧. 1단계. 시간 분배 (연/월/주). 임금. 도전과 성취감. n. al. er. io. sit. 시간. 직장·근무. Ch. 어학당이나 학원 2단계. y. Nat. 내용. i Un. v. 자신에 대한 보람. i 내용 e n g c h수업 소감. 일상 생활 양상. 여가 생활. 여행 문화 충격 경험. 문화 충격과 적응. 적응 과정 모국문화와의 비교 현지인과의 인간관계. 인간관계. 중국어권 이주자와의 인간관계. 경제 생활. 수입과 지출. 24 DOI:10.6814/NCCU202000997.

(35) 실질적 여향. 자신에 대한 영향. 심리적 영향. 출발하기 전에 예상과의 대조 종합 만의도(1~10점) 3단계. 수용국에 대한 생각 출발하기전과 귀환한 후의 임 금 볌화 ‘워킹홀리데이 참여자’의 정 체성 / ‘워킹’, ‘홀리데이’ 더 중요한 것은?. 워킹홀리데이의 모든 과정은 다 체험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비행기를 타고 착륙한 첫. 政 治 大 워킹홀리데이 수용국에서의 식생활, 立 오락, 교통 수단 등 여러 가지 측면 모두 체험에 속한다. 순간부터 체험이 시작된다. 취직하는 과정, 근무하는 일상들, 여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 ‧ 國. 學. 또한 워킹홀리데이를 하러 간 목적지에서의 생활 방식, 풍속, 습관, 예의, 등 매일매일 임해야 하는 모든 것을 광의적이나 협의적 문화로 볼 수 있는 전제에 따르면 워킹홀리데이. ‧. 기간의 모든 체험이 다 문화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sit. y. Nat. 받고 수용국에 가서 일을 하든, 여행을 하든, 어학당을 다니든, 모두 광의적 문화를. io. al. er. 체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자국 문화와 이주사회의 새로운 문화에 대해서 어떠한. v. n. 입장을 택했는지는 워킹홀리데이의 체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날 것이 예상될 수 있는 것이다.. Ch. engchi. i Un.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체험’, ‘문화’에 관한 논의들을 참고하여 워킹홀리데이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시간별로 워킹홀리데이 전, 진행 중, 끝난 후 등 세 단계로 나누며, 체험의 성질에 따라 유형적 체험과 무형적 체험으로 나누어 보도록 한다.. 25 DOI:10.6814/NCCU202000997.

(36) 표 12 - 워킹홀리데이 각 단계와 체험 유형. 1 단계 워킹홀리데이 전 2 단계 워킹홀리데이 중 3 단계 워킹홀리데이 후. 유형적 체험. 무형적 체험. 신청 사전 준비. 예상 (기대, 불안, 계획 등). 직장 근무 어학당 여가 생활. 문화 충격과 적응 외국어 능력 인간관계 자신에 대한 심리적 영향 워킹홀리데이 참여자 시분에 대한 정체성. 자신에 대한 실질적 영향 임금 수준 변화. 立. 政 治 大. 1 단계에서는 워킹홀이데이를 떠나기 전에 유형적 체험으로써 참여자가 어떠한 사전. ‧ 國. 學. 준비를 했는지, 무형적 체험으로써 어떠한 동기를 갖고 있는지, 어떠한 예상과 기대를 품고. ‧. 있는지를 주목하여 이러한 동기와 예상들이 나중에 막상 워킹홀리데이 생활을 경험할 때나 모든 워킹홀리데이 과정이 종료된 후, 생각과 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생겼는지를 대조하도록. io. sit. y. Nat. 한다.. n. al. er. 2 단계는 본격적으로 워킹홀리데이를 수행하는 기간이다. 유형적 체험으로 직장 근무를. Ch. i Un. v. 하는 상황, 어학당을 다니는 경험, 여가 생활의 체험 등의 측면에 입각하도록 한다. 이러한. engchi. 실제적 생활 체험을 통해 받은 문화충격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이주국에서의 인간관계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지, 어떠한 문화 적응의 유형을 선택하는지를 파악하도록 한다. 3 단계는 워킹홀리데이가 끝나고 다시 모국으로 귀국한 이후 이러한 체험들이 자신에게 어떠한 실질적 심리적 영향을 주는지를 고찰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한국. 워킹홀리데이. 경험자는. 총. 5. 명인데. 최근. 4. 년. 내. 한국에서. 워킹홀리데이를 경험했던 사람이며 한국에 오기 전의 직업은 다양하지만 한국에서 경험한. 26 DOI:10.6814/NCCU202000997.

(37) 직장은 서비스직이 대다수이다. 1 년의 워킹홀리데이 생활을 마치고 나서 한국에 더 체류했던 사례는 없었으며 모두 대만으로 돌아갔지만, 한국에서의 워킹홀리데이 경험으로 인해 직장이나 진로가 한국과 관련된 방향으로 변경된 사례를 볼 수 있다.. 立. 政 治 大. ‧. ‧ 國. 學. n. er. io. sit. y. Nat. al. Ch. engchi. i Un. v. 27 DOI:10.6814/NCCU202000997.

參考文獻

相關文件

大學四年,打工三年,努力賺生活費為了減輕家庭負擔。第一個工作是韓國料理

「臺灣 OCLC 管理成員館聯盟」迄2021年已成立15年,現由本館擔任召集館。為使成員館瞭解 OCLC 與

(一)學生中心:透過學生中心的方式促進學習 1.提供具體經驗和視覺方法研讀抽象概念與

(1)針對具有中子研究專長者,具備下列要件之 一:①物理、化學、核工系所博士畢業,具 二年以上中子研究經驗;執行中子散射、繞

具二年以上中子研究經驗;執行中子散 射、繞射以及台澳中子計畫 SIKA 實驗設施 運轉計畫。2.凝態物理系所博士畢業,具良

表演藝術:1.認識 世界傳統舞蹈類 型實際學習體驗 原民舞蹈與文化 2.實際體驗舞台 與劇場藝術魅 力。3.透過街頭 藝術、國際藝術 節的介紹,體驗

一、貴公司依據「多國多中心藥品臨床試驗計畫 審查程序」申請之藥品臨床試驗計畫,案內申請 人/試驗委託者為台灣拜耳股份有限公司,本部同 意之計畫書版本日期為:Version no.: 1.0;Date:

本案件為乳癌標準化化學藥物治療與個人化化學治 療處方手術前化學治療療效比較之國內多中心研 究,於 2008 年 8 月 1 日由